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3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 신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985172 

생명복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줄기세포 연구를 중심으로 = Christian Ethical Perspectives on Bio-Cloning : Based on studies Stem-Cell


  • 저자 : 박진성
  • 형태사항 : 56 p. ; 26cm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 신학과 2010. 2
  • 발행국 : 경기도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0



초록 ( Abstract )

  • 생명공학의 발전함에 따라서 인간의 삶의 질도 높아지고 있다. 오늘날 생명공학에서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연구는 세포응용연구인 줄기세포의 연구이다. 줄기세포(stem cell)란 배양 ...
  • 생명공학의 발전함에 따라서 인간의 삶의 질도 높아지고 있다. 오늘날 생명공학에서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연구는 세포응용연구인 줄기세포의 연구이다. 줄기세포(stem cell)란 배양 상태에서 무한정 기간 동안 분열 할 수 있는 세포를 의미한다. 여기서 세포는 모든 생물의 기본 구조 단위이다. 세포는 분열을 통해 수가 늘어난다. 줄기세포는 생명의 단계에 따라서 배아 줄기세포와 성체 줄기세포로 구분된다. 줄기세포는 어떻게 병이 시작되는지 이해하도록 도와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병으로 파괴된 세포와 조직을 보충하거나 대체하는 강력한 치료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하지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배아의 도덕적 지위를 어떻게 볼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수정되어, 분열을 시작하고 2주후가 지나면 원시선이 생기게 된다. 원시선이 생긴 후부터 8주째의 인체와 비슷한 모습을 갖추기 시작하는 태아의 전단계를 배아라 부른다. 기독교를 비롯한 종교계에서는 배아도 인간의 잠재력을 지닌 것으로써 단순히 세포로 연구하는 것이 아닌, 생명체로써 보기에 연구를 허용하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러한 윤리적 문제를 피할 수 있는 것이 성체 줄기세포이다. 성체 줄기세포는 인간의 몸 안에서 줄기세포를 추출하는 것이다. 예로 골수에서 줄기세포를 추출하여, 백혈병을 치료하고 있다. 하지만 성체 줄기세포는 양이 매우 적으며, 찾아내기 어렵고, 배아 줄기세포에 비하여 배양이 어려우며, 체외 배양을 통한 다량의 세포를 확보하기 어렵다.
    이러한 줄기세포 연구의 잠재력과 한계성을 보면서, 기독교 윤리의 입장을 확실히 하여, 줄기세포의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려고 한다. 우선 줄기세포 복제의 생명 윤리적 문제를 이야기 하면, 배아를 통한 줄기세포의 연구는 인간의 가치를 상실할 수 있다는 논란을 가져온다. 여성에게 호르몬 주사를 통한 과배란을 통한 인위적인 난자생산과 한 번의 줄기세포를 추출하기 위해 수백개의 배아가 폐기되어야 한다는 것은 생명경시 풍조를 가져 올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생명의 근원은 하나님께로부터 있는데, 그것을 인간의 마음대로 한다는 것이다. 즉, 성서적 근거에서 모든 만물의 근원이고, 주체적인 역할은 하나님인데, 줄기세포로 인한 생명공학, 즉 과학과 기술로 인해서 주객전도가 될 수 있는 위험성을 가지게 된다. 기독교 윤리의 입장은 이러한 과정 속에서 인간은 생명에 대한 하나님의 책임명령을 지켜야 한다. 하나님께로부터 다스리라는 자유를 허락하셨지만, 보존하라는 책임 또한 주셨다. 생명에 대한 무조건적 연구보다는 그것에 대해서 조절하며, 보존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우리 사명에 대해서 재 고찰해야 한다. 그러므로 유전적으로는 완벽한 줄기세포의 복제를 이룰 수 있지만 영혼까지도 복제할 수 없는 하나님이 주신 인간의 존엄성과 다양성 그리고 독특성을 인정하여야 한다. 이것은 인간에 대해서는 절대 수단화와 목적을 위해서 사용될 수 없는 존귀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줄기세포의 연구를 중단해야 한다는 주장이 아니다. 줄기세포의 연구의 장점도 많다. 난치병의 치료와 인간의 설계도를 볼 수 있다. 위와 같은 논리를 이야기 한 것은 줄기세포에 대한 연구의 방향성을 재설정하기 위함이다. 인간의 잠재적 능력을 지닌 배아의 생명도 중요하지만, 난치병에 걸린 생명역시 중요하다. 줄기세포의 연구를 통해서 난치병을 치유하고, 그들의 생명을 살리는 것 역시 우리가 해야할 사명이다. 생명의 주권은 하나님께 있는 것이지만, 그것을 지키며 보존할 의무는 우리에게 있다. 우리는 하나님의 생명을 지키는 청지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아닌 둘 다의 생명을 지키고 보존해야 하는 것이 우리의 역할이요, 사명이다.





    목차 ( Index )

    논문요약 1

    제1장 서론 4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4

    제2절 연구방법 및 연구범위 6

    제2장 줄기세포 8

    제1절 생명연구의 발생과정 및 역사 8

    제2절 세포의 연구 10

    1. 세포에 대한 정의 10

    2. 세포응용 연구 11

    제3절 배아줄기세포 12

    1. 줄기세포의 발생학적 개념 12

    2. 배아줄기세포의 추출법 14

    3. 배아줄기세포의 잠재능력 15

    4. 배아복제의 윤리적 문제 17

    제4절 성체줄기세포 19

    1. 성체줄기세포의 특징 19

    2. 성체줄기세포의 추출법 20

    3. 성체줄기세포 연구의 효용성 21

    제5절 줄기세포 연구의 한계성과 윤리적 문제점 22

    1. 배아줄기세포의 한계점 22

    2. 성체줄기세포의 한계점 22

    3. 줄기세포의 윤리적 문제점 23

    제3장 줄기세포복제의 생명 윤리적 문제 25

    제1절 생명의 가치의 관점 25 

    제2절 생명의 근원의 관점 26

    1. 하나님의 창조명령과 생명복제 26

    2. 신 중심적 가치관에서 본 줄기세포복제 28

    3. 복제양 연구에 나타나는 생명권 논쟁 30

    제3절 생명의 공동체성 31

    제4절 생명의 개체성 33

    1. 기독교 윤리에서 본 인간의 개체성 33

    2. 영혼부여설과 생명의 존엄성 34

    3. 생명복제의 목적론적 근거 36

    4. 생명복제의 의무론적 근거 37

    제4장 복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의 과제 39

    제1절 성체 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기독교 윤리의 과제 39

    제2절 배아 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기독교 윤리의 과제 41

    제3절 인간복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의 과제 43

    제5장 결론 47

    참고문헌 50

    영문요약 5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1
    4583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성찰 : 인간복제에 대한 윤리적, 법적 규제를 중심으로 / 구홍일 2007  927
    4582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에서 결의론의 재조명 : 앨버트 존슨의 온건한 결의론을 중심으로 / 김시형 2013  585
    »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줄기세포 연구를 중심으로 / 박진성 2010  407
    4580 1 윤리학 생명윤리법 제조과정에 있어서 정책갈등과 조정에 관한 연구 / 한성구 2004  426
    4579 19 장기 조직 이식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 최화영 2012  470
    4578 2 생명윤리 의료기관 윤리성 검토기구 정비를 위한 법률 개정 연구 / 김성희 2010  115
    457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의료책임법상의 과제 / 이무송 2010  473
    4576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행위에 대한 형법적 고찰 : 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하여 / 정재우 2009  247
    4575 2 생명윤리 도덕교과서에 나타난 생명윤리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 『생활과 윤리』를 중심으로 / 이필연 2013  341
    4574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생명의료윤리학적 고찰 / 주홍덕 1997  562
    457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의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과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의료인(의사, 간호사)의 인식 : 포커스그룹 인터뷰 분석기법 / 이지애 2009  952
    4572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입법적 고찰 : 대법원 2009.5.21. 선고 2009다17417 판결로 촉발된 논쟁점을 중심으로 / 박준태 2010  425
    457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의 중단에 관한 연구 : 민사법적 쟁점을 중심으로 / 최근영 2012  177
    457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연구 : 환자의 의사표시를 중심으로 / 최수정 2011  615
    456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을 결정한 말기환자 가족의 경험 / 박연옥 2003  544
    4568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과 자기 결정에 대한 말기 암 환자, 가족 및 의료진의 태도 / 김은숙 2011  1334
    4567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연명치료중단행위에 관한 형법적 고찰 / 이백휴 2010  346
    456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 결정 태도와 암환자 가족의 특성에 관한 연구 : DNR을 중심으로 / 장지영 2010  344
    4565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사전의료지시 인식 / 구종모 2013  342
    4564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과 의료인의 형사책임 / 송근화 2011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