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여성학 Vol.28 No.1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073045 

숫자를 (재)생산하는 몸, 도구화된 여성 건강  :  저출산 정책으로서의 <난임(불임)부부지원사업>에 대한 고찰 = Criticism of the "National Supporting Program for Infertility Couples" as Part of the Low Fertility Rate Policy



초록 ( Abstract )

  • 이 글은 대한민국 정부가 저출산 대응의 하나로 2006년부터 시작한 <난임(불임) 부부지원사업>을 여성과 아이들의 건강의 측면에서 그리고 실제 효과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 연구가 ...
  • 이 글은 대한민국 정부가 저출산 대응의 하나로 2006년부터 시작한 <난임(불임) 부부지원사업>을 여성과 아이들의 건강의 측면에서 그리고 실제 효과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 연구가 해명하고자 한 연구 질문과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사업>은 여성의 건강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에서 출발하였는가? 이 <사업>은 협소한 의미에서의 생식 건강에 대해서도 아무런 고려가 전제되지 않았고 그러다보니 여성의 신체적·정신적 건강 그리고 개인적·사회적 건강을 증진하는 데 기여할 수 없다. 오히려 여성의 생식 건강 개념이 축소·변형되는 결과를 가져와, 여성의 몸은 합계출산율의 분모와 분자를 생산 혹은 재생산하는 숫자로 취급되었고 또한 여성의 건강은 '저출산 대응'을 위해 도구화되었다. 둘째, 이 <사업>은 저출산의 효과적인 대책이 될 수 있는가? 그리고 이 <사업>은 다른 저출산 정책과 내적 모순을 일으키지는 않는가? 이 사업이 시작되기 전에 불임과 저출산에 대해 그 원인 관계나 결과로서의 효과 측면에서 타당성이 입증된 바 없고 주무 부서 또한 이에 대한 면밀한 고려를 선행한 바 없다. 또한 저출산의 다른 정책과 내적 모순을 일으키고 있는데, 이에 대해 어떤 조사나 연구도 수행된 바 없기에 정책 수행의 통합성을 기대할 수 없어서 과연 '저출산 대처'라는 궁극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인지 알 수 없다. 셋째, 이 <사업>은 그 명칭이 가리키는 바 과연 불임부부들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는가? 물론 아무런 공적 지원이 없는 상황과 비교한다면 재정 지원은 분명 도움이 되었지만, 지원과 함께 약제비 상승 등으로 인해 비용이 전체적으로 상승하였다. 또한 불임부부의 건강이나 행복추구보다는 숫자의 측면에서 접근함으로써 여전히 당사자들을 대상화시키는 한계를 갖는다.




    목차 ( Index )

    Ⅰ. 들어가며: 인구-숫자-공포, 그리고 여성의 몸

    Ⅱ. <난임(불임)부부지원사업> 개괄

    Ⅲ. "저출산"으로부터 "여성건강"을 유추하다?: 도구화된 여성건강

    Ⅳ. 상호모순적인 두 가지 "저출산 대책"

    Ⅴ. <사업>으로 "낳고 싶은 사람은 누구나 낳을 수" 있는가?

    Ⅵ. 결론: 연구의 요약과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6 14 재생산 기술 난임여성의 경험을 통해서 본 생식기술 / 김경례 2010  601
    45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시대의 여성의 재생산 권리에 대한 법여성학적 고찰 / 김은애 2003  536
    44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재생산 경험 : 재생산 정치의 관점에서 / 황지성 2011  649
    43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문제에 대한 기독교 여성윤리적 이해 / 이승리 1997  404
    42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 여성의 호스피스 자원봉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강선미 2016  756
    41 10 성/젠더 성인여성의 모성 형성 과정에서 나타난 인식전환 단계에 대한 연구 / 최은아 2015  366
    40 19 장기 조직 이식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 인지행동 모델을중심으로 / 추정인 1998  523
    39 10 성/젠더 탈북여성의 북한, 중국, 한국에서의 결혼생활을 통해본 인권침해와 정체성 변화과정 / 이화진 2010  329
    38 14 재생산 기술 출산테크놀로지에 대한 여성학적 접근 : 시험관 아기 기술을 중심으로 / 조영미 1994  228
    37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 이영희 2018  323
    36 9 보건의료 HIV 감염인 남편과 살아가는 여성의 삶의 경험 / 서명희 2017  211
    35 10 성/젠더 여성주의 윤리학적 시각에서 본 싱글 여성의 생식권 문제 / 닝멍 2019  206
    34 10 성/젠더 성인지적 관점에서 본 모성보호의 사회법적 한계 / 손미정 2014  548
    33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효력에 관한 소고 / 한삼인, 김상헌 2013  294
    » 14 재생산 기술 숫자를 (재)생산하는 몸, 도구화된 여성 건강 : 저출산 정책으로서의 <난임(불임)부부지원사업>에 대한 고찰 / 하정옥 2012  708
    31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권 개념의 역사화ㆍ정치화를 위한 시론 / 하정옥 2013  441
    30 12 낙태 논문 : 낙태 비범죄화론 / 조국 2013  870
    29 14 재생산 기술 이주여성의 재생산권에 대한 국제인권법적 보호 / 이진규 2010  333
    28 10 성/젠더 난자 : 생명기술의 시선과 여성 몸 체험의 정치성 / 조주현 2007  314
    27 14 재생산 기술 [논문]재생산권으로서의 낙태에 관한 법여성학적 고찰 / 이선순 2006  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