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 제119집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3445468 
한국어 초록
  생명의료윤리학 분야의 대표적인 저서인 톰 비췀(Tom Beauchamp)과 제임스 췰드리스(James Childress)의 『생명의료윤리학의 원칙들』(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이하 PBE)은 1979년 초판이 발행된 이후 2012년 7판까지 개정을 거듭하면서 자신들의 논의에 대한 반론에 대응해오고 있다. 개정 과정에서 가장 큰 변화로 간주되는 것은 1~3판까지의 연역주의의 토대주의가 4판부터 넓은 반성적 평형(wide reflective equilibrium, 이하 WRE)으로 전환되었다는 것이다. 더욱이 6판부터는 WRE에 공통 도덕(common morality)이 결합한 형태로 수정된 정당화 이론이 제시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변화와 수정이 무엇인지, 이러한 변화와 수정이 정당한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입장과 해석이 공존하여 혼란이 초래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비췀과 췰드리스(이하 BC)의 PBE에 나타나는 WRE의 성격을 규명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이러한 논문의 목적과 관련해서, 본 논문은 PBE 6~7판에 나타나는 BC의 정당화 이론인 공통 도덕과 결합한 WRE에 대해 세 가지 비판을 제기하고자 한다. 첫째, BC는 WRE와 인식론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논의되는 순수한 형태의 정합론(coherentism)을 동일시하는 우를 범하고 있다. BC는 다른 많은 학자들이 그런 것처럼 WRE와 정합론을 동일시하여 적어도 정당화 방식에서는 불필요한 공통 도덕을 도입해 WRE와 결합시킨다. 또한 이러한 한계로 인해 BC는 자신의 정당화 이론이 무엇인지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는 첫 번째 비판과 연결된 것으로, BC는 WRE를 오해하고 있다. BC는 WRE가 갖고 있는 정합성 논의가 형식적이라고 오해하고, 이러한 형식적 차원이 초래할 “고립화의 문제”(isolation problem) 또는 “고립 반론”(isolation objection)에 대응하기 위해 공통 도덕을 통해 실질적 성격을 확보하고자 한다. 그러나 WRE의 숙고된 도덕 판단은 초기부터 신뢰가능성을 이미 확보한 판단이기 때문에 공통 도덕 없이도 실질적 성격을 가질 수 있다. 셋째, BC의 정당화 이론에 등장하는 공통 도덕 논의가 혼란스럽다. BC의 논의에는 공통 도덕이 수정가능하다는 해석과 수정가능하지 않다는 해석이 모두 가능하여 혼란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그 필요성에 대해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이러한 비판을 토대로 본 논문은 PBE 6~7판에서의 정당화 이론은 제대로 정립되지 않아 타당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BC는 WRE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공통 도덕 논의의 명료화를 통해 정당화 이론을 정교화 해야 한다. 본 논문의 이러한 비판적 검토가 BC의 논의를 이해하는 데 기여하여 생산적인 논쟁의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 초록

  Tom Beauchamp and James Childress’s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most prominent and important works in bioethics. It has been significantly revised for sophistication between the 1st edition (1979) and the 7th edition (2012). The most important change was from Beauchamp and Childress (BC)’s deductive method of justification (in the 1st~3rd editions) to their coherent method of wide reflective equilibrium (in the 4th~7th edition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icate what BC’s method of justification really is (namely wide reflective equilibrium (WRE) based on the common morality) and to examine critically whether it is theoretically justifiable and plausible. I criticize WRE based on the common morality for three reasons. First, BC does not distinguish WRE from coherentism as a purely epistemological method of justification. For this reason, BC argue with the example of “Pirates’ Creed of Ethics or Custom of the Brothers of the Coast” (1640), that WRE cannot respond to “the isolation objection” coherentism usually faces. Second, related to the first reason, BC misunderstand WRE and unnecessarily introduce the common morality to respond to the isolation objection. WRE itself can respond to the objection in that it is based on considered moral judgments with initial credibility. For this reason, I argue that BC do not have to introduce the common morality in their method of justification. Third, BC’s concept of common morality is confusing. On the one hand, BC seem to argue that the common morality is strongly fundamental and infallible when they try to make up for the presumptive weak point of WRE. On the other hand, BC seem to accept that the common morality is revisable when they contrast their common morality with Bernard Gert’s. Whether it is a considered moral judgment derived from the irrevisable common morality or the revisable common morality, the belief in WRE is revisable. If so, I doubt that the common morality needs be introduced into BC’s method of justification in that it does not differentiate from considered moral judgments. Therefore, I suggest that BC should revise their method of justification based on WRE. This means detaching the common morality from their method, at least in justification, and reviving their understanding of WRE in the 4th~5th.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글
2. BC의 WRE 이해에 대한 비판적 검토
3. BC의 공통 도덕과 결합한 WRE 정당화 방식 자체에 대한 비판적 검토
4. 나오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넓은 반성적 평형, 공통 도덕, 정합론, 토대론, 정합성, Wide Reflective Equilibrium, Common Morality, Coherentism, Fundamentalism, Coherence



상세서지

  • 발행기관 : 한국철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 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 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344546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2
688 17 신경과학 정신건강복지 관련 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성중탁 2018  537
» 1 윤리학 비췀과 췰드리스의 생명의료윤리학 논의에서의 넓은 반성적 평형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목광수 2014  538
686 20 죽음과 죽어감 회생불가능한 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헌법적 고찰 :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입법적 연구를 중심으로 / 강혜경 2016  538
685 12 낙태 낙태에 대한 여성의 인식과 태도 / 김도경 외 2013  538
684 16 환경 생체모방의 근본원리에 비춰본 4차 산업혁명 시대 생태문학의 의의/임도한 2018  538
683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인의 심장이식 수술 후 발생하는 동종 이식 관상동맥 질환의 특성분석 비교 / 박경민 2005  539
682 15 유전학 미생물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과 약제내성 기작 연구를 위한 유전정보의 활용 / 차선호 2010  540
681 8 환자 의사 관계 임상적 의사결정과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환자, 가족, 간호사와 의사의 인지도 / 박애란, 소향숙, 채명정 2014  541
680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 영적 안녕과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관계 연구 / 양진희 2016  541
679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교육에 있어서 안락사 문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한미정 2012  542
678 15 유전학 노로바이러스 전장유전체 분석 및 식중독 바이러스 동시 검출법 개발 / 이정수 2016  542
677 2 생명윤리 자유주의 우생학에 관한 생태신학적 비판 및 재구성 / 김광연 2018  544
676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후 임신이 이식신 및 출산에 미치는 영향 / 김민수 2014  544
67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을 결정한 말기환자 가족의 경험 / 박연옥 2003  545
67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자살생존자의 자살경험에 관한 연구 : 모과 옹두리에서의 비상 / 박지영 2007  545
673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윤리 : 윤리이론의 선택의 문제에서 덕윤리/강기호 2015  545
672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윤리 교육에서 영화 및 역할극의 이용가능성 및 효과성 비교/정석희, 신자현 2015  545
671 20 죽음과 죽어감 영국의 안락사 : ‘조력자살(Assisted Suicide)’과 관련된 주요 사건과 입법동향을 중심으로 / 이주희, 조한상 2010  545
670 9 보건의료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 보험수가 분석 / 김현진, 김세연 2015  545
669 17 신경과학 학생상담자원봉사자의 활동 지속성 관련 요인 분석 / 조복순 2018  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