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고신대학교 대학원 : 보건과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686051 
대학병원 의료종사자의 감염예방 표준주의 인지도와 수행도 

=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for the Infection Prevention by Healthcare Workers in a University Hospital

  • 저자[authors] 이소리
  • 발행사항 부산 :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60 p.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박재성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고신대학교 대학원 : 보건과학과 2018.2
  • DDC[DDC] 614.4 21
  • 발행국(발행지)[Country] 부산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표준주의
  • 소장기관[Holding] 고신대학교 문헌정보관 (221003)
  • UCI식별코드 I804:21003-200000011765

초록[abstracts]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for the Infection Prevention by Healthcare Workers in a University Hospital Lee So-ri Department of Health Science Graduate School, Kosin University Advising professor : Park Jae Sung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current states of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for the infection prevention by healthcare workers in a university hospital, with the factors facilitating or disturbing infection control and those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by healthcare workers. The 314 healthcare workers of a university hospital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study to provide them with effective ways for the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for each section.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of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the SPSS 18.0 was us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summarized in the following:    First, the scores, reflecting the awareness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distinguished by types of occupations were, 4.21±0.57 (doctors), 4.70±0.42 (nurses), and 4.56±0.45 (medical technicians), showing the differenc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01). In the subcategory reflecting the “respiratory etiquette”, the three types of occupations of the doctors, nurses, and medical technicians marked the highest scores of 4.49±0.64 (doctors), 4.76±0.47 (nurses), and 4.77±0.44 (medical technicians); the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Second, the scores reflecting the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distinguished by each type of occupations were 3.87±0.59 (doctors), 4.45±0.46 (nurses), and 4.48±0.47 (medical technicians); the differences in betwee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In the subcategory reflecting the “respiratory etiquette”, the three occupations of the doctors, nurses, and medical technicians marked respective highest scores of 4.17±0.64 (doctors), 4.64±0.52 (nurses), and 4.71±0.50 (medical technicians); the score of the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by medical technicians appeared higher than that of nurses, this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Third, the scores reflecting the influences of factors disturbing infection control distinguished by types of each occupation were as follows: 2.17±0.77 (doctors), 1.89±0.82 (nurses), and 1.92±0.96 (medical technicians). The degree of influence disturbed the infection control of the subjects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of nurses, medical technicians, and doctors; the differences in between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p<0.05).        Fourth, the scores reflecting the influences of factors facilitating infection control distinguished by types of each occupation were as follows: 2.90±0.71 (doctors), 3.86±0.61 (nurses), and 3.66±0.86 (medical technicians). The degree of influence facilitated the infection control of the subjects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of nurses, medical technicians, and doctors; the differences in betwee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Fifth, the differences in the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distinguish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ypes of each occupation were examined wherein, the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 of infection control for doctors (p<0.01) and the presence of the experiences of stab wounds (p<0.01) were found produc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the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Sixth,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of subjects were examined, and the following were found as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s: the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 of infection control (p<0.01) and disturbance of infection control (p<0.05) (doctors); the awareness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p<0.001) and facilitation of infection control (p<0.05) (nurses); and the awareness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p<0.001) (medical technician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levation of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standard precautions to be observed by healthcare workers is important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as well as the collaboration between managers, peers, and staff of infection control department in a hospital. Besides, the different levels of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of each type of occupations thus require the education programs of infection control customized for each type of occupations; these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of observing standard precautions of healthcare workers, and will eventually lead to prevention of the infection related to healthcare practices.

초록[abstracts] 
대학병원 의료종사자의 감염예방 표준주의 인지도와 수행도 이소리 고신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지도교수 박재성      국문요약    본 연구는 일개 대학병원 의료종사자의 직종별 표준주의 인지도와 수행도, 감염관리 방해요인과 촉진요인을 알아보고 표준주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일개 대학병원 의료종사자 314명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의료관련감염 예방을 위한 직종별 감염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서는 SPSS 18.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종별 표준주의 인지도 점수는 의사 4.21±0.57점, 간호사4.70±0.42점, 의료기사 4.56±0.45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하부영역별로는 ‘호흡기 에티켓’ 이 의사 4.49±0.64점, 간호사 4.76±0.47점, 의료기사4.77±0.44점으로 세 직종 모두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둘째, 직종별 표준주의 수행도 점수는 의사 3.87±0.59점, 간호사4.45±0.46점, 의료기사 4.48±0.47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하부영역별로는 ‘호흡기 에티켓’ 이 의사 4.17±0.64점, 간호사 4.64±0.52점, 의료기사 4.71±0.50점으로 세 직종 모두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의료기사의 수행도 점수가 간호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셋째, 직종별 감염관리 방해요인 점수는 의사가 2.17±0.77점, 간호사 1.89±0.82점, 의료기사 1.92±0.96점으로 간호사, 의료기사, 의사 순으로 방해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넷째, 직종별 감염관리 촉진요인 점수는 의사가 2.90±0.71점, 간호사 3.86±0.61점, 의료기사3.66±0.86점으로 간호사, 의료기사, 의사 순으로 촉진요인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다섯째, 직종별 일반적 특성에 따른 표준주의 수행도 차이에서는 의사만 ‘감염관리 교육’ 유무(p<0.01), ‘자상경험’ 유무(p<0.01)에 따른 표준주의 수행도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여섯째, 직종별 표준주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의사는 감염관리교육유무(p<0.01), 방해요인(p<0.05)이 간호사는 표준주의 인지도(p<0.001), 촉진요인(p<0.05)이 의료기사는 표준주의 인지도(p<0.001)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종사자의 표준주의 수행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표준주의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함은 물론 동료나 관리자, 감염관리부서의 협조가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직종별 표준주의 인지도나 수행도의 차이가 상이하기 때문에 각 직종별로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표준주의 수행도를 높이고 궁극적으로 의료관련감염을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2
689 9 보건의료 임상시험실시기관의 내부점검을 통한 임상시험 품질관리에 대한 고찰 / 조인선 2013  204
688 9 보건의료 국내 의약품 임상시험 관리 규정 및 주요 선진국(미국, 영국, 일본) 의료기기 임상시험 관련 규정 비교연구 / 이민주 2015  221
» 9 보건의료 대학병원 의료종사자의 감염예방 표준주의 인지도와 수행도 / 이소리 2018  1198
686 9 보건의료 정밀의료실현을 위한 보건의료정보 보호모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배상호 외 2016  58
685 9 보건의료 보건의료정책과정에서의 정책행위자의 신념(beliefs)과 이해(interests): 의료민영화논쟁의 경우를 중심으로 / 김순양 2017  81
684 9 보건의료 1969년 스웨덴 헌법 개정이후 의료체계의 민영화에 관한 연구 / 김철주 2016  124
683 9 보건의료 스웨덴의 민영화와 보건의료법의 성격 / 홍세영 2017  206
682 9 보건의료 정치경제학으로 한국의 건강과 보건의료 들여다보기 / 우석균 외 2017  128
681 9 보건의료 새 정부에 바라는 보건의료와 건강정책 / 우석균 2017  56
680 9 보건의료 의료민영화와 정의로운 보건의료체계: 수단과 목적 / 박상혁 2016  115
679 9 보건의료 의료민영화와 안경원 법인화에 대한 서울지역 안경사들의 인식도 비교 조사 연구 / 강수지 외 2016  155
678 9 보건의료 노인의료복지시설 영리 · 비영리성과 종사자의 업무환경 인식 및 소진과의 관계 / 김요섭 외 2017  109
677 9 보건의료 의료민영화가 의료서비스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 박기종 2017  1069
676 9 보건의료 한국형 원격의료의 현황과 전망 / 조석균 2016  296
675 9 보건의료 의약품 복용 과정과 정보 검색 경험 분석 / 김현주 외 2018  102
674 9 보건의료 만성질환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사회적지지가 약물복용이행에 미치는 영향 / 정현주 외 2018  194
673 9 보건의료 사무장병원에서 민법상 의료계약의 적법성에 대한 검토/민국현 2018  149
672 9 보건의료 환자 피해를 막기 위한 사무장병원 규제/이명민 2016  67
671 9 보건의료 의료기관의 개설유형에 관한 연구/이종원 2017  121
670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문세연 외 2017  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