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17969 
기혼여성의 출산의도와 출산에 영향 미치는 요인 

= Factors Affecting to Fertility Intention and Childbirth of Married Women

  • 저자[authors] 조아라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vi, 77 p.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정익중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2018.2

  • DDC[DDC] 300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소장기관[Holding]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211048)

  • UCI식별코드 I804:11048-000000147766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저출산 현상과 관련한 연구 및 향후 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출산은 출산계획 또는 의도가 있고 난 후 일어나므로 기존 연구에서는 출산의도를 출산대신 종속변수로 사용해왔으나, 출산의도가 실제 출산을 완벽하게 예측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밝힌 주요변인을 인구·사회학적 요인, 경제적 요인, 가족적 요인, 정책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계획이나 생각을 뜻하는 출산의도와 실제 출산행위를 뜻하는 출산을 동시에 탐색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무자녀에서 첫째자녀, 첫째자녀에서 둘째자녀의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각각 살펴보았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여성가족패널(KLoWF)의 1차에서 5차연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여 출산력을 파악할 수 있는 종단연구를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만 19세 이상 만 45세 미만이면서 배우자가 있는 기혼여성으로 하였으며, 종속변수인 출산의도와 출산을 기준으로 하여 첫째자녀에 대한 출산의도(모형1), 첫째자녀 출산(모형2), 둘째자녀에 대한 출산의도(모형3), 둘째자녀 출산(모형4)으로 나누어 총 4개의 데이터를 구성하여 통합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4.0을 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모형1(첫째 출산의도)은 1차 조사에서 출산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2~5차 조사에 참여할 때마다 일관되게 출산의도가 있다 혹은 없다고 응답한 132명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혼여성의 대부분이 첫째자녀에 대한 출산의도가 있었으며, 응답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첫째 출산의도가 있었다. 모형2(첫째 출산)는 1차 조사에서 출산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5차에 출산경험이 없다 혹은 있다고 응답한 224명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반수가 첫째자녀를 출산하였으며, 응답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남편 가사노동시간이 길수록, 부성휴가 인지도가 높을수록 실제 첫째자녀를 출산하였다. 모형3(둘째 출산의도)은 1차 조사에서 출산경험이 있으며, 출산 자녀수가 1명인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2~5차 조사에 참여할 때마다 일관되게 출산의도가 있다 혹은 없다고 응답한 336명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혼여성의 대부분이 둘째자녀에 대한 출산의도가 없었으며, 응답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아내의 일자리가 없을수록, 본인 가사노동시간이 길수록, 남편 가사분담만족도가 높을수록, 부성휴가 인지도가 높을수록 둘째 자녀에 대한 출산의도가 있었다. 모형4(둘째 출산)는 1차 조사에서 출산경험이 있으며, 출산 자녀수가 1명인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5차에 출산경험이 없다 혹은 있다고 응답한 674명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이 둘째자녀를 출산하지 않았으며, 응답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부성휴가 인지도가 높을수록 실제 둘째자녀를 출산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또는 둘째자녀를 계획하게 되는 요인과 실제 출산을 결정하게 되는 요인을 개별적으로 파악하여 저출산 현상의 실질적인 대응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2
4288 9 보건의료 만성질환자에서 상용치료원의 유무가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윤완중 2014  65
4287 14 재생산 기술 고령 불임여성의 체외수정술시 최소자극법의 효용성 / 김소라 외 2009  65
4286 9 보건의료 의약품의 안전정보 제공을 위한 국가의 역할 / 김재선 2013  65
4285 8 환자 의사 관계 우리나라 의료기기 부작용에 따른 피해구제시스템 도입방안 연구 / 최철호 2017  65
4284 2 생명윤리 임신한 여성의 결정과 자율성 : 생명윤리, 여성의 경험에 귀 기울이라 / 하정옥 2010  65
428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 ‘소피아’와 함께하는 시대 / 김도식 2018  65
4282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의료기관 사회적 책임활동 측정 도구개발 및 타당화 / 조경원 외 2018  65
428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의 출현으로 인한 법적 논란에 관한 영역별 쟁점의 고찰 / 김종호 2018  65
4280 18 인체실험 한의표준임상정보화의 과제와 전망 / 윤영흠 2018  65
4279 20 죽음과 죽어감 뇌사 개념의 비교법적 논의와 민사법적 효과 / 김기영 2019  65
4278 15 유전학 게놈 정보의 기능분석 동향 / 신희섭 1996  66
4277 9 보건의료 바이오헬스산업과 의약품 접근권 -바이오의약품 자료보호에 대한 최근 논의 / 박대웅, 이주하 2016  66
4276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태도가 의료기관 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 종합병원의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 한수연 2009  66
4275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의 동의의 법적 유효성과 설명의 내용 : 일본에서의 논의와 우리나라에서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 송영민 2012  66
4274 2 생명윤리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인간대상연구 현황, 과제 관리 기준과 생명윤리에 관한 고찰 / 유은주 2017  66
4273 5 과학 기술 사회 스마트폰 환경에서 공인인증서 사용 시 소유 및 생체인증 연동 방법 / 김선종 2015  66
4272 18 인체실험 국내 비임상시험기관에 대한 외국 규제기관 수검 사례 / 정은주 2013  66
4271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무능력자를 대신하는 의료결정을 개선할 방안은 없는가? / 김상구 2017  66
4270 14 재생산 기술 모자 건강보호를 위한 난임부부 지원사업 개선방안 2015  66
4269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의 통합적 사례 연구 / 신성호 2017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