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01117 


국제비교를 통한 산재보험과 건강보험의 수가체계 차등화에 대한 연구: 일본,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영국을 중심으로
=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Fee Schedule of EII and NHI: Focused on Japan, Germany, Austria, Switzerland and UK





 - 저자명 김진수 ( Jin Soo Kim )  ,이진아 ( Jin Ah Lee )  ,이민아 ( Min Ah Lee ) 

 - 학술지명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 권호사항 Vol.39 No.- [2014] 

 - 발행처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Center For Social Welfare Research Yonsei University)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31-57(27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4년

 - 등재정보 KCI등재

 - 주제어 산재보험  ,수가체계  ,요양보험  ,행위별수가제  ,총액예산제  ,Employment Injury Insurance  ,fee schedule  ,medical care  ,fee-for-service  ,DRG 

 -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한국학술정보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http://www.riss.kr/link?id=A100001117




초록

산재보험과 건강보험이 지급하는 요양급여는 그 동일한 성격에도 불구하고, 제도적 목적의 차이에 따라 수가가 다르게 매겨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산재보험의 요양급여 수가는 원칙적으로는 건강보험을 따르게 되어 있는데, 산재보험은 건강보험에서의 종별 가산율에 다시 한 번일정 비율을 가산하거나 입원료 체감률의 미적용 또는 완화된 체감률 적용을 통하여 건강보험 보다 높은 의료비용이 책정되어 있다. 이러한 두 보험제도의 이원화된 수가체계는 산재환자의 특성과 의료기관의 요구가 반영된 결과로 합리적이라고 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의 사례를 검토하여 두 제도의 요양급여 수가체계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일본의 산재보험수가는 건강보험 진료비에 일괄적으로 20%를 가산하는 단순한 형태로 되어있어 산재보험의 목적 수행과 독자성 확보에 걸림돌이 될 수 있으며, 독일의 건강보험과 산재보험은 각각 독립적인 수가체계가 존재하고 산재근로자의 병원 선택권 제한과 산재직영병원의 높은 질적 수준을 통해 현실적으로 두 제도의 요양급여의 분리가 이루어졌다. 스위스의 다원주의적 전통은 산재보험에도 반영되어, 의료공급기관의 다양한 법적 성격과 지역별 차이로 일괄적 수가계약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오스트리아는 산재직영병원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산재보험의 목적을 최대한 달성하면서 동시에 재정안정을 이루었고, 산재보험에 수가체계를 두지 않고 소요된 의료비용을 조달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영국의 NHS는 사회보험국가들과는 달리 조세로 충당되는 의료시스템을 통하여 산재환자를 전국민 대상의 보건의료서비스체제에 포괄시키는 모습이 나타난다. 이러한 비교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첫째, 두 제도의 목적에 따른 요양급여 성격 차별화 및 수가체계 개선, 둘째, 산재보험 요양급여의 합리화, 셋째, 산재직영병원 질적 수준의 제고 및 산재보험 재정안정화, 넷째, 두 제도의 요양급여 분리 유도 및 총액예산제 도입 노력을 정책적 대안으로 제시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2
828 20 죽음과 죽어감 이른바 ‘연명의료결정’법의 형사정책적인 의문 / 이경렬 2016  97
827 2 생명윤리 죽음 규정에 관한 논란과 그 인간학적 함의 = The Dispute on Defining Death and Its Anthropological Meaning/허민 2016  97
826 19 장기 조직 이식 Liver transplantation in Latin America: Current status 2004  97
825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공지능 기술과 미래 어린이철학교육의 전망 / 김민수 2019  96
824 9 보건의료 의료규제 정책의 딜레마에 관한 연구: 신약 및 신의료기기 분야의 전문가 조사를 중심으로/ 이유현, 정일영 2018  96
823 8 환자 의사 관계 분만 의료사고에 대한 보상사업 :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분쟁조정 등에 관한 법률 제46조에 관하여 / 백경희, 안법영 2011  96
822 10 성/젠더 성역할 인식의 영향요인과 정책적 함의 /원숙연, 김예슬 2017  96
821 15 유전학 유전자분석을 통한 결핵약제내성검사 결과의 해석과 적용 / 전두수 2018  96
820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신장이식에서 KONOS의 경계공여자 기준의 개선을 위한 다기관 연구 수행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예비연구 / 허우성 2017  96
81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의 치료비 청구와 ‘책임제한’ 법리의 재검토 / 장재형 2018  96
818 14 재생산 기술 북한 내 재생산 영역의 사회구조와 여성의 실천 : 임신‧출산 관련 법제와 개인 경험을 중심으로 / 김석향 외 2016  96
817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규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심우현, 박정원 2018  96
816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환자권리에 대한 인식과 윤리적 가치관이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 김미숙 외 2018  96
815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의사표시방식에 관한 각국의 최근동향 / 송영민 2018  96
814 1 윤리학 생명과학분야 기초교양을 위한 멀티미디어 자료 활용 방안/주양선 외 2017  96
813 1 윤리학 인공도덕성 검사의 가능성 / 김효은 2018  96
812 9 보건의료 순환기 약물임상시험 대상자의 서면동의서 이해도와 참여결정후회도 / 윤은화 외 2014  96
811 9 보건의료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불면의 무작위임상시험 해외 연구 동향 / 백영화 외 2013  96
810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 연구의 프라이버시 문제와 그 위험성에 관한 철학적 고찰 / 허유선, 정창록 2017  96
809 7 의료사회학 의료기술의 평가와 급여 결정 방향 / 박종연 2017  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