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3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원광대학교 : 간호학과 간호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708886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 = Awareness of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between intensive care unit nurses and families


  • 저자 : 김원정
  • 형태사항 : p90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강지숙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원광대학교 : 간호학과 간호학과 2015. 2
  • 발행국 : 전라북도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5


초록 (Abstract)

  • 목적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그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연명치료 이해에 대한 교육의 기초자료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방법 : 본 연구는 W대학교의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시행하였다(WKIRB-201403-SB-006).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며, J도와 K광역시에 위치한 대학병원의 중환자실 간호사 91명, 중환자실 보호자 76명이 연구참여 동의서 작성 후 참여하였다. 연구도구로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박연옥 등(2004)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박연옥 등(2004)의 도구는 8문항으로, 이를 ‘환자가 원하는 경우 치료중단을 할 수 있는가’와 ‘환자가 의사결정을 할 수 없을 때 가족과 의료인이 합의 시 치료중단을 할 수 있는가’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또한 연명치료중단 중 심폐소생술금지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한성숙 등(2001)에 의해 개발된 도구를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4월부터 2014년 6월까지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program을 통해 실수, 백분율, 2 test,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은 환자본인이 연명치료중단을 원하는 경우 ‘심호흡마비가 있을 때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않을 수 있다’는 간호사 76명(83.5%)이었고, ‘혈액투석을 중단할 수 있다’는 간호사 70명(76.9%), ‘수혈을 중단할 수 있다’는 간호사 66명(72.5%)순이었다. 환자가 의사표현을 할 수 없는 경우 가족과 의료인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합의 시 ‘심호흡마비가 있을 때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않을 수 있다’는 간호사 71명(78.0%)이었고, ‘혈액투석을 중단할 수 있다’는 간호사 69명(75.8%)이었으며, ‘수혈을 중단할 수 있다’는 간호사 66명(72.5%)이었다. 심폐소생술금지에 대한 인식에 있어 우선 심폐소생술금지가 필요하다고 답한 간호사는 87명(95.6%)이었고, 심폐소생술금지가 필요한 이유로는 ‘회복 불가능’이 52명(59.8%)으로 가장 많았고, 심폐소생술금지의 결정자는 ‘환자와 가족’이라고 답한 간호사가 50명(54.9%)으로 가장 많았으며, 심폐소생술금지의 설명 시기는 ‘말기질환으로 입원한 경우 입원 즉시’라고 답한 간호사가 41명(45.0%)이었다. 환자 본인에게 심폐소생술금지를 설명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예’라고 답한 간호사가 82명(90.1%)이었고, 본인의 경우 ‘심폐소생술금지를 시행하겠다’는 간호사가 49명(53.8%)이었다. 가족의 경우 ‘심폐소생술금지를 상황에 따라서 시행하겠다’는 간호사가 49명(53.8%)이었고, ‘문서화된 심폐소생술금지 지침이 필요하다’는 간호사가 82명(90.1%)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환자실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은 환자본인이 연명치료중단을 원하는 경우 ‘산소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는 보호자 51명(67.1%), ‘호흡기를 제거할 수 있다’는 보호자 50명(65.8%), ‘혈액투석을 중단할 수 있다’는 보호자 41명(54.0%) 순이었다. 환자가 의사표현을 할 수 없는 경우 연명치료중단에 대해 가족과 의료인의 합의 시 ‘호흡기를 제거할 수 있다’는 보호자 44명(57.9%), ‘산소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는 보호자가 43명(56.6%)으로 나타났으며, ‘위관영양을 중단할 수 있다’는 보호자가 40명(52.6%)이었다. 심폐소생술금지에 대한 인식에 있어 우선 심폐소생술금지가 필요하다고 답한 보호자가 53명(69.7%)이었고, 심폐소생술금지가 필요한 이유로는 ‘회복 불가능’이 25명(47.2%)으로 가장 많았고, 심폐소생술금지의 결정자는 ‘환자와 가족’이라고 답한 보호자가 32명(42.1%)으로 가장 많았다. 심폐소생술금지의 설명 시기는 ‘자발적 호흡 정지 시’라고 답한 보호자가 37명(48.7%)이었다. 환자 본인에게 심폐소생술금지를 설명해야하는지에 대해서는 ‘예’라고 답한 보호자가 48명(63.2%)이었고, 환자가 본인인 경우 ‘심폐소생술금지를 시행하겠다’는 보호자는 39명(51.3%)이었다. 환자가 가족인 경우 ‘심폐소생술금지를 상황에 따라서 시행하겠다’는 보호자는 36명(47.4%)이었고, ‘문서화된 심폐소생술금지 지침이 필요하다’는 보호자는 55명(72.4%)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은 환자가 원하는 경우 ‘심호흡 마비가 왔을 때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않을 수 있다’(2=27.720, p<.001), ‘수혈을 중단할 수 있다’(2=11.578, p=.003), ‘혈액투석을 중단할 수 있다’(2=12.464, p=.001)는 질문에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환자가 의사표현을 할 수 없는 경우 가족과 의료진의 합의 시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을 파악한 결과, ‘심호흡 마비가 왔을 때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않을 수 있다’(2=25.810, p<.001), ‘수혈을 중단할 수 있다’(2 =14.081, p=.001), ‘혈액투석을 중단할 수 있다’(2=14.373, p=.001), ‘혈압상승제 주입을 중단할 수 있다’(2=6.923, p=.032)는 문항에서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심폐소생술에 대한 인식은 ‘심폐소생술금지 필요성’(2=20.445, p<.001), ‘심폐소생술금지 필요 이유’(Fisher=7.130, p=.021), ‘심폐소생술금지 설명시기’(2=13.128, p=.004), ‘환자 본인에게 심폐소생술금지 설명의무’(2=17.442, p<.001), ‘본인의 심폐소생술금지 시행 여부’(2=9.689, p=.008), ‘문서화된 심폐소생술금지 지침 필요’(2=9.823, p=.007) 문항에서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어, 임상현장에서 간호사는 보호자의 상담자, 지지자로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보호자와의 충분한 의사소통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간호사와 보호자를 위한 연명치료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목적 4

    3. 용어정의 4


    Ⅱ. 문헌고찰 6

    1. 연명치료중단의 개념 6

    2.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 8


    Ⅲ. 연구방법 11

    1. 연구설계 11

    2. 연구대상 11

    3. 연구도구 11

    4.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12

    5. 자료분석 13

    6. 연구의 제한점 13


    Ⅳ. 연구결과 14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4

    가. 중환자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14

    나. 중환자실 보호자의 일반적 특성 17

    2. 대상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 21

    가.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 21

    나. 중환자실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 26

    3.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의 차이 31


    Ⅴ. 논의 40


    Ⅵ. 결론 및 제언 47

    1. 결론 47

    2. 제언 5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3
    4363 1 윤리학 Authority of law at the foundations of a legal system = 법체계와 법의 권위 / 박준석 2007  186
    4362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삶의 질 예측모형 / 김은만 2004  317
    4361 1 윤리학 황우석 사태 前後 일간지의 건강의료보도 태도 변화 연구 :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을 중심으로 / 서한기 2007  235
    4360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생명 종결 결정에 관한 연구 : 입법적 실천 방안을 위한 미국과의 비교법적 모색 / 엄주희 2013  481
    4359 2 생명윤리 생명권과 생명가치에 대한 연구 :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 김휘원 2010  733
    4358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피험자 보호 증대방안에 대한 고찰 / 이미성 2011  293
    4357 1 윤리학 새로운 치료법 도입과 관련된 법적 분쟁에 관한 연구 / 신정원 2011  418
    4356 15 유전학 공공정보의 이차 활용을 위한 법제도에 관한 연구 : 생체 의료정보의 이차 활용을 중심으로/ 박미정 2015  321
    4355 19 장기 조직 이식 청소년의 자기결정권 보장방안 연구 : 생체장기기증을 중심으로 /정수진 2015  597
    4354 18 인체실험 인체유래물연구에서의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 확보 방안 /박은정 2015  424
    4353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종료 단계에 있어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정화성 2015  596
    4352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실시기관의 임상시험윤리교육 현황 조사 연구 / 김미정 2015  194
    4351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가족들의 선택방안 /양인권 2015  361
    4350 9 보건의료 "핀핀코로리(ぴんぴんころり)의 비밀": 일본 나가노현 사쿠시에서의 생명정치와 노년의 자기윤리 / 김희경 2015  743
    4349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종합병원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 영향요인 / 임경민 2015  422
    4348 1 윤리학 법률전문가로서 변호과오의 민사책임에 관한 연구 / 김남길 2015  739
    »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 / 김원정 2015  257
    4346 2 생명윤리 기독교대안학교 운영체계안 제시 : 생명공동체윤리사상에 입각한 교육을 중심으로 / 류미아 2015  360
    4345 15 유전학 생명공학 분야에서의 특허보호 대상에 관한 연구 / 손민 2015  151
    4344 18 인체실험 공동IRB의 유형분석과 한국에서의 적용 방안 연구 / 김대건 2015  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