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윤리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540265 
태아의 권리능력 재논의 필요성에 대한 제언 

= A Legal Perspective on a Fetus’s Capacity for the Enjoyment of Rights

  • 저자[authors] 유지홍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의료윤리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7No.1[2014]
  • 발행처[publisher] 한국의료윤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4-3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4

초록[abstracts] 
[태아의 권리능력에 관해서는 민법제정 당시의 법률과 이론이 큰 변화 없이 유지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는 민법제정 당시와는 비교도 할 수 없을 만큼 생명과학과 의료기술이 발전하였다. ‘체외수정’이 보편화되고, ‘초미숙아의 생존’과 ‘체세포 핵치환에 의한 복제배아의 생성’ 등 민법제정 당시의 의료현실과는 비교할 수 없는 발전을 이룩하였다. 이와 함께 ‘생명의 본질’에 대해서도 규명되어 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대 생명과학의 입장에서 태아의 법적 지위를 완전한 권리능력자로 인정하는 새로운 입장을 제시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태아의 권리능력에 대한 ‘재논의 필요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민법은 ‘미출생 생명’으로 ‘태아’만을 유일하게 규정하고 있다. 한편, 헌법재판소는 최근 결정을 통해 ‘민법상 태아’를 ‘생명권을 가지는 기본권 주체’로 인정하였다. 이러한 점을 종합해보면, ‘민법상 태아의 시기(始期)’는 ‘인간생명의 시기(始期)’와 동일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생명의 본체를 판단하는 기준시점으로 ‘착상’, ‘수정 후 14일(원시선)’, ‘모체 내 수용’ 등의 견해가 제시되었다. 하지만 현대 생명과학은 수정 후에 거쳐 가는 ‘모든 과정’을 체외에서 기술적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발전해가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 감안한다면, ‘수정 시’에 생명으로서의 본체가 완성되며, 그 때부터 ‘생명권’의 주체가 된다고 해야 할 것이다. ‘민법상 태아의 시기’는 ‘인간생명의 시기’인 ‘수정 시(受精時)’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학설에 따라서는 현행 민법에서 ‘해석론’으로 태아를 ‘사람’에 포함시켜 권리능력자로 보호하려는 주장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해석론은 일반적인 문언(文言)의 이해 범위를 넘는 것이므로, 사회관념상 수용하기 힘들다. 따라서 ‘입법론’으로 ‘수정’ 이후는 ‘사람(자연인)’으로 보고, 완전한 권리능력을 인정하는 것이 명확하다. 즉, 민법 제3조를 ‘사람(자연인)은 수정(受精)된 때로부터, 생존하는 동안 권리와 의무의 주체가 된다’로 개정(改正)하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것이다. 이렇게 되면, 수정 이후의 모든 미출생 생명은 ‘사람’으로서 완전한 권리능력을 가지므로, ‘태아의 권리능력’은 별개로 논의될 필요가 없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2
3488 18 인체실험 신문의 방송비평기사의 공정성에 관한 연구 : ‘황우석 사건’ 방송보도에 대한 일간지의 비평기사를 중심으로 / 나영지 2009  113
3487 12 낙태 낙태와 관련된 민사적 제 문제 / 윤부찬 2011  113
3486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의료체계 내에서 진료정보교류의 법제 / 배현아 2016  113
3485 9 보건의료 NFC 기술 기반 병원의료정보 서비스 / 문용일 2016  113
3484 9 보건의료 의료소비자권리와 공유의사결정에 대한 연구 / 고은경 2017  113
3483 9 보건의료 노인 고혈압 환자의 외래진료와 복약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서화영 2015  113
3482 2 생명윤리 의사소통적 여성주의 생명윤리학과 공동의사결정 / 이은영 2017  113
3481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침해사고 대응을 위한 사이버 포렌식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공공기관 중심으로 / 박기배 2015  113
3480 13 인구 우리나라 출산정책의 정책도구에 대한 유형분석에 관한 연구 / 이기령 2018  113
3479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문세연 외 2017  113
3478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피험자의 만족도와 영향요인 / 백승식 2010  113
3477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의 두려움을 통해 본 구원의 확신과 목회적 돌봄 / 유현숙 2018  113
3476 18 인체실험 초대받은 임상시험 / 송화선, 박범순 2018  113
3475 1 윤리학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세대를 위한 목회적 대응방안/ 송준용 2019  113
3474 20 죽음과 죽어감 세션 3-3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화를 위한 선결과제 - 정부와 보험자의 역할 : 호스피스,완화의료 활성화 방안/정복례 2014  114
3473 18 인체실험 배아연구와 인간의 존엄과 가치 / 서종희 2011  114
3472 15 유전학 단일 기관에서 경험한 한국인 유전성 대사질환 환자의 돌연변이 분석 / 우혜인 2012  114
3471 9 보건의료 민간의료보험료 가구부담 및 보험금 수령에 따른 의료비 부담완화 효과 분석 / 김유진 2017  114
3470 9 보건의료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 및 표준화 프로세스 / 김현준 2017  114
3469 5 과학 기술 사회 만성질환자 자가관리를 위한 국제표준 프로토콜 기반 다중 에이전트 모바일 헬스 어플리케이션 개발 2016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