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8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울산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674619 


일차의료 코호트에서 가족기능이 대사증후군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기타서명Family Functioning in the Development of Metabolic Syndrome in a Primary Care Cohort
저자최은정
발행사항울산 :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5
형태사항vii, 58 p. : 삽화 ; 30 cm
일반주기명참고문헌(p. 51-54) 수록
학위논문사항학위논문(박사)-- 울산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2015. 2
발행국울산
언어한국어
출판년2015
주제어가족 기능,가족 적응력-결속력 척도,대사증후군
소장기관울산대학교 도서관 (248009)
초록연구 배경: 가족은 물리적, 유전적, 정신사회적 환경을 공유하므로 건강 문제의 발생이나 치료 및 예방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가족 기능을 객관적인 수치로 평가하고, 이에 따른 질병의 발생을 전향적으로 관찰한다면 가족의 정신사회적인 요소가 질병의 발생에 작용하는 여부를 밝히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 적응력-결속력 척도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 FACES III)라는 표준화된 가족기능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일차의료 코호트 내에서 가족기능을 측정하고 이에 따라 대사증후군의 발생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전국 23개 대학병원 26명의 가정의학과 전문의들에 의해2009년 4월부터 2011년4월까지 30세 이상의 성인부부 총 1,034명이 일차의료 가족 코호트에 등록되었다. 이 대상자들의 가족기능 설문 결과를 이용하여 결속력과 적응력 척도의 평균값을 포함한 분포도를 구하였고 Olson의 원형모형 분포와 비교하였다. 가족기능의 두 척도를 각각 사분위수로 나눈 뒤 적응력 척도는 곡선형 가설을, 결속력 척도는 선형가설을 취하여 범주화하였고, 이를 종합하여 가족기능 형태를 조화형, 중간형, 극단형 세 가지로 범주화하여 대사증후군의 발생을 관찰하였다

자기 기입식 설문지와 병력청취 및 진찰, 신체계측 및 혈액검사를 통해 연구대상자의 특성을 조사하였고, 가족기능은 한국어로 표준화된 20문항의 FACES III로 평가하였다. 대사증후군의 기준은 2009년 통합된 기준을 사용하였다.

대사증후군 발생의 상대위험도는 콕스 비례위험 모형으로 산출하였고, 통계분석은 SPSS ver. 21.0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검정은 0.05미만을 유의수준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한번 이상의 추적 관찰이 가능했으며, 가족기능 설문을 완료하였고 대사증후군을 평가하는 데 필요한 5가지 자료를 모두 갖춘 총 671명 중에서 245명이 등록 시점에서 대사증후군에 해당하였고, 이를 제외한 426명을 최종 코호트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57.5세, 성별은 남성이 전체의43.4%였다. 체질량지수는 평균 23.6kg/m2으로 비만에 해당하는 경우가 26.6%였다. 추적 관찰기간은 967인?년(person?years)이었으며 평균 추적기간은 27.2개월이었다. 관찰기간 중에 새로 대사증후군으로 진단된 경우는 114명으로 1,000인?년 당 누적발생율은 117.8명이었다. 가족 기능의 결속력 점수가 낮은 군은 높은 군에 비해 대사증후군의 발생이 유의하게 높았으며(RR=1.57, 95% CI 1.07-2.30) 가족기능 형태로 보면 조화형인 군에 비해 극단형에 해당하는 경우 대사증후군의 발생이 유의하게 높았다. (RR=2.40 95% CI 1.39-4.13)

코호트 등록 당시의 대사증후군의 개수에 대한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위험인자가 2개인 고위험군을 제외한 나머지 244명으로 하위집단 분석을 했을 때, 대사증후군 발생은 총27명, 추적관찰기간은 577인?년, 누적발생율은 1,000인?년 당 46.8명이었다. 하위집단 분석에서도 결속력 척도 점수가 낮을수록 대사증후군의 발생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경계역의 유의성이 있었다(P=0.060 RR=2.13 95% CI 0.97-4.71). 적응력이 양극단에 해당하는 경우 25~75분위수에 비해 대사증후군의 발생이 유의하게 높았고(RR=2.76, 95% CI 1.20-6.36) 극단형 가족기능으로 분류된 군에서 조화형의 가족기능에 비해 대사증후군 발생이 현저히 높았으나(RR=5.24, 95%CI 1.68-16.31) 이상의 결과는 코호트 등록 당시의 대사증후군의 위험인자 개수, 연령, 성별, 체질량지수, 교육수준, 당뇨, 고혈압, 이상지혈증의 과거병력이나 가족력 등 다른 위험요소를 보정하여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RR=7.52, 95%CI 2.00-28.34)

결론: 가족기능은 대사증후군의 발생에 있어 독립적인 위험요인으로 가족기능이 원활하지 못한 극단형의 경우 대사증후군의 발생이 증가한다.

중심 단어: 가족 기능, 가족 적응력-결속력 척도, 대사증후군
목차 



국문요약 ii

표 목차 v

그림 목차 vi

서론 1

연구 방법 7

1. 연구 대상 7

2. 연구 도구 및 가설 9

3. 연구 자료의 수집 12

4. 연구 자료의 분석 15

연구 결과 19

1. 가족 기능 척도의 분포 19

2. 연구 대상의 일반적인 특성 27

3. 대사증후군의 조발생률 및 상대위험도 29

4. 가족기능에 따른 대사증후군 발생의 위험도 31

5. 다변량 분석에서 가족 기능에 따른 대사증후군 발생의 상대위험도 37

고찰 39

1. 연구 방법에 대한 고찰 39

2. 연구 결과에 대한 고찰 44

2. 연구의 제한점 49

결론 50

참고문헌 51

부록 55

영문요약 5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2
» 9 보건의료 일차의료 코호트에서 가족기능이 대사증후군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최은정 2015  69
747 9 보건의료 노인 고혈압 환자의 외래진료와 복약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서화영 2015  113
746 9 보건의료 복합만성질환자의 의료이용 과정 및 복합만성질환의 의미 탐색 : 근거 이론적 접근 / 유수영 2016  189
745 9 보건의료 의료협동조합 의원을 이용하는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미지 2016  38
744 9 보건의료 외래환자의 의료기관 내원경로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구자영 2017  782
743 9 보건의료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국공립병원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 길미령 2017  207
742 9 보건의료 규제에 대한 법경제학적 고찰 : 보건의료정보 보호와 이용의 정책방향 모색 / 정종구 2015  46
741 9 보건의료 건강보험 비급여 의료행위에 대한 의료기관별 가격과 제공량의 관련요인 분석 / 박정훈 2017  120
740 9 보건의료 건강보험청구 자료를 이용한 치매질환과 다른 질환 간 연관성 분석 / 이지현 2017  301
739 9 보건의료 서울시 지역별 보건의료기관 이용요인 및 1차 의료기관 이용현황 분석 : 강남구와 강북구의 만성질환을 중심으로/ 조영훈 2016  247
738 9 보건의료 HIV 감염인 남편과 살아가는 여성의 삶의 경험 / 서명희 2017  211
737 9 보건의료 한국 성인 HIV 감염인구 추계와 역학적 특성 / 김민우 2016  396
736 9 보건의료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요양병원 환자의 감염 실태와 임상적 결과 / 김경완 2017  213
735 9 보건의료 의료기관인증제를 경험한 간호사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감염관리 인지도 및 수행도 2015  111
734 9 보건의료 응급의료센터 감염예방을 위한 시설기준 개선에 대한 연구 / 김중기 2016  261
733 9 보건의료 감염환자 검사자의 안전권,건강권,의료환경권 / 박상웅 2017  177
732 9 보건의료 위험분담계약제도(risk sharing arrangements) 도입 전후 국내 고가 의약품 급여 접근성 비교 / 김정주 2017  777
731 9 보건의료 의학연구데이터의 가치와 공유의 의미 / 김나원 2017  67
730 9 보건의료 국내 체외동반진단기기 허가를 위한 평가시스템 연구 / 천보경 2017  162
729 9 보건의료 제네릭의약품 중심 기업의 전략적 딜에 대한 연구 / 유다인 2017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