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0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535031 

병동형 호스피스 대상자를 위한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Development & Effects of W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In-patient of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 저자

    최성은                                       

  • 형태사항

    vii, 92p. : 삽도 ; 26cm

  • 일반주기

    참고문헌: p. 59-7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고신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05. 8

  • KDC

    512.8 4

  • DDC

    610.73 21

  • 발행국

    부산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5                                                                                                                                                                         

  • 소장기관

    • 고신대학교 문헌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초록 (Abstract)
    • 최근 가정에서 보다 호스피스 완화의료기관에서 임종을 맞이하는 대상자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다. 말기환자와 그 가족들은 신체적인 고통뿐 아니라 심리·사회적, 영적 측면에서 전인...
  • 최근 가정에서 보다 호스피스 완화의료기관에서 임종을 맞이하는 대상자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다. 말기환자와 그 가족들은 신체적인 고통뿐 아니라 심리·사회적, 영적 측면에서 전인적인 고통을 겪고 있으므로 이러한 고통을 완화시켜주기 위해서는 간호사, 의사, 성직자, 사회복지사 등의 다학제(multi-discipline) 전문가들과 자원봉사자로 구성된 호스피스 팀에 의해 제공되는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병동형 호스피스 대상자를 위한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적용 효과를 통증, 상태불안, 자아존중감 및 영적안녕을 중심으로 검증하는 단일군 전·후 유사실험 연구설계이다.
    연구 대상은 P시 소재 S병원의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18세 이상의 환자 27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4년 4월 6일부터 2005년 4월 20일까지였으며, 자료수집 방법은 본 연구자 및 훈련된 4명의 연구보조자가 직접 대상자의 병실을 방문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한 후 작성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도움이 필요한 경우 대상자의 의견을 연구보조자가 설문지에 대신 옮겨 적었다.
    연구도구로서 실험도구는 병동형 호스피스 대상자 또는 그 가족을 위하여 개발된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으로 전인적, 다학제적, 개별 및 집단적인 중재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상호협동적인 다학제 전문가팀(간호사, 의사, 성직자, 사회복지사, 무용치료사, 미술치료사, 자원봉사자)이 호스피스 대상자 병실이나 병동에서 매회 120분씩, 총 10회(총1,200분)에 걸쳐 실시한 프로그램이었다.
    프로그램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서 통증 척도는 윤영호(1998) 등이 한국형 간이통증 조사지(Korean Version of Brief Pain Inventory, BPI-K)로 개발한 도구 중 일부를 윤매옥(2000)이 사용한 도구, 상태불안 척도로는 Spielberger(1975)의 상태불안 측정도구(State-Anxiety Inventory)를 김정택과 신동균(1978)이 번역하여 사용한 도구, 자아존중감 척도로는 Rogenberg(1965)가 개발한 도구(SEQ: Self-Esteem Questionnaire)를 김문주(1984)가 번안한 도구, 영적안녕 척도는 Paloutzian & Ellison(1983)이 개발하고 최상순(1990)이 번안하고, 강정호(1996)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수집된 자료를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최대값, 최소값, 평균, 표준편차,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 ; '무지개 프로그램'
    (1) 본 프로그램의 목적은 호스피스 대상자를 전인적 존재로서 이해하며, 그들이 존엄성과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하면서 인생의 마지막 시기를 의미 있고 풍성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삶의 마지막 순간까지도 평안하게 맞이하도록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으로 도우며 사별가족의 고통과 슬픔을 경감시키기 위함이다.
    (2) 프로그램의 실시는 전인적인 팀접근을 위해서 호스피스 교육을 이수한 상호협동적인 다학제 전문가(간호사, 의사, 성직자, 사회복지사, 무용치료사, 미술치료사 등) 및 자원봉사자에 의해 수행되었다.
    (3) 프로그램의 대상은 병동형 호스피스 환자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4) 프로그램의 내용은 대상자들의 간호요구를 토대로 호스피스의 특징인 전인적, 다학제적, 개별 및 집단적인 중재이며, 구체적으로 통증조절, 증상조절, 환자상담, 가족상담, 미용봉사, 침상목욕이나 머리감기, 레크리에이션, 산책하기, 문화행사(영화, 연주회, 찬양제, 전시회 등), 성직자 신앙상담, 성례의식, 기도, 병상예배, 찬송가 들려주기 및 부르기, 음악 감상, 추억나누기, 병실 방문 중창, 병동 방문 연주, 성경묵상, 무용치료, 미술치료, 사회·경제적 상담, 가족의 사랑과 감사 고백하기 등이 포함되었다.
    (5) 실시장소는 호스피스 대상자의 각 병실, 병원의 실외정원, 병동의 실내정원, 가족상담실, 병원 강당, 교육실 등에서 이루어졌고, 소요시간은 매회 120분씩, 총 10회(총1,200분)에 걸쳐 실시되었다.
    2.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 1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병동형 호스피스 환자(이하 실험군)는 실험 전보다 실험 후의 통증 정도가 낮을 것이다' 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은 실험 후의 통증 점수가 유의하게 낮아 가설이 지지되었다(t=-10.585, P= .000).
    (2) 가설 2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실험 전보다 실험 후의 상태불안 정도가 낮을 것이다' 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은 실험 후의 상태불안 정도가 유의하게 낮아 가설이 지지되었다(t=-8.234, P= .000).
    (3) 가설 3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실험 전보다 실험후의 자아존중감 정도가 높을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은 실험 후의 자아존중감 정도가 유의하게 높아 가설이 지지되었다(t=11.554, P= .000).
    (4) 가설 4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실험 전보다 실험 후의 영적안녕 정도가 높을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은 실험 후의 영적안녕 정도가 유의하게 높아 가설이 지지되었다(t=6.387, P= .000).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은 호스피스 대상자의 통증 및 상태불안을 완화시키고 자아존중감과 영적안녕을 향상시켜 전인적 차원에서 그 효과가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호스피스 임상 실무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그로 인해 호스피스 대상자의 전인 건강을 유지 증진하고 삶의 질을 총체적으로 높일 수 있는 데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 초록 (Abstract)
    • People in the end of life and their families suffer in their physical disease and other aspects as a whole person. They need hospice care to palliate their total suffering in physical, emotional, social and also spiritual aspect through professional h...
  • People in the end of life and their families suffer in their physical disease and other aspects as a whole person. They need hospice care to palliate their total suffering in physical, emotional, social and also spiritual aspect through professional hospice team. To care their whole personal needs, hospice team must be a multi-discipline team which is consisted of medical doctors, nurses, social workers, pastors and volunteers. Recently, those who die in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have trend to increase more than in home year by year.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o be performed by multi-discipline team approach for in-patient of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d test the effects on pain, anxiety, self-esteem, and spiritual well-being of w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inpatient of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one-group pretest-posttest research.
    The subjects of study were collected from 27 patients those who were over 18 years old and admitted in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of S hospital in P city with agreement in hospice palliative care in their terminal disease.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April 6, 2004 to April 20, 2005.
    A W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was used as a tool for treatment in this study. This was developed by me through primary survey to find needs of hospice patients in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after the review of literatures about hospice care programs, its standards, and preceeded researches for nursing intervention for hospic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fter then I consulted some professors and those who majored in hospice nursing care and are working in hospice center as a coordinator and director before and after meeting with hospice team consist of medical doctor, nurse, social worker, therapist, pastor individually each by one and in a group those who were educated in hospice and are working in hospice center. All results of these processing were reflected on this W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by collecting and modifying.
    On the other hand, four tools to test for the effects of W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were used in this study with a view of whole person : a tool was developed into Korean Version of Brief Pain Inventory (BPI-K) by Young-Ho Yun(1998) and then used some parts of it by Mae-Ok Yun(2000) was used to test the degree of pain in physical aspect, a tool was developed into State-Anxiety Inventory by Spielberger(1975) and translated by Kim, Jung-Tack & Shin, Dong-Gyun(1978) was used to test the degree of state-anxiety in emotional aspect, a tool was developed into Self-Esteem Questionnaire (SEQ) by Rogenberg(1965) and translated by Kim, Moon-Joo(1984) was used to test the degree of self-esteem in social-cognitive aspect, a tool was developed by Paloutzian & Ellison(1983), translated by Sang-Sun Choi(1990) and modified by Jung-Ho Kang(1996) was used to test the degrees of spiritual well-being in spiritual aspec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with SPSS/WIN 12.0 program.
    The result were as follows :
    1. The result of Wholistic Hospice Nursing Program's development was as follows :
    A Wholistic Hospice Nursing Program was developed by me in this study is one of the service program for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It was named as 'Rainbow Program' to be approached easily by hospice patients.
    The purposes of it ar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terminal patients with their dignity, to help them live in abundant and meaningful in their lives, to care them in peaceful in dying process with understanding them in whole personal, and also to palliate the grief and suffering of the bereaved.
    It was provided by hospice professionals(nurses, medical doctors, social worker, pastors, art therapists) and volunteers those who were educated in hospice for multi-disciplinary team approach to collaborate with each role play in 20~30 minutes of each through visiting their rooms individually and a place of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of S hospital in P city.
    The subjects of it were the terminal patients those who admitted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and their families. with agreement in hospice palliative care in their terminal disease.
    The characteristics of it were multi-disciplinary team approach, whole personal care, individual care and total care according to their needs in their condition.
    The contents of it were pain control, symptom control, counselling patient, counselling family, hair cutting, hair shampooing, bed bath, recreation, taking a walk, event of culture(screen, recital, festival of praises, exhibition and so on), pastoral counselling, ritual service in bed, praying, service in bed, sing a worship praise, listening to the music, sharing remembrance of life, individual visiting music service(sing and praying), meditation Bible, art therapies(dance and drawing), social worker's counselling, confessing and sharing love and thanksgiving.
    The experimental group subjects participated in Wholistic Hospice Nursing Program which takes 120 minutes per session, total 10 sessions(total 1,200 minutes) altogether.
    2. The effects of wholistic hospice nursing program were as follows :
    (1) Hypothesis No. 1 :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Wholistic Hospice Nursing Program will have a lower degree of pain than before" was supported (t=-10.585, P= .000).
    (2) Hypothesis No. 2 :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Wholistic Hospice Nursing Program will have a lower degree of state-anxiety than before" was supported (t=-8.234, P= .000).
    (3) Hypothesis No. 3 :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Wholistic Hospice Nursing Program will have a higher degree of self-esteem than before" was supported (t=11.554, P= .000).
    (4) Hypothesis No. 4 :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Wholistic Hospice Nursing Program will have a higher degree of spiritual well-being than before" was supported (t=6.387, P= .000).
    In conclusion, this W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was testified for the effects on pain, state-anxiety, self-esteem, and spiritual well-being in whole personal. Its effects was proved by decreasing the degrees of pain and state-anxiety and increasing the degree of self-esteem and spiritual well-being.
    Therefore it can be used actively for whole personal well-being of the patients in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and also applied in hospice practice as an useful model of multi-disciplinary team approach by hospice professionals.
  •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표차례 = ⅲ
  • 그림차례 = ⅳ
  • 국문요약 = ⅴ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3
  • 3. 연구가설 = 4
  • 4. 용어 정의 = 5
  • Ⅱ. 문헌고찰 = 8
  • 1. 병동형 호스피스 대상자 = 8
  • 2.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 = 12
  • 3.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 효과 = 16
  • Ⅲ. 연구방법 = 24
  • 1.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 = 24
  • 2.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 효과 = 27
  • 1) 연구설계 = 27
  • 2) 연구대상 = 27
  • 3) 연구도구 = 28
  • 4) 자료수집 방법 = 30
  • 5)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 32
  • 6) 연구의 제한점 = 33
  • Ⅳ. 연구 결과 = 34
  • 1.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 = 34
  • 2.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 ; '무지개 프로그램'의 효과 = 41
  • 1) 대상자의 제 특성 = 41
  • 2) 가설 검정 = 44
  • Ⅴ. 논의 = 46
  • Ⅵ. 결론 및 제언 = 56
  • 참고문헌 = 59
  • Abstract = 76
  • 부록 = 8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1
412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제도 도입이 말기암환자의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박설희 2017  106
411 20 죽음과 죽어감 생애 말 연명의료에 대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식: 내용 분석 연구 / 고진강 2017  133
410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과 구별되는 생명을 연장할 권리 / 허완중 2017  67
409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의 제정과 과제 / 김장한 2017  56
408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무능력자를 대신하는 의료결정을 개선할 방안은 없는가? / 김상구 2017  66
407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 환자를 통해 보는 한국적 사생학 구축을 위한 연구 / 지영임 2017  72
40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 및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철학적 토대 모색 / 권미연 2017  58
40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이재석 2016  95
404 20 죽음과 죽어감 일 지역사회 보건직 근무자의 호스피스 완화 케어 관련 인식조사 / 김미라 2010  67
403 20 죽음과 죽어감 가정 호스피스 활동에서의 본당 공동체의 역할 / 이종경 2002  162
40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임봉자 2008  5255
40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권구선 2012  301
» 20 죽음과 죽어감 병동형 호스피스 대상자를 위한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최성은 2005  892
39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가족의 말기 암 진실 통고 경험 / 강희정 2016  193
398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ㆍ보호자와 의료인들의 호스피스에 관한 인지도 연구 / 심규미 2000  73
39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환자의 가족보호자가 지각하는 미충족 요구와 돌봄 부담감 / 이지현 2016  146
39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죽음불안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명희 2008  230
39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이명희 2006  44
394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가족의 슬픔 적응 경험 : 지역사회 호스피스 간호를 받은 가족을 중심으로 / 두현정 2008  1050
39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환자의 영적 간호 방안 : 호스피스 병동을 중심으로 / 이은정 2012  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