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9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연세 의료·과학기술과 법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774103 


로크의 사유재산권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통한 유전자특허 반대론 

= Through a critical approach to Locke's private property rights, Gene patent opposition


  • 저자[authors] 이재명 ( Jaemyung Lee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연세 의료·과학기술과 법
  • 권호사항[Volume/Issue] Vol.9No.2[2018]
  • 발행처[publisher]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의료·과학기술과 법센터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7-51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유전자특허, 미리어드사 사건, 로크의 사적소유권, 과학기술의 불확실성과 영향력, 제4차 산업혁명, gene patent, Myriad case, John Locke’s property rights, Uncertainty and influe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ttp://www.riss.kr/link?id=A105774103


국문 초록[abstracts]

18세기의 산업혁명으로부터 시작된 물질만능주의의 폐해를 극복하지 못한 채, 인류는 ‘제4차 산업혁명’이라는 새로운 사회적 경제적 변동의 전환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과학기술의 불확실성과 영향력’으로 대변되는 제4차 산업혁명은 우리 인류에게 커다란 도약의 기회이자 인문사회 학적으로는 수많은 생명윤리적 문제를 야기할 위험이다. 그리고 그 논의의 중심에 있는 것이 바로 ‘유전자특허’ 인정여부이다. 유전자특허는 특허법 상 특허 요건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보였으나, 미국을 중심으로 한강대국의 경제 논리에 반세기동안 잘못된 논증을 통하여 허용되어 왔다. 본고는 특허법의 사상적 배경인 로크의 사적재산권론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통하여 유전자특허에 대한 반대론을 개진하였다. 로크는 배타적 소유권의 전제 조건으로 자연의 산물에 대한 ①노동의 투여와 ②‘충분히 남겨 두어야 한다는’ 조건과 ‘남아돌아 썩힐 정도로 많이 소유해서는 안된다는’ 조건 (충분성 조건)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노동 가치에 대한 로크의 편향성과 개인의 기호와 토지 간 가치 차이를 경시한 충분성 조건의 논리적 결함이 존재한다. 이 같은 로크의 사적재산권의 불완전성은 유전자특허의 경우 토지와는 구별되는 관념적 존재라는 성질로 인하여 더욱 부각된다. 결국 로크의 사적재산권을 기반으로 하여서는 유전자특허가 인정될 수 없음을 특허법 체계에 기초한 이론적,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이를 통하여 과학기술의 불완전성과 영향력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Without being able to overcome the harmful effects of materialism that began with the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18th century, mankind came to the turning point of a new social and economic change call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presented by ‘uncertainty and influe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a great leap forward for humanity, and it is a risk that humanities and societies will cause many bioethical problems. At the heart of the discussion is whether or not Gene patents are granted. Gene patents did not seem to have the patent requirements in the patent law, but they had been permitted through a false argument for half a century in the economic logic of a great power centered on the United States. In this paper, I have argued against the patent of gene through the critical approach of John Locke's private property rights, which is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the patent law. Locke suggested the condition of (1) ‘the administration of labor (Labor theory of value)’ and (2) the condition that ‘enough and as good’ and the condition of ‘Prohibition against waste/spoilage’ as a prerequisite for exclusive ownership. However, there is a logical flaw in the condition of sufficiency that neglects Lock's bias toward labor value and the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s preference and land value. The incompleteness of the property rights of Locke is further highlighted by the nature of the idea that the gene patent is an ideological entity distinct from the land. Finally, based on the private property rights of Locke, we reviewed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based on the patent law system that the patent could not be recognized. Through this, the necessity of humanistic reflection on incompleteness and influe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was discusse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59 15 유전학 기계학습을 통하여 암을 분류하는 유전자 집단 확인 / 임수정 2019  238
58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윤리·법·사회 문제 해결방안 / 이수빈 2019  4148
57 15 유전학 GMO 연구 개발 상업화 동향/김태산 2018  204
56 15 유전학 한국과 프랑스 생명과학교사들이 가지는 사람의 사회적 행동에 대한 유전자 결정론적 인식의 차이/서혜애 외 2018  116
» 15 유전학 로크의 사유재산권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통한 유전자특허 반대론 / 이재명 2018  208
54 12 낙태 낙태의 윤리에서 인격체 논변, 종의 원리, 그리고 생명의 권리 / 장동익 2018  215
53 15 유전학 DTC(Direct-to-Consumer) 유전자검사의 정당성 구조와 법정책 / 김나경 2018  318
52 15 유전학 유전자 조작과 생명윤리<세상의 생명을 위하여> / 이향만 2018  363
51 15 유전학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 기술의 국외 규제 동향 및 시사점 / 이수빈, 김한나 2018  737
50 15 유전학 유전자편집 작물의 개발 현황 및 농업생명공학기술의 국가 경쟁력 강화/ 이신우 2018  231
49 15 유전학 유전자검사기술 확대에 따른 국내 유전자 프라이버시 침해의 제 문제/이보형 2017  308
48 15 유전학 의료윤리분야 유전기술의 발전에 따른 도덕적 정당성 논쟁에 대한 고찰/정창록 2017  490
47 16 환경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에 의한 비상동말단연결의 정확성 분석 /양소연 2017  731
46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윤리적 대응 / 목광수 2017  226
45 15 유전학 배아 유전자 치료 / 조은희 2017  189
44 15 유전학 생명공학 시대의 유전자 조작 기술과 인간중심주의 비판 / 김광연 2016  3759
43 15 유전학 마우스 난소에서 막융합 관련 유전자의 발현 / 정복해 외 2016  142
42 15 유전학 DNA 정보의 주체 -시민 정체성의 새로운 구성 / 김지연 외 2016  203
41 15 유전학 뇌전증의 유전적 진단 / 이윤정 안주희 권순학 황수경 2016  200
40 15 유전학 공공 유전체 데이터베이스 확립 과정에 나타난 정보 공유와 사유화 사이의 긴장 / 조은희 2015  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