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10872 
잊혀질 권리에 관한 헌법적 연구

                             

  • 기타서명

    A constitutional Study on the Right to be forgotten

  • 저자

    지용수                                       

  • 형태사항

    xiii, 213, xiii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충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됩니다
    지도교수: 김수갑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 법학과 헌법전공 2016. 2

  • KDC

    362 5

  • 발행국

    충청북도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 초록 (Abstract)
    • The advent of internet,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information has become possible beyond time and space. Production of information increased drastically especially with web 2.0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 Along with this, there have been probl...
  • The advent of internet,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information has become possible beyond time and space. Production of information increased drastically especially with web 2.0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 Along with this, there have been problems due to information that remains semi-permanently in cyberspace. Information remaining somewhere in cyberspace appears repeatedly through indexing, and it includes past information that is not suitable for now, occasionally causing privacy issues. Information remains in cyberspace even after the death of people, so there is no more eternal oblivion.
    The growing damage caused by information left in cyberspace, the right to be forgotten was raised mainly in Europe. EU enacted privacy directive in 1995 as there was growing concern of infringement of privacy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which raised the necessity to protect private information. As the environment surrounding personal information changed along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ommunications technology, EU raised the need for uniform legislation and enacted 2012 Regulation. The bill sparked a debate about the right to be forgotten by expressing the right to be forgotten explicitly as a new information right.
    Interest in the right to be forgotten grew with the decision of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in May 2014. Spanish lawyer, Mario Costeja Gonzalez, sued La Vanguardia, one of the main newspapers in Spain, and Google, saying that though his debt and forced sale of assets 18 years ago were already resolved, the relevant contents could still be searched.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has decided for the Google and Google Spain to delete the links. This decision acknowledged Google search engine users the right to be forgotten from search result, and in a sense that Google uses automated tools to search and collect data, it viewed Google as information manager. This decision gained attention as world’s first decision about the right to be forgotten. After the ruling, requests to remove links associated with them reached over 40 million in Europe. Also, the ruling affected many countries in the world including USA, Australia, Japan, and South Korea, and they have active debates about the legislation of the right to be forgotten.
    Especially in Japan, the first ruling recognizing the right to be forgotten was in the Tokyo District Court in October 2014. In 2015, a ruling, which limited the right to be forgotten, gained attention.
    The right to be forgotten is the latest legal development in the Internet and smart era. Therefore, under our current constitutional order, it is hard to find the conclusion about how to establish and accept this concept. Regarding the legal nature of the right to be forgotten, while some are pessimistic about whether the right to hide information from public access should be acknowledged as basic right, and argue that the right to be forgotten is the legal right to reduce the damage that information users suffer repeatedly and consistently. However, the information privacy rights or Personal Information Control Right that have developed so far, do not protect all types of personal information so a new type of privacy right is needed. Especially, in the sense that the information that the users generated and disclosed can be a problem, that the realistic and potential flexibility of information is hard to grasp, and that past and present information can deal a severe blow to future life, the right to be forgotten should be established as a new basic right.
    If it is viewed as a new basic right, the ground can be found in the Constitution, Article 10. Human dignity is closely related to being able to exercise moral self-determination through reason. The right to be forgotten has its significance and value to be recognized as the right to recover the dignity of digital memories and prevent infringement issues in the digital era, in order for people to temporarily or permanently delete or change information relevant to themselves, and to recover and maintain dignity as human beings.
    The right to be forgotten is a basic right of complex nature, which is more of a right to be claimed. Citizens, foreigners, and general corporation can be the subject of it.
    The right to be forgotten is inevitably in conflict with other basic rights in the realization process.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o have problems with freedom of speech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Article 21 and with the right to know that was derived from the Constitution Article 10.
    The discussion to legislate the right to be forgotten was made actively mainly by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nd has gone beyond theoretical debate and become the issue of practicing legal procedures. Gangwon province already enacted and enforced the ordinance of the right to be forgotten.
    Some argue that Privacy Act and ‘the law regarding the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use and protection of information’ are enough to protect the right to be forgotten. However, these laws involve illegal information processing, privacy infringement, and defamatory information, so they cannot treat the right to be forgotten that was discussed at EU level. It is because the information relevant to the right to be forgotten is the one that was processed legally but has become inaccurate, appropriate, irrelevant, and excessive as time passed. What is more, unlike overseas search services that provide links to the press, the major domestic search engines such as Naver and Daum hav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portals that save and serve news in their own servers.
    In order to protect the personal rights intact, Personal Information Control Right should be protected securely and relevant legislation is required to protect and enact Personal Information Control Right. Also, ways to resolve the conflict with the right to know and freedom of expression, which are basic constitutional rights, should be devised.
    If the right to be forgotten is legalized, many lawsuits will follow. To resolve these lawsuits in the court will be a big burden. Therefore, discussions are necessary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a mediating institute as in Germany.

    ※Key word : the right to be forgotten, to protect private information, Google, Personal Information Control Right, Privacy Act, constitutional right
  •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 I. 연구의 범위 5
  • II. 연구의 방법 7
  • 제2장 잊혀질 권리의 논의 배경 10
  • 제1절 잊혀질 권리의 논의 배경 10
  • I. 인터넷과 새로운 위험의 등장 10
  • II. 잊혀진 권리를 태동시킨 구체적 요인들 12
  • 1. 저장기술의 발달 12
  • 2. 인터넷의 발전과 생활 공간화 13
  • III. 기억의 체계 변화와 잊혀질 권리의 도입 필요성 15
  • 제2절 Google v. Gonzalez 사례를 통한 논란의 확산 18
  • I. 소송의 개요와 경과 19
  • II. 판결요지 21
  • III. 판결의 주요 쟁점 사항 22
  • 1. 잊혀질 권리의 인정과 EU 지침 상 근거 확인 22
  • 2. 검색서비스 사업자의 개인정보처리 관리자(controller) 지위 인정 23
  • 3. 제3자가 작성한 적법한 공표물 검색결과에 대한 검색서비스 사업자 책임 인정 24
  • 4. 구글의 관할 범위 문제 26
  • 제3절 각국의 Google Street View 관련 사례 26
  • I. 독일에서의 스트리트 뷰 사건 26
  • 1. 사건의 개요 27
  • 2. 법원의 판단 27
  • II. 스위스에서의 스트리트 뷰 사건 27
  • III. 캐나다의 스트리트 뷰 사건 28
  • IV. 미국에서의 스트리트 뷰 사건 29
  • 1. 구글사의 스트리트 뷰 서비스에 대한 펜실베이니아 주의 분쟁 사례 29
  • 2. 오리건 주의 스트리트 뷰 서비스 관련 이용자 개인 정보 수집에 대한 집단 분쟁 사례 31
  • V. 위 사례들의 시사점 33
  • 제4절 각국의 검색어 자동완성기능 관련 사례 34
  • I. 2012년 Mosley 사건 34
  • 1. 사건의 개요 34
  • 2. 법원의 판단 35
  • II. 스페인의 사례 35
  • 1. 사건의 개요 36
  • 2. 법원의 판단 36
  • III. 독일의 사례 37
  • 1. 사건의 개요 37
  • 2. 법원의 판단 38
  • 제5절 잊혀질 권리와 관련된 기타 사례 39
  • I. 이탈리아 밀라노의 장애인비디오 전파 사건 39
  • 1. 사건의 개요 39
  • 2. 법원의 판단 39
  • II. 구글의 개인정보보호조항의 미비로 인한 과태료 부과 40
  • III. 2012년 뉴스보관 서비스 업데이트 의무 사건 40
  • 제3장 선진 각국의 잊혀질 권리 관련 법제 42
  • 제1절 EU 42
  • I. EU의 개인정보보호법제(GDPR)의 의의 42
  • 1. 성립배경 42
  • 2. 성립까지의 경과 43
  • II. 2014년 규칙(GDPR)의 목적적용범위개인정보보호 원칙 45
  • 1. 목적 45
  • 2. 적용범위 46
  • III. 개인정보보호원칙 47
  • 1. 처리의 원칙 47
  • 2. 동의의 조건 48
  • 3. 아동의 개인정보의 처리 48
  • 4. 특별한 범주의 개인정보의 처리 49
  • IV. 정보주체의 권리 49
  • 1. 일반원칙 49
  • 2. 정보주체의 권리 행사의 절차 49
  • 3. 표준화된 정보정책 50
  • 4. 정보주체에 대한 통지와 정보에의 접근권 51
  • 5. 정정권 51
  • 6. 잊혀질 권리와 삭제권 51
  • 7. 정보 이동권(Right to data portability) 53
  • 8. 거부권 54
  • 9. 정보주체에 대한 제한 54
  • 10. 감독당국에 대한 개인정보침해 신고 55
  • V. 정보보호 영향평가정보이전 55
  • 1. 정보보호 영향평가 55
  • 2. 정보의 제3국이나 국제기구로의 이전 56
  • VI. 개인정보 감독기관 57
  • 1. 감독기관 및 그 구성원의 독립성 57
  • 2. 감독기관의 임무와 권한 58
  • VII. 권리구제 59
  • 1. 이의제기권 59
  • 2. 사법적 구제권 59
  • VIII. 실효성 확보수단 61
  • 1. 벌칙 61
  • 2. 행정적 제재(Administrative sanctions) 61
  • IX. 기타 62
  • 1. 2002년 전자통신분야지침(2002/58/EC)과의 관계 및 개정 62
  • 2. 입법평가 63
  • 3. 시행 64
  • 제2절 미국 64
  • I. 잊혀질 권리에 관한 미국의 논의 64
  • II. 연방헌법상 프라이버시권과 개인정보보호 법률체계 67
  • 1. 프라이버시권의 성립과 발전 67
  • 2. 수정헌법 제1조와 프라이버시권 68
  • 3. 개인정보보호 법률체계 69
  • 4. 특징 70
  • III. 미국법상 잊혀질 권리 인정 가능성 70
  • 1. 서언 71
  • 2. 미국법상 잊혀질 권리의 도입 가능성 72
  • 3. 현황과 전망 74
  • 제3절 프랑스 76
  • I. 잊혀질 권리에 관한 프랑스의 논의 76
  • II. 프랑스의 개인정보보호법제 78
  • 1. 국제법적 측면 78
  • 2. 국내법적 측면 81
  • III. Google 관련 결정 94
  • 제4절 일본 94
  • I. 일본의 개인정보보호법제 94
  • II. 일본에서 잊혀질 권리 판결 96
  • 1. 일본에서 잊혀질 권리를 인정한 첫 사례 96
  • 2. 성매수 전과자의 잊혀질 권리 인정 사례 97
  • 3. 일본 인터넷 서비스업체의 잊혀질 권리 기준 마련 98
  • 4. 잊혀질 권리를 제한하는 최근 사례 99
  • 제4장 헌법상 기본권으로서 잊혀질 권리 101
  • 제1절 잊혀질 권리의 의의와 헌법적 근거 101
  • I. 잊혀질 권리의 개념 101
  • 1. 종래의 개념 정의와 문제점 101
  • 2. Google v. Gonzalez 판결에서의 잊혀질 권리 102
  • 3. [개인정보보호규칙 수정안]에서의 잊혀질 권리 103
  • 4. 잊혀질 권리의 개념 105
  • II. 잊혀질 권리의 헌법적 근거 107
  • 1. 학설 107
  • 2. 판례의 입장 114
  • III. 소결 117
  • 제2절 잊혀질 권리의 법적 성격 122
  • I. 일반적 성격 122
  • 1. 기본권의 분류와 기본권의 성격 123
  • 2. 기본권의 4분법과 그 의의 123
  • 3. 잊혀질 권리의 성격 125
  • II. 법적 권리설 126
  • 1. 법적 권리로 이해하는 견해 126
  • 2. 법적 권리로서 잊혀질 권리의 한계 128
  • III. 기본권설 128
  • 1. 새로운 기본권으로 이해되는 견해 129
  • 2. 헌법재판소의 입장 129
  • IV. 잊혀질 권리의 기본권적 보장 필요성 131
  • 1. 법적 권리설의 의의와 한계 131
  • 2. 기본권적 보장의 효과 132
  • 제3절 잊혀질 권리의 주체와 효력 133
  • I. 주체 133
  • 1. 기본권 주체성에 관한 일반적 논의 133
  • 2. 잊혀질 권리의 주체 137
  • 3. 잊혀질 권리의 적용 범위에 대한 문제 137
  • II. 효력 139
  • 1. 대국가적 효력 139
  • 2. 대사인적 효력 140
  • 3. 잊혀질 권리의 경우 141
  • 제4절 잊혀질 권리의 내용 142
  • I. 삭제요구권 142
  • 1. 의의 142
  • 2. 내용 144
  • 3. 삭제요청에 대한 임시조치 145
  • 4. 삭제요구권의 실현 150
  • II. 검색차단요구권 151
  • III. 사정변경에 대한 임시조치 152
  • 제5절 잊혀질 권리의 제한 154
  • I. 잊혀질 권리의 제한 입법 154
  • 1. 명확성의 원칙 154
  • 2. 과잉금지 원칙 155
  • 3. 본질적 내용의 침해금지 156
  • II. 제한입법의 한계 156
  • 1. 개인정보보호법 제58조의 위헌성 여부 157
  • 2.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44조의 2의 위헌성 여부 157
  • 3. 해결을 위한 제안 -헌재결정을 중심으로- 159
  • 제6절 잊혀질 권리와 여타 기본권 충돌 문제 163
  • I. 잊혀질 권리와 기본권의 충돌 가능성 163
  • II. 잊혀질 권리와 알 권리 164
  • 1. 알 권리 164
  • 2. 잊혀질 권리와 알 권리의 충돌 166
  • III. 잊혀질 권리와 언론의 자유 166
  • 1. 언론의 자유 166
  • 2. 잊혀질 권리와 언론의 자유의 충돌 168
  • IV. 기본권 충돌의 해결방법 169
  • 1. 기본권 충돌의 일반적 해결원리 171
  • 2. 잊혀질 권리와 언론의 자유의 충돌의 해결 171
  • V. 절차법적 해결과 언론중재제도의 개선 175
  • 제5장 잊혀질 권리의 국내법적 수용 및 입법제안 178
  • 제1절 우리나라에서의 잊혀질 권리의 논의 동향 178
  • I. 언론에서의 잊혀질 권리 178
  • II. 현재 우리나라의 잊혀질 권리에 관한 입법례 181
  • 1.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조례 제정 181
  • 2. 강원도 잊혀질 권리 조례 내용 182
  • 3. 조례 제정권의 근거 182
  • III. 논의 동향 184
  • 1. 정보통신망법 개정안 관련 185
  • 2. 저작권 개정안 관련 189
  • 3. 검토 191
  • 제2절 잊혀질 권리의 도입 가능성 193
  • I. 잊혀질 권리의 법제화 필요성 및 근거 193
  • II.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인정 가능성 194
  • 1.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의의 194
  • 2. 인격권에 근거한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경우 196
  • 3. 정보의 공개와 관련하여 공적영역과 사적영역의 판단을 중심으로 하는 경우 197
  • III.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 체계에서 잊혀질 권리의 확대 수용 197
  • 제3절 잊혀질 권리의 제도적 도입 방안 199
  • I. 개인정보보호법 및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의 개선 및 보완 사항 검토 199
  • 1. 개인정보의 범위획정의 어려움 199
  • 2. 인격권 보호 영역의 부재 혹은 불명확성 200
  • 3. 정보통신서비스 이용자(개인정보 주체)의 보호 강화 201
  • 4.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정 의견 203
  • 5. 개정안의 한계 204
  • II. 잊혀질 권리의 지원 행정기능의 강화 205
  • 1. 개인정보보호 업무의 추진체계 205
  • 2. 전문성을 갖춘 기관의 역할 확대를 통한 이용자 보호 206
  • 제6장 결론 209
  • 참고문헌 201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2
146 1 윤리학 장애인의 존엄한 삶과 헌법 : 장애인운동이 고안해 낸 새로운 권리의 사법적 수용가능성을 중심으로 / 윤수정 2016  217
145 1 윤리학 독일의 성년후견인 제도와 자기결정권 / 조성혜 2016  297
144 1 윤리학 독일개인정보보호법 / 박경신 2016  117
143 1 윤리학 감염병 대응관련 언론보도와 개인정보보호 / 박미정 2016  184
142 1 윤리학 법률행위의 일부가 강행법규를 위반한 경우의 법률관계 / 강윤희 2017  276
141 1 윤리학 [법률상식] 사이버권리 침해 분쟁사례와 대응방법 / 김민주 2017  105
140 1 윤리학 사회집단에의 소속이 도덕성에 미치는 영향 / 석승혜 2016  241
139 1 윤리학 EU의 2016년 일반정보보호규칙(GDPR)의 제정과 그 시사점 / 함인선 2016  121
138 1 윤리학 유럽연합(EU) 개인정보보호법의 특징과 최근 발전 / 문재완 2016  267
137 1 윤리학 EU 개인정보보호규칙(GDPR)의 제정과 시사점 / 류승균 2016  208
136 1 윤리학 개인정보 영향평가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 - EU 개인정보보호규정과 개인정보보호법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 황지은 2016  151
135 1 윤리학 "잊혀질 권리"에 관한 유럽사법 재판소(ECJ) 판결의 유럽 법제상 의미와 우리 법제에 대한 시사점 / 최경진 2014  107
134 1 윤리학 한국의 개인정보 국외이전 법제 현황과 개정방향 / 이창범 2016  216
133 1 윤리학 유럽연합과 미국의 잊힐 권리에 관한 입법 소고 / 김훈범 2016  159
132 1 윤리학 잊혀질 권리`` 도입의 정보윤리적 의미와 쟁점 / 임상수 2016  254
131 1 윤리학 정부기관의 정보열람 요구와 ISP의 협조의무 / 박훤일 2016  139
» 1 윤리학 잊혀질 권리에 관한 헌법적 연구 / 지용수 2016  249
129 1 윤리학 사생활의 비밀의 절차적 보호규범으로서의 개인정보보호법리 : 개인정보보호법 및 위치정보보호법의 해석 및 적용의 헌법적 한계 / 박경신 2011  385
128 1 윤리학 영국의 개인정보보호법 / 최경진 2009  171
127 1 윤리학 2015년 일본개인정보보호법의 개정 - 개정된 주요 내용과 시사점 / 김은수 2016  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