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학과 보건정책관리학 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67906 


의료협동조합 의원을 이용하는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타서명Factors that affect the experience of primary care in health care co-operatives' patients
저자이미지
발행사항서울 :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형태사항vii, 80 p. : 삽화, 표 ; 26 cm
일반주기명참고문헌 수록
학위논문사항학위논문(석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학과 보건정책관리학 전공 2016. 2
DDC614 22
발행국서울
언어한국어
출판년2016
주제어의료협동조합,일차의료,환자 경험,조합원,참여활동,영향요인
소장기관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211032)
초록일차의료는 보건의료체계의 효율성과 형평성에 크게 기여하여 한 사회의 건강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왜곡된 의료전달 시스템과 치료 중심의 보수지불제도, 민간 우위의 의료공급체계와 환자의 제한되지 않은 의료기관 선택의 자유 등 여러 가지 제도적 요인으로 인해 일차의료가 점점 더 약해져가고 있다. 취약한 일차의료의 현실 속에서, 지역사회 중심 일차의료를 꾸준히 실천해오고 있는 의료협동조합은 바람직한 일차의료기관의 모델로 학계의 관심을 받아왔다. 의료협동조합은 조합원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민주적으로 운영하는 사회적 협동조합으로, 지역사회 주민과 조합원, 의료인이 협동하여 그들의 건강과 의료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교육 및 참여활동’은 의료협동조합을 민간개인의원과 구분하게 하는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개 의료협동조합의 일차의료 수행성을 환자의 관점에서 평가하고, 조합원 및 참여활동 여부에 따라 응답자들을 비조합원, 비참여조합원, 참여조합원으로 분류하여, 세 군 사이에 일차의료 경험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의료이용 요인이 조합원 및 참여활동 여부에 따른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에 대하여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립 4년차인 의료협동조합 일차의료기관을 이용하는 환자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연구자가 직접 작성하였고, 환자의 의료서비스 이용 경험을 측정하여 의료제공자의 일차의료 수행성을 평가하는 도구인 한국 일차의료 평가도구(K-PCAT)와,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들을 포함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의원에 내원한 환자 및 보호자들 중 의사에게 진료를 받기 시작한 지 6개월 이상 경과하고, 6회 이상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요원이 대기실에서 환자들에게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구두 동의를 얻은 후 자기 기입 방식으로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총 236부의 설문지에 대하여 통계분석을 진행하였고, chi-square 검정과 Kruskal-Wallis H 검정,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비조합원은 74명, 비참여조합원은 76명, 참여조합원은 86명이었다. 환자 관점에서 평가한 연구대상 의료협동조합의 일차의료 수행성 총괄평균점수는 86.0±11.50점이었고, 참여조합원, 비참여조합원, 비조합원 순으로 평균의 중앙값이 높아서 세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92.9(88-97.8)점 vs. 87.5(79.65-95.35)점 vs. 81.6(73.45-89.75)점, p<0.001).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을 사회 인구학적 변수 및 내원 기간, 의원까지의 거리와 같은 변수들로 통제하여 분석했을 때에도, 조합원이 비조합원보다 더 좋은 일차의료 경험을 보고할 가능성이 더 높았고, 조합원 중에서도 참여활동의 여부에 따라 그 차이는 더 컸다. 이러한 결과는 총괄평균점수, 최초접촉 이용성 영역, 포괄성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조합원 및 참여활동 여부(모델1), 통제변수(모델2), 의료이용 변수(모델 3,4,5)를 단계적으로 투입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의료이용 변수에 따라 90점을 초과하는 좋은 일차의료경험을 할 승산은 의원 내원 기간이 2년 이상인 경우 3.088배, 진료 후 정기 건강검진 수검에 변화가 있는 경우 2.972배, 문자/전화 안내 및 상담을 받은 적이 있는 경우 1.936배 높았으며, 모델 3,4,5에서 의료이용 변수를 추가로 투입한 후에는 참여조합원이 비조합원보다 좋은 일차의료경험을 할 교차비를 모델 2에서의 교차비보다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협동조합 의원을 상용치료원으로 이용하고 있는 환자들의 일차의료 경험은 조합원 여부 뿐 아니라 참여활동 여부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의료이용 변수는 조합원 및 참여활동 여부에 따른 환자의 전반적인 일차의료 경험에 대해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비참여조합원과 달리 참여조합원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개 의료협동조합에 대한 연구로 일반화에 한계가 있고, 단면연구이므로 변수들 사이에 선후관계 및 인과관계가 있다고 결론을 내릴 수 없다는 제한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료협동조합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및 참여활동’의 참여 여부와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의 연관성을 밝힌 첫 연구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향후 이러한 연관성을 반복적으로 확인하고, 변수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목차제1장 서론 1 
 제 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제 2절 연구의 목적 3 
 
제 2장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 4 
 제 1절 의료협동조합과 교육 및 참여활동 4 
  1. 의료협동조합과 일차의료 4 
  2. 의료협동조합의 교육 및 참여활동 9 
 제 2절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 17 
  1. 환자 중심성과 환자 경험 측정 17 
  2. 환자 경험 측정을 통한 일차의료의 질 평가 20 
 제 3절 조합원 및 참여활동 여부에 따른 의료이용과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에 관한 연구 23 
  1. 조합원 및 참여활동 여부와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 23 
  2. 조합원 및 참여활동 여부와 의료이용 24 
  3. 의료이용과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 25 
  4.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요인 26 
 
제 3장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31 
 제 1절 연구모형 및 연구의 가설 31 
  1. 연구모형 31 
  2. 연구의 가설 32 
 제 2절 변수의 정의 및 조사 도구 33 
  1. 변수의 정의 및 측정방법 33 
  2. 조사 도구의 구성 37 
 제 3절 자료수집과 분석방법 38 
  1. 조사대상자의 선정과 자료수집 38 
  2. 자료의 분석방법 39 
 
제 4장 연구결과 40 
 제 1절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내원 동기 40 
 제 2절 조합원 및 참여활동 여부와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 44 
 제 3절 조합원 및 참여활동 여부와 의료이용 48 
 제 4절 의료이용과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 50 
 제 5절 환자의 전반적인 일차의료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2 
 
제 5장 고찰 57 
 제 1절 연구결과에 대한 고찰 57 
 제 2절 연구의 한계와 의의 61 
제 6장 결론 및 제언 63 
 
참고문헌 65 
 
Abstract 70 
 
설문지 7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2
748 9 보건의료 일차의료 코호트에서 가족기능이 대사증후군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최은정 2015  69
747 9 보건의료 노인 고혈압 환자의 외래진료와 복약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서화영 2015  113
746 9 보건의료 복합만성질환자의 의료이용 과정 및 복합만성질환의 의미 탐색 : 근거 이론적 접근 / 유수영 2016  189
» 9 보건의료 의료협동조합 의원을 이용하는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미지 2016  38
744 9 보건의료 외래환자의 의료기관 내원경로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구자영 2017  782
743 9 보건의료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국공립병원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 길미령 2017  207
742 9 보건의료 규제에 대한 법경제학적 고찰 : 보건의료정보 보호와 이용의 정책방향 모색 / 정종구 2015  46
741 9 보건의료 건강보험 비급여 의료행위에 대한 의료기관별 가격과 제공량의 관련요인 분석 / 박정훈 2017  120
740 9 보건의료 건강보험청구 자료를 이용한 치매질환과 다른 질환 간 연관성 분석 / 이지현 2017  301
739 9 보건의료 서울시 지역별 보건의료기관 이용요인 및 1차 의료기관 이용현황 분석 : 강남구와 강북구의 만성질환을 중심으로/ 조영훈 2016  247
738 9 보건의료 HIV 감염인 남편과 살아가는 여성의 삶의 경험 / 서명희 2017  211
737 9 보건의료 한국 성인 HIV 감염인구 추계와 역학적 특성 / 김민우 2016  396
736 9 보건의료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요양병원 환자의 감염 실태와 임상적 결과 / 김경완 2017  213
735 9 보건의료 의료기관인증제를 경험한 간호사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감염관리 인지도 및 수행도 2015  111
734 9 보건의료 응급의료센터 감염예방을 위한 시설기준 개선에 대한 연구 / 김중기 2016  261
733 9 보건의료 감염환자 검사자의 안전권,건강권,의료환경권 / 박상웅 2017  177
732 9 보건의료 위험분담계약제도(risk sharing arrangements) 도입 전후 국내 고가 의약품 급여 접근성 비교 / 김정주 2017  777
731 9 보건의료 의학연구데이터의 가치와 공유의 의미 / 김나원 2017  67
730 9 보건의료 국내 체외동반진단기기 허가를 위한 평가시스템 연구 / 천보경 2017  162
729 9 보건의료 제네릭의약품 중심 기업의 전략적 딜에 대한 연구 / 유다인 2017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