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1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민윤리교육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938901 

간호사 윤리에 관한 연구


  • 저자 : 유인철
  • 형태사항 : iii, 52장; 26cm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민윤리교육전공 2001
  • KDC : 512.8 4
  • 발행국 : 부산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1
  • 주제어 : 간호사, 윤리, 간호윤리학, 의료윤리



초록 (Abstract)

  • 의료 현장에서 의료인으로 간호사가 빈번하게 부딪히는 여러 문제들이 있다. 하나는 의료 기술의 발전, 사회적 여건의 변화, 도덕적 가치관의 전환으로 삶과 죽음에 관련된 중요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해 상당히 불확실한 감각을 가지게 된 것이다. 또 다른 하나는 간호사는 환자와 그의 의견을 대변하는 환자의 가족, 그리고 환자의 질병을 치료하려는 의사와의 관계 속에서 많은 갈등을 겪게 된다. 마지막으로 의료기관에서 일어나기 쉬운 환자 소외현상에 관한 것으로서 인간의 권리와 환자의 권리에 관한 문제이다.
    간호사는 의사가 하지 못하는 인간적인 일들을 수행해내며 환자의 질병 뿐 아니라 환자를 둘러싸고 있는 모든 문제들을 해결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을 느낀다. 간호사 자신은 자신의 직업적이고 윤리적인 특징을 잘 소화해서 환자에게 인간적인 치료를 한다. 의사의 지시에 따라 환자에게 약을 투입하고 주사를 놓는 것 외에도 환자의 내적인 미묘한 변화를 잘 살피고 환자 뿐 아니라 환자의 가족, 친구들까지 하나하나 신경 써야 한다. 그것이야말로 병이 아닌 인간을 치료하는 진정한 간호의 의미이다.
    모든 간호사들은 언제나 건강 문제를 가진 사람들의 기본 욕구를 충족시켜 주려는 좋은 의도를 가지고 간호를 수행한다. 또한 간호 그 자체는 대상자들이나 가족들의 의견을 존중하여야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볼 때 간호사의 의도와 간호 행위는 그 자체로 도덕적으로 훌륭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간호사의 전문성의 확대에 따른 역할과 위치의 변화로 책임이나 한계의 범위가 명확하지 않아졌고, 새로운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환자 간호 가능성의 범위가 엄청나게 확대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간호사가 현장에서 부딪히는 문제들에 대하여 도덕적 성찰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하여 간호사 윤리의 윤리적 토대로써 덕 윤리와 돌봄의 윤리를 살펴보고, 이런 윤리적 토대를 통하여 간호사들이 부딪히는 도덕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간호사들이 가져야 하는 윤리 덕목을 제시하고자 한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468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 사형수의 장기이식 현황 / 안상희 2012  1246
    4467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비실시(DNR)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암환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 강영순 2006  1246
    446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실로 인한 의료사고와 환자안전법에 대한 고찰 / 성은정 2015  1241
    4465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기증을 위한 뇌사자의 안락사 문제 / 김태경 2019  1237
    4464 20 죽음과 죽어감 국가별 사전의료의향서 서식 분석 및 사전의료의향서 표준 서식 제안/이은영 외 2011  1234
    4463 15 유전학 LMO의 최근 동향과 문제점/문상혁 2011  1231
    4462 20 죽음과 죽어감 우리나라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판례 평석 : 대법원 2009다17417 판결 및 헌법재판소 2008헌마385 결정을 중심으로 / 이희훈 2013  1227
    446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서의 RNA간섭 치료법의 전망 / 김재영 2015  1225
    4460 18 인체실험 인간배아줄기세포의 특허보호에 관한 유럽의 최신 동향 : 유럽사법재판소의 Brüstle v. Greenpeace 판결을 중심으로 / 한지영 2014  1223
    445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법적 연구 : 저작물과 개인정보를 포함한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 양관석 2019  1219
    »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사 윤리에 관한 연구 / 유인철 2001  1217
    4457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를 규제하는 국제규범 -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과 개정방향 모색 / 류병운 2014  1211
    4456 14 재생산 기술 Human cloning laws, human dignity and the poverty of the policy making dialogue / Timothy Caulfield 2003  1209
    4455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와 암세포에서 공통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의 특성 분석/신정아 2012  1204
    4454 13 인구 출산정책의 문제점 및 향후 개선 방향 연구 / 박숙현 2015  1203
    4453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 권리에 대한 개념 분석 / 전혜숙 2019  1200
    4452 9 보건의료 대학병원 의료종사자의 감염예방 표준주의 인지도와 수행도 / 이소리 2018  1200
    4451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규제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김홍광, 이미숙 2019  1197
    445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 치료의 결정 / 박소연 2018  1193
    4449 12 낙태 낙태 문제에 대한 조셉 플레처(Joseph Fletcher)의 상황윤리(Situation Ethics) 관점에서 본 이해와 비판 / 지장규 2008  1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