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3
발행년 : 2003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586459 
낙태 경험을 통해 본 '미혼' 여성의 섹슈얼리티(Sexuality)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 Study On Change Of 'Unmarried' Woman's Perspective On Sexuality Through The Experience Of Abortion

                                        

  • 저자

    최원영                                       

  • 형태사항

    iv, 120p. ; 26cm

  • 일반주기

    참고문헌: p. 104-1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여성학과 2003. 2

  • KDC

    337 4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3

초록 (Abstract)

  • 본 논문은 여성들이 말하는 낙태 경험이 드러나지 않고 낙태에 대한 단선적 담론, 낙태반대운동 속에서 여성들의 낙태 경험의 다양한 층위가 은폐되고 획일적으로 읽혀진다는 문제제기에서...
  • 본 논문은 여성들이 말하는 낙태 경험이 드러나지 않고 낙태에 대한 단선적 담론, 낙태반대운동 속에서 여성들의 낙태 경험의 다양한 층위가 은폐되고 획일적으로 읽혀진다는 문제제기에서 출발했다. 특히 1990년대 이후 평등하고 상호적인 관계, 주체적 자아에 대한 욕구 속에서 성 경험을 하는 여성들이 등장하고 있는데 이들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낙태를 하게 되는 과정 그리고 이들에게 낙태가 가지는 영향·의미에 주목하여 낙태의 구조적 성격과 특정 맥락에 위치한 여성들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인식 과정과 그것의 의의와 한계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참여자들은 대학교 재학 이상의 학력 그리고 중산층의 20대 여성으로 혼전 임신을 하고 낙태를 하였다. 어느 수준의 성차별에 대한 비판적 인식은 있다고 스스로를 생각하는 연구참여자들에게 섹슈얼리티는 비관적 인식의 여부를 증명하는 기준이자 다른 여성과 자신을 분리하는 지점 그리고 자아를 구성하는 장으로 작동하고 있었다. 이들은 가부장적 의미체계에서 규정하듯이 무성적인 존재도 아니고, 여성 섹슈얼리티 억압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성 지식의 결여로 인해 혹은 성관계에 개입하는 다양한 기제로 인해 성 관계에 대한 통제권이 축소되거나 상실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은 남성 파트너와 이성애 연애 규범을 통해 재현되는 여성의 성과 몸에 개입하는 다양한 기제와의 갈등 속에서 낙태를 하게 되었다.
    낙태는 여성의 성을 통제하는 사회적 담론과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계기이자 다층적 갈등의 촉매로 작동했다. 연구참여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주요한 갈등은 결혼 내의 성만을 허용하는 성 규범과의 갈등이다. 순결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 있었고 그것과 갈등하면서 성관계를 가졌지만 낙태는 그러한 규범에 대한 비판의식의 피상성과 추상성을 드러내었다. 생명 우선론의 개입에 대해서는 가치관, 준거집단에 차이에 따라 위축되기도 하고 그러한 담론에 '말리지 않으려는' 노력을 하는 등 다양한 대응이 나타났다 또한 스스로에 대한 기대에 못 미치는 행동의 증표로 낙태가 읽혀지면서 그로 인한 자존감과 자의식의 손상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이러한 갈등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보이는데 이는 갈등에 대한 성찰에서부터 시작했다. 그러고 이론가, 학자들의 논의를 통해서 자신의 경험을 이론화시키고 정당화하려는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낙태 경험을 공유하기도 하지만 이는 제한된 대상으로 한정된다. 이는 현재의 성 억압 속에서 현실적인 전략이기도 하지만 낙태 경험 공유는 억압적 성 규범에 대한 비판과 대안적 규범에 대한 모색, 집단화된 저항으로 연결되기보다 정서 ·심리를 치유하는 역할에 그치는 한계를 보인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논문 개요 = ⅳ
  • Ⅰ. 서론 = 1
  • A. 문제제기 및 연구주제 = 1
  • B. 연구방법 = 7
  • 1. 연구방법 및 연구과정 = 7
  • 2. 연구참여자의 특성 = 10
  • 3. 연구참여자의 낙태 경험 개관 = 16
  • C. 한국 미혼 여성의 성(Sexuality)에 관한 연구의 전개와 의의 = 20
  • Ⅱ. 미혼 여성의 성경험에 개입되는 권력의 작동 = 24
  • A. 성적 무지 위에 구축된 '성적 주체성' = 24
  • 1. 의식과 욕망을 소유한 여성들의 등장 = 24
  • 1-1. 섹슈얼리티 억압에 대한 비판적 인식 = 25
  • 1-2. 대안없는 비판의식의 한계 = 28
  • 1-3. 성적 욕구의 주체로서의 자의식 = 31
  • 2. 성 지식이 결핍된 '성적 주체'의 불완전성 = 35
  • 2-1. 남성의 성 지식에 기반한 '성적 주체화' 과정 = 35
  • 2-2. 추상적 성 지식에 의존하는 '성적 주체' = 41
  • B. 성적 주체화의 자원이 되지 못하는 성 지식 = 43
  • 1. 이성에 연애의 구조적 관계성 = 44
  • 1-1. 관계를 유지시키는 매개로서의 성 = 44
  • 1-2. 낭만화된 성의 추상성 = 47
  • 2. 성적 욕구와 몸의 분리 = 50
  • 3. 혼란스러운 성적 주체성 = 52
  • Ⅲ. 낙태로 인한 갈등 발생 양상 = 55
  • A. 낙태로 인한 갈등의 발생 = 55
  • 1. '미혼' 여성에 대한 성 규범과의 갈등 = 56
  • 1-1. 낙태를 한 '미혼' 여성이라는 낙인 = 56
  • 1-2. 관계에 대한 통제권의 위축 = 58
  • 2. 생명 우선론에 대한 갈등 = 60
  • 2-1. 죄의식과 공포의 발생 = 60
  • 2-2. 제한된 상황에 대한 아쉬움과 생명 우선론에 대한 거부 = 63
  • 3. 비판적 성 의식에 대한 갈등 = 68
  • B. 갈등을 극복하려는 시도와 의지 = 71
  • 1. 갈등에 대한 해석 = 72
  • 2. 경험을 드러내고 공유하기 = 76
  • 2-1. 경험을 말할 수 있는 한정된 대상과 조건 = 76
  • 2-2. 낙태 경험 공유의 의의 = 80
  • Ⅳ. 색슈얼리티에 대한 의식의 변화 = 84
  • A. 피임에 대한 인식의 강화 = 84
  • 1. 피임 지식 확보와 실행 = 85
  • 2. 피임 책임자로서의 의식 강화 = 86
  • B. 성별화된 존재로서의 여성에 대한 인식 = 90
  • 1. 남녀 관계에서의 '한 끗 차이'; 피임 의의 조건에 대한 인식 = 90
  • 2. 이성에 연애관계 구조에 대한 인식 = 94
  • 2-1. 연애관계 내 권력관계 협상 = 94
  • 2-2. 이성에 관계의 거부 = 96
  • Ⅴ. 종합논의 및 결론 = 100
  • 참고문헌 = 104
  • ABSTRACT = 11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1
4103 1 윤리학 한스 요나스 책임윤리의 도덕교육에의 적용 / 김상철 2003  573
4102 5 과학 기술 사회 컴퓨터가 할 수 있는 것'에 관한 지식사회학적 고찰 / 권기석 2000  384
4101 5 과학 기술 사회 가상 로봇의 학습 행동이 인공 진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최상호 2005  153
4100 12 낙태 대학생의 낙태, 자살, 안락사에 대한 인식 조사 / 박진영 2014  662
4099 10 성/젠더 탈북여성의 북한, 중국, 한국에서의 결혼생활을 통해본 인권침해와 정체성 변화과정 / 이화진 2010  328
4098 12 낙태 낙태죄 관련 규정의 합리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송근화 2015  736
4097 12 낙태 낙태규율의 원칙과 방법 / 김진 2011  303
» 12 낙태 낙태 경험을 통해 본 '미혼' 여성의 섹슈얼리티(Sexuality)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 최원영 2003  459
4095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형법적 고찰 / 성경숙 2004  395
4094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완화적 진정제 투여에 대한 가족의 태도 : 투여 전과 투여 후 비교를 중심으로 /조문애, 김달숙 2012  571
4093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서비스가 말기암 환자의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정현명 2009  99
409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연구 / 강진아 2010  160
409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 :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현황과 발전방향 / 유선희 2014  610
4090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병동 성인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다학제적 통증 관리에서의 약사의 역할 : 통증 관리와 진통제 사용 적절성 / 금민정 2015  204
4089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생존기간 예측을 위한 혈액학적 검사와 완화 의료 예후 지수의 유용성 평가에 대한 전향적 연구 / 손효림 2011  410
408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병동 간호사의 부서이동 태도 / 권예원 2016  376
4087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과실소송에 있어서 환자의 증명책임의 완화에 관한 연구 / 전진용 2010  191
4086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화 사회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발전방안 / 이미정 2005  274
4085 20 죽음과 죽어감 군보건의료인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과 교육요구도 / 장호영 2016  152
4084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가족의 호스피스·완화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 함혜영 2013  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