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고신대학교 대학원 : 보건과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686051 
대학병원 의료종사자의 감염예방 표준주의 인지도와 수행도 

=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for the Infection Prevention by Healthcare Workers in a University Hospital

  • 저자[authors] 이소리
  • 발행사항 부산 :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60 p.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박재성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고신대학교 대학원 : 보건과학과 2018.2
  • DDC[DDC] 614.4 21
  • 발행국(발행지)[Country] 부산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표준주의
  • 소장기관[Holding] 고신대학교 문헌정보관 (221003)
  • UCI식별코드 I804:21003-200000011765

초록[abstracts]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for the Infection Prevention by Healthcare Workers in a University Hospital Lee So-ri Department of Health Science Graduate School, Kosin University Advising professor : Park Jae Sung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current states of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for the infection prevention by healthcare workers in a university hospital, with the factors facilitating or disturbing infection control and those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by healthcare workers. The 314 healthcare workers of a university hospital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study to provide them with effective ways for the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for each section.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of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the SPSS 18.0 was us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summarized in the following:    First, the scores, reflecting the awareness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distinguished by types of occupations were, 4.21±0.57 (doctors), 4.70±0.42 (nurses), and 4.56±0.45 (medical technicians), showing the differenc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01). In the subcategory reflecting the “respiratory etiquette”, the three types of occupations of the doctors, nurses, and medical technicians marked the highest scores of 4.49±0.64 (doctors), 4.76±0.47 (nurses), and 4.77±0.44 (medical technicians); the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Second, the scores reflecting the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distinguished by each type of occupations were 3.87±0.59 (doctors), 4.45±0.46 (nurses), and 4.48±0.47 (medical technicians); the differences in betwee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In the subcategory reflecting the “respiratory etiquette”, the three occupations of the doctors, nurses, and medical technicians marked respective highest scores of 4.17±0.64 (doctors), 4.64±0.52 (nurses), and 4.71±0.50 (medical technicians); the score of the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by medical technicians appeared higher than that of nurses, this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Third, the scores reflecting the influences of factors disturbing infection control distinguished by types of each occupation were as follows: 2.17±0.77 (doctors), 1.89±0.82 (nurses), and 1.92±0.96 (medical technicians). The degree of influence disturbed the infection control of the subjects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of nurses, medical technicians, and doctors; the differences in between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p<0.05).        Fourth, the scores reflecting the influences of factors facilitating infection control distinguished by types of each occupation were as follows: 2.90±0.71 (doctors), 3.86±0.61 (nurses), and 3.66±0.86 (medical technicians). The degree of influence facilitated the infection control of the subjects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of nurses, medical technicians, and doctors; the differences in betwee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Fifth, the differences in the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distinguish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ypes of each occupation were examined wherein, the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 of infection control for doctors (p<0.01) and the presence of the experiences of stab wounds (p<0.01) were found produc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the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Sixth,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of subjects were examined, and the following were found as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s: the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 of infection control (p<0.01) and disturbance of infection control (p<0.05) (doctors); the awareness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p<0.001) and facilitation of infection control (p<0.05) (nurses); and the awareness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p<0.001) (medical technician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levation of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standard precautions to be observed by healthcare workers is important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as well as the collaboration between managers, peers, and staff of infection control department in a hospital. Besides, the different levels of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of each type of occupations thus require the education programs of infection control customized for each type of occupations; these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of observing standard precautions of healthcare workers, and will eventually lead to prevention of the infection related to healthcare practices.

초록[abstracts] 
대학병원 의료종사자의 감염예방 표준주의 인지도와 수행도 이소리 고신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지도교수 박재성      국문요약    본 연구는 일개 대학병원 의료종사자의 직종별 표준주의 인지도와 수행도, 감염관리 방해요인과 촉진요인을 알아보고 표준주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일개 대학병원 의료종사자 314명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의료관련감염 예방을 위한 직종별 감염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서는 SPSS 18.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종별 표준주의 인지도 점수는 의사 4.21±0.57점, 간호사4.70±0.42점, 의료기사 4.56±0.45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하부영역별로는 ‘호흡기 에티켓’ 이 의사 4.49±0.64점, 간호사 4.76±0.47점, 의료기사4.77±0.44점으로 세 직종 모두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둘째, 직종별 표준주의 수행도 점수는 의사 3.87±0.59점, 간호사4.45±0.46점, 의료기사 4.48±0.47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하부영역별로는 ‘호흡기 에티켓’ 이 의사 4.17±0.64점, 간호사 4.64±0.52점, 의료기사 4.71±0.50점으로 세 직종 모두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의료기사의 수행도 점수가 간호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셋째, 직종별 감염관리 방해요인 점수는 의사가 2.17±0.77점, 간호사 1.89±0.82점, 의료기사 1.92±0.96점으로 간호사, 의료기사, 의사 순으로 방해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넷째, 직종별 감염관리 촉진요인 점수는 의사가 2.90±0.71점, 간호사 3.86±0.61점, 의료기사3.66±0.86점으로 간호사, 의료기사, 의사 순으로 촉진요인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다섯째, 직종별 일반적 특성에 따른 표준주의 수행도 차이에서는 의사만 ‘감염관리 교육’ 유무(p<0.01), ‘자상경험’ 유무(p<0.01)에 따른 표준주의 수행도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여섯째, 직종별 표준주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의사는 감염관리교육유무(p<0.01), 방해요인(p<0.05)이 간호사는 표준주의 인지도(p<0.001), 촉진요인(p<0.05)이 의료기사는 표준주의 인지도(p<0.001)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종사자의 표준주의 수행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표준주의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함은 물론 동료나 관리자, 감염관리부서의 협조가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직종별 표준주의 인지도나 수행도의 차이가 상이하기 때문에 각 직종별로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표준주의 수행도를 높이고 궁극적으로 의료관련감염을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1
3948 5 과학 기술 사회 중앙사고수습본부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간 지휘·협력체계 개선 방안 연구 : 세월호, 메르스, AI 대응사례를 중심으로 / 황요한 2018  525
3947 12 낙태 낙태에 관한 유럽인권재판소의 입장 : 대한민국에서의 논의에의 시사점 / 오미영 2014  525
3946 20 죽음과 죽어감 동물실험 연구자의 정신적 스트레스에 관한 예비 연구 / 모효정 2016  524
3945 5 과학 기술 사회 사물인터넷(IoT) 공통 플랫폼 구축에 따른 서비스 기반에 관한 연구 / 유홍택 2015  524
3944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고찰과 기독교적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 / 김혜순 2008  524
3943 22 동물복지 피터 싱어 동물해방론의 도덕교육적 의미 / 김대현 2014  523
3942 15 유전학 CRISPR/Cas9 기반 후성유전 편집 기술을 이용한 유전자 발현 조절 연구 / 박진석 2017  523
3941 20 죽음과 죽어감 부모의 죽음을 경험한 중년 여성의 글쓰기 체험 : 해석 현상학적 분석 / 박천영 2019  522
3940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을 위한 신적출 후 기증자 신기능의 장기적인 변화 / 장혜경 2007  522
3939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와 임종과정에 대한 정의 및 의학적 판단지침 / 이상민, 김수정 외 2018  521
3938 22 동물복지 관람에 이용되는 동물의 법적 보호에 관한 연구- 영국의 야생 동물 공연 금지 법안을 중심으로/정소영 2015  521
3937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윤리: 문제해결 중심의 접근과 도덕적 추론/이재숭 2013  521
3936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기술과 나노아트의 융합 연구 / 오규운 2016  520
3935 13 인구 결혼 여성의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김경아 2017  519
3934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에서 배란전후 프로게스테론 보충요법의 유용성 / 임소이 2003  519
3933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술 환자에서 혈당 수치가 임상 경과에 미치는 영향 / 유석하 2014  519
3932 18 인체실험 생명윤리원칙에 근거한 인간대상연구의 개인정보보호방안 모색 / 백소영 2016  519
3931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기 이해와 내러티브적 참 / 조선우 2014  519
3930 14 재생산 기술 산전진단에 나타나는 공리주의와 우생사상에 대한 인격주의 생명윤리적 고찰 / 최정임 2015  519
3929 14 재생산 기술 배아연구에 관한 법·윤리적 고찰/ 김향미 2009  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