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402647 

말기 암환자 가족의 전화상담을 통한 정보요구와 만족도 조사

= Information needs & satisfaction among family member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using phone counselling.

                                          

  • 저자

    권경은                                       

  • 형태사항

    v, 57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김분한
    국문요지: p. iv-v.
    Abstract: p. 53-56.
    부록으로 설문지 수록.
    참고문헌 : p.40-4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임상정보대학원 : 호스피스간호 전공 2008.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8

  • 주제어

    간호학

  • 소장기관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초록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exploratory study was to analyze the data about the need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family members collected through the telephone counselling services organized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operated by National Cancer ...
  • The purpose of this exploratory study was to analyze the data about the need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family members collected through the telephone counselling services organized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operated by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and thereupon, provide for some basic data useful to better understanding of cancers and improvement of counselling services and nursing interventio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ampled 113 terminal can patients' family members who had contacted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for the period from June, 2007 through March, 2008 and had agreed to the survey. The researcher listened to their needs for information recorded and analyzed them using Galloway's scale for breast cancer patients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the researcher for this study. The data about their needs for informati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and satisfaction with the counseling services were analyzed for frequency and percentage using the SPSS WIN 12.0.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ubjects (n=113) consisted of 54 males and 59 females. Most of them were patients' grown-up children (n=82) and spouses (n=8). Those in their 40's (n=40) and 30's (n=36)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the sample. 41 subjects were living in Seoul, while 27 ones were living in other metropolitan cities. In terms of types of the medical insurance, most (n=68) of them subscribed to the workplace medical insurance. 30 of them were housewives, and another 30of them were office workers. The type of cancer suffered most by the patients was lung cancer (n=29), followed by stomach cancer (n=22) and large intestine cancer (n=12) in their order. Most (n=64) of the patients had been diagnosed as cancer within 1~3 months of the counseling service. In terms of treatment status, the majority (n=88) of them were still being treated (hospitalized/outpatients).
    2. Analysi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family members' questions
    The question raised most was about information of treatment methods (n=117, 39.4%), followed by anti-cancer treatment (n=34), radioactive treatment (n=26), alternative or supplementary therapies (n=34), new treatments at larger hospitals (n=14) and possibility of surgery (n=8) in their order. The questions about management of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were 46 cases (15.5%), which consisted of questions about management of symptoms (n=25), pain (n=19) and others. The major questions were 'How can the symptoms be relieved?" or "How can the severe pain be managed?" The questions about terminal cancer patients' life were 27 cases (9.1%), which consisted of the questions about dietary life (n=23) and ordinary life (n=4). The major question was about 'good and bad foods for cancer patients.' The questions bout deathbed and prediction of remaining life were 18 cases (6.1%), and the major question was "How long can he or she live?" The questions about hospitalization were 16 cases (5.4%), which consisted of questions about hospice institutes and nursing homes. The questions about financial support were 15 cases (5.1%), which consisted of the questions about procedure for registration of serious cancer patients and benefits thereof and financial subsidies for treat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ceived that the information services about the larger hospitals and alternative and supplementary therapies should be enhanced, and that some professional counseling services should be given about management of symptoms and pain as well as about patients' dietary life.
    3. Survey of subjects' satisfaction with the counseling services monitored by assistant researcher
    46.9% of the subjects were very satisfied with the telephone counseling services, while 48.7% were more or less satisfied. 96.5% of them answered 'yes' to the question "Was the telephone counseling helpful to you?" The most positive aspect of the service was 'useful information' (50.4%), followed by 'psychological consolation' (18.5%), 'decision-making' (15%) and 'communication' (9.9%) in their order. 85.5% of the subjects were first to use such telephone counseling service, and 55.8% of them intended much to use the service again, while 41.6% just intended to use it again. 69% of the subjects had come to know about the telephone counseling service via Internet, and 10.6% of them perceived that the PR for the service was poor, which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PR for the telephone counseling service so that terminal cancer patients' family members can be given more opportunities for counseling services to be more informed and relieved psychologically.
    In conclusion, it is deemed essential for the government to use the mass media for PR of the hospice services since terminal cancer patients' family members are less aware of the hospice conducive to enhancement of patients' remaining life quality, being too sticked to their treatment. And it is also deemed required of the counseling programs to inform the family members of shock management and caring methods, while providing for some professional hospice counseling about relief of pain and psychological consolation.
  •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암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 보건복지부에서 주관하고 국립암센터의 사업지원을 받고 있는 국가암정보센터의 전화상담을 통해 말기 암환자가족의 정보요구가 어떤 것인지 내...
  • 본 연구는 암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 보건복지부에서 주관하고 국립암센터의 사업지원을 받고 있는 국가암정보센터의 전화상담을 통해 말기 암환자가족의 정보요구가 어떤 것인지 내용분석하고 상담후 만족도 조사를 통해 상담과 간호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2007년 6월부터 2008년 3월까지 국가암정보센터를 통해 문의한 말기 암환자 가족 중만족도 조사에 동의하고 실제 통화된 113명을 대상하였다. 말기 암환자 가족의 정보요구에 대한 분석은 녹취되어 있는 내용을 듣고 Galloway의 유방암환자 정보요구사정 도구를 본 연구의 대상자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내용분석 하였다. 또한 정보요구 문항과 대상자 정보, 만족도 조사는 SPSS WIN 12.0을 통하여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정보를 요구한 말기 암환자 가족은 113명으로 남자 54명, 여자 59명이었다. 가족 중 자녀(82명)와 배우자(8명)가 주로 많이 이용하였고, 연령별로는 40대(40명)와 30대(36명)의 이용이 많았다. 거주 지역은 서울(41명)과 광역시(27명)에서 주로 이용 하였고, 그들이 이용하고 있는 의료보험 형태는 건강보험 중 직장보험(68명)이 가장 많았다. 직업은 주부가 30명, 사무직이 30명을 차지하였고, 암종은 폐암 29명, 위암 22명, 대장암 12명의 순이었다. 암으로 진단 받은 후 투병기간은 1개월에서 3개월 이내가 64명, 치료 상태는 치료 중(입원/통원)인 경우가 88명으로 가장 많았다.
    2. 말기 암환자 가족의 질문내용 분석
    가장 많은 문의는 치료방법에 관한 정보 117건(39.4%)으로 항암치료 34건, 방사선치료로 26건, 대체?보완요법 14건, 대병원으로의 전원을 통해 새로운 치료방법이 있는지 14건, 수술이 가능한지 8건 순으로 나타났다. 말기 암환자의 관리는 46건(15.5%)으로 증상관리 25건, 통증 19건에 대해 문의 하였는데 ‘어떻게 증상 완화를 시킬수 있는지’와 ‘심한 통증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주로 물었다. 말기 암환자의 생활은 27건(9.1%)으로 식생활 23건, 일상생활 4건이었고 ‘암환자가 먹으면 좋은 음식과 나쁜 음식’을 주로 물었다. 임종과 수명예측은 18건(6.1%)으로 ‘얼마나 살 수 있나요?’를 주로 물었고 입원기관에 관한 정보는 16건(5.4%)으로 호스피스기관과 요양원에 대해 문의했다. 경제적 지원은 15건(5.1%)으로 중증 암환자 등록절차와 혜택, 치료비 지원에 대한 문의했다. 정보요구 분석 결과 치료방법에 있어서 대병원으로의 이동시 병원별 자료와 대체, 보완요법에 관한 객관적 상담 자료를 보강할 필요가 있고 통증을 포함한 증상관리와 식생활 등의 상담이 말기 암환자 가족에게 중요한 문제인 만큼 이에 대한 전문적 상담이 요구된다.
    3. 상담 후 모니터 요원에 의해 조사된 만족도 조사
    전화상담 서비스에 대해 전반적으로 매우 만족한다 46.9%, 만족한다 48.7%로 높은 만족을 보였다. ‘전화상담이 도움이 되셨습니까?’에 96.5%가 그렇다고 하였다. 도움이 된 부분은 ‘정보제공’ 50.4%, ‘심리적 위안’ 18.5%, ‘의사결정’ 15%, ‘의사소통’ 9.9%로 나타났다. 전화상담 이용은 ‘처음’이라고 대답한 사람이 85.8%로 가장 많았고 재이용 의향에 대해서는 매우 그렇다(55.8%)와 그렇다(41.6%)로 대답하였다. 전화상담 서비스를 알게 된 경위는 인터넷이 69%로 가장 많았고 상담 후 개선사항을 묻는 질문에 홍보가 부족하다는 대답이 10.6%로 가장 많았다. 이는 홍보를 통해 말기 암환자 가족이 보다 많은 상담의 기회를 갖고 정보제공과 심리적 위안 등을 받을 필요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말기 암환자 가족은 치료방법에 매여 있어 남은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이 적은 만큼 국가적 차원에서 매스미디어를 활용한 호스피스 홍보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그리고 상담 프로그램에서 말기암에 대한 충격대처와 돌봄에 대한 정보제공, 고통완화, 심리적 위안을 위한 전문적 호스피스상담이 요구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iv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3
  • 3. 용어의 정의 = 4
  • 4. 연구의 제한점 = 5
  • Ⅱ. 문헌고찰 = 6
  • 1. 말기 암환자 가족의 간호의 어려움과 부담감 = 6
  • 2. 말기 암환자와 가족의 정보요구 = 8
  • 3. 전화상담과 국가암정보센터의 기능 = 11
  • Ⅲ. 연구방법 = 15
  • 1. 연구 설계 = 15
  • 2. 연구 대상자 = 15
  • 3. 자료 수집 방법 및 기간 = 15
  • 4. 연구 도구 = 15
  • 5. 자료분석 방법 = 16
  • Ⅳ. 연구결과 = 17
  • 1. 말기 암환자 가족의 일반적인 특성 = 17
  • 2. 말기 암환자 가족의 정보요구 = 19
  • 3. 말기 암환자 가족의 상담후 만족도 = 25
  • Ⅴ. 논의 = 27
  • Ⅵ. 결론 및 제언 = 36
  • 1. 결론 = 36
  • 2. 제언 = 39
  • 참고문헌 = 40
  • 부록 = 48
  • ABSTRACT = 53
  • 감사의 글 = 5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2
4408 1 윤리학 ‘의료화’에서 ‘생의료화’로 : 정신장애의 사례 / 김환석 2014  1064
4407 5 과학 기술 사회 특허분석을 통한 인공지능 기술분야의 연구동향 / 노승민 2017  1061
4406 9 보건의료 DNR에 대한 응급의료종사자들의 인식과 윤리적 태도 / 박학영 2010  1059
4405 10 성/젠더 젠더-거버넌스(Gender-Governance) 관점에서 모자보건법의 문제점과 합리화 방안에 관한 고찰 / 전수영 2014  1059
4404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가족의 슬픔 적응 경험 : 지역사회 호스피스 간호를 받은 가족을 중심으로 / 두현정 2008  1054
4403 9 보건의료 사용자의 의료정보 전달력을 향상시킨 국민건강검진 결과지 디자인 개선 / 김예림 외 2018  1042
4402 2 생명윤리 영화를 이용한 생명의료윤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효과 / 김선영 2014  1041
4401 15 유전학 유전자편집기술에 관한 미국의 입법동향과 시사점 / 장인호 2019  1034
4400 15 유전학 유전자검사에 관한 규제 현황과 미비점에 관한 고찰 / 백수진 2014  1034
4399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원인과 출산정책의 방향성 연구 / 방문주 2010  1029
4398 14 재생산 기술 민법상 대리모계약에 관한 입법방향 / 박종렬 2013  1028
4397 14 재생산 기술 CRISPR 유전자 가위를 통한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에 대한 인격주의 생명윤리적 고찰 / 손정우 2019  1027
4396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대한 형법적 고찰 / 이화선 2004  1025
4395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대한 기독교적 입장 및 대안 / 박상중 2003  1025
4394 17 신경과학 위기가족 유형들의 생태체계 분석-위기상담사례를 중심으로- /장정문 2018  1023
4393 17 신경과학 청소년 폭력과 인지행동치료에 대한 뇌신경과학적 고찰 / 권해수, 윤일홍 2019  1021
4392 18 인체실험 치의학 분야의 줄기세포 연구와 임상적 동향 / 김현옥 2017  1018
»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 가족의 전화상담을 통한 정보요구와 만족도 조사 / 권경은 2008  1017
4390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사 협력에 대한 간호사 및 의사의 인식 / 김가희 외 2018  1016
4389 15 유전학 인간게놈연구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 김용성 2003  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