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철학연구(Korean journal of legal philosophy)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687165 
로봇 형법(Strafrecht fur Roboter)?
= The Criminal Law for the Robot?

                                   

  • 저자명

    김영환 ( Young Whan Kim )                                              

  • 학술지명

    법철학연구(Korean journal of legal philosophy)                           

  • 권호사항

    Vol.19 No.3 [2016]                                                         

  • 발행처

    한국법철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43-168(26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초록 (Abstract)
    • 이 논문의 목적은 로봇에 대한 형법(소위 “로봇 형법”)아라는 구상(Konzept)이 얼마나 설득력이 있는가를 다음의 네 가지 논거를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에 있다. 첫째, 비록 역사...
  • 이 논문의 목적은 로봇에 대한 형법(소위 “로봇 형법”)아라는 구상(Konzept)이 얼마나 설득력이 있는가를 다음의 네 가지 논거를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에 있다. 첫째, 비록 역사적으로 동물에 대한 형벌집행이 있었다고는 하지만 로봇에 대해 형벌을 적용할 수 있다는 주장은 그대로 받아들이기가 힘들 뿐만 아니라, 형법의 적용범위에 관한 오늘날의 관념에 더 이상 부합하지 않으며, 이에 대한 법적 근거가 없다는 것이다. 또한 동물윤리학의 로봇 형법에의 이전은 가능하지 않은데, 왜냐하면 로봇은 최소한 아직까지 감응능력이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둘째, 자율적으로 행동하는 로봇의 형법적 책임이라는 생각은 매력적이며 형벌이라는 사회제도의 구조를 심도 있게 분석하는 계기를 제공하지만 그러한 생각은 잘못된 길에 들어선 것이다. 이는 로봇의 “처벌”이 로봇을 잘못 평가한 결과이기 때문만은 아니다. 오히려 지능이 있기는 하지만 도덕에 따를 능력이 없어 규범적인 의미에서 “옳거나” “그르게” 행동하지 못하는 기계에 대해 형벌 제도를 적용한다면 이 제도는 진지함을 잃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셋째, 인간과 마찬가지로 로봇에 대해서도 법적 제재가 가능하다는 주장은 전혀 설득력이 없는데, 왜냐하면 로봇에 대해 제안된 형사제재인 재프그램화는 법적 근거가 없을 뿐만 아니라 그것의 변형된 형태들은 오늘날의 형법에서는 인정될 수 없는 형사제재의 종류이기 때문이다. 넷째, 인간의 책임을 기계에 이전시키는 것은 아직까지는 성급한 결론이며 그러므로 로봇 형법이 처벌의 공백을 메꾼다는 발상도 별로 근거가 없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로봇 형법이라는 구상 자체가 좀 더 세련되게 만들어질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는데, 왜냐하면 형법상 책임개념은 인간의 도덕적 인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발전되어 왔기 때문에 로봇 형법은 필히 책임개념의 혼돈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 초록 (Abstract)
    • In der vorliegenden Studie geht es hauptsachlich darum, ob und inwieweit das Konzept vom sog. Strafrecht fur Roboter zu legitimieren ist. Hier wird diese Frage unter vier verschdieneden Aspekten untersucht. 1) Zur These, dass das Strafrecht fur Robote...
  • In der vorliegenden Studie geht es hauptsachlich darum, ob und inwieweit das Konzept vom sog. Strafrecht fur Roboter zu legitimieren ist. Hier wird diese Frage unter vier verschdieneden Aspekten untersucht. 1) Zur These, dass das Strafrecht fur Roboter durchaus denkmoglich ist, weil die Strafrechtsordnung bis zur Aufklarung die Strafe gegen Tiere kennt, wird zunachst hervorgehoben, dass diese historischen Reminiszenzen von geringer Durchschlagskraft sind. Daran wird auch kritisiert, dass die “Bestrafung“ von Tieren oder sogar von leblosen Gegenstanden nicht mehr der heutigen Vorstellung von dem moglichen Anwendungsbereich des Strafrechts entspricht. Dagegen wird letztlich Bedenken erhoben, dass autonomen Robotern kein moralisches Status zugeschrieben werden sollte, weil es ihnen vor allem an der Empfindungsfahigkeit fehlt. 2) Gegen die Ansicht, dass autonomene Roboter nicht nur handlungs-, sondern auch schuldfahig ist, weil die Herstellung strafrechtlicher Begriffe allein von ihrer Zweckmassigkeit abhangt, wird ins Feld gefuhrt, dass auch Robotetern das Handungsfahigkeit zuerkannt werden kann, wenn der rechtliche Begriff keiner beschreibenden, sondern normativ-zuschreiben Art ist. Dennoch gilt dies nicht im Bereich der Schuld. Denn wenn die Strafe mit dem personlichen Vorwurf eng verbunde ist, kann sie nicht gegen Roboter verhangt werden. Daher sollte die Strafe gegen intelligente Maschine verzicht werden. Sonst steht bei der Bestrafung von Roberten die Wurde und Ernsthaftigkeit der Strafe auf dem Spiel. 3) Zum Gedanken, dass nicht nur Menschen, sondern auch Robertoren bestraft werden kann, lasst sich sagen, dass die als die Strafe vorgeschagene Umprogrammierung nicht in der gesetzlichen Strafe verankert ist. Daneben sei auch erwahnnt, dass sich diese Art der Korperstrafe im modernen Strafrecht verfaasungsrechtlich nicht legitimieren lasst. 4) Zum Vorschlag des Strafrechts fur Roboter zur Erschließung der Straflucke ist zu behaupten, dass er strafrechtsdogmatisch insofern unplausibel ist, als strafrechtliche Zuschreibungsmaßstabe weit reichen, um verschiedne Gefahrquellen zu uberwachen und zu sichern. Falls dies nicht dazu taugt, dann muss die Gesellschaft dies Problem ubernehmen. Insoweit ist keine Lucke auffindba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1
4608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판정과 장기이식의 윤리적 문제 / 이종원 2012  4108
4607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동의와 자율성의 법적ㆍ윤리적 고찰 / 이한주 2014  3971
4606 18 인체실험 Editorial: The 2013 special issue on stem cell biology / Dangsheng Li 2013  3948
4605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윤리·법·사회 문제 해결방안 / 이수빈 2019  3929
460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후견주의와 환자의 자기결정권 - 의사의 설명의무를 중심으로 - / 이석배 2007  3835
4603 20 죽음과 죽어감 보호의무자에 의한 정신질환자 강제입원·치료제도의 위헌성 -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관련 판례의 응용을 중심으로 / 정태호 2016  3773
4602 15 유전학 생명공학 시대의 유전자 조작 기술과 인간중심주의 비판 / 김광연 2016  3738
4601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배아 복제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진교훈 2009  3710
4600 12 낙태 ‘미혼모’의 인권제고를 위한 법제개선방안 비교법적 연구 / 신옥주 2016  3701
4599 8 환자 의사 관계 생명윤리에서 생명권과 자기결정권 / 이석배 2007  3692
4598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 금지(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갈등 / 김현아 2011  3684
»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 형법(Strafrecht fur Roboter)? / 김영환 2016  3624
4596 9 보건의료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관한 정책적 개선방안 2017  3576
4595 17 신경과학 정신과 병동 간호사가 인식하는 윤리 문제에 대한 사례 분석 : 원칙주의를 중심으로 / 조민정 2005  3535
4594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심초음파실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에 관한 연구 / 박정욱 2010  3503
4593 19 장기 조직 이식 특수부서 간호사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과 태도/오영란 2018  3324
4592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윤리적 문제 : 의사조력자살을 중심으로 / 이종원 2007  3193
4591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의 윤리성에 관한 연구 / 박인숙 2001  3148
4590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결정에 있어 사회복지사가 고려해야 할 윤리적 원칙들에 대한 연구 / 한민수 2003  3043
4589 17 신경과학 BCI 기술의 생명윤리 쟁점에 관한 연구 / 윤석란 2015  3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