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 가톨릭사회복지학 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692680 
말기 암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family caregiving experience on their quality of life in caring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 저자[authors] 김계숙
  • 발행사항 서울 :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17[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vii, 144 p.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김진욱<br>참고문헌 수록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박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 가톨릭사회복지학 전공 2018. 2
  • DDC[DDC] 361 23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소장기관[Holding] 서강대학교 도서관  (211029)

초록[abstracts]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family caregiving experience and the social capital on their quality of life in caring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 respectively,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 between caregiving experience and their quality of life.    For this study, the family caregivers over 20 years old were surveyed. Thei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 is in the hospital at hospice or general ward, or receives outpatient treatment at the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province, Chungcheongnam-do province and Busan city. In addition, family caregivers with their patient at a sanatorium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and family caregivers participating self-help meeting were surveye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 2017 to Sep. 2017. The collected 254 case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rough SPSS WIN 19.0 and Amos 5.0. To evaluate the main effect of caregiving experience and social capital on their quality of lif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dopted. For the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 between caregiving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the moderator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he summary of the analysis is as follow. First, the influence of the total variables of caregiving experience on their quality of life  under controlling sub-variables of caregiving experience shows explanation power of 31.4% which is strong enough to prove the main effect statistically. Among the sub-variables, the most influencing one is financial problems followed by loss of physical strength, disrupted schedule, lack of family support and care-derived self-esteem in an order.    Second,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on caregiving family’s quality of life under controlling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patient and the family shows the explanation power of 22.2% for bonding social capital, 4.3% for bridging social capital, 22.9% for bonding social capital and bridging social capital, and 21.7% for total social capital which all prove the main effect of social capital.    Third, as for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 between caregiving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the interaction variable of care-derived self-esteem and social capital is identified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the same way, the interaction variable of loss of physical strength and social capital, and the interaction variable of lack of family support and social capital are proved significant statistically.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suggests several practical and political proposal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family caregivers from social welfare perspective. First, to improve care-derived self-esteem of family caregivers, Family meeting program is recommended. Second, to reduce loss of physical strength of family caregivers, Mentoring program at the local community level is suggested. Third, for reducing lack of family support, Hospice Day-care could take meaningful role. Fourth, to connect family caregivers with community network, utilizing volunteers is recommended. Fifth, to provide comprehensive caring services to family caregivers, local health care facilities, such as public health centers are requested to take more facilitating functionalities.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말기 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대한 돌봄 경험의 영향력과, 말기 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영향력 및, 말기 암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과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도, 충남 및 부산 소재 일개 대학병원 호스피스병동 또는 일반병동에 입원하거나 통원치료를 받는 말기 암환자를 돌보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 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충남 소재 일개 요양기관에 입원한 말기 암환자의 가족과 암환자 가족 자조모임에 참여하는 성인 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7월부터 9월까지 실시하였으며 총 254부를 수집하여 SPSS WIN 19.0, Amos 5.0 통계프로그램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분석방법은 말기 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대한 돌봄 경험 및 사회적 자본의 주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돌봄 경험과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말기 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대한 돌봄 경험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환자 및 가족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그리고 돌봄 경험의 하위변인이 통제된 상태에서 돌봄 경험의 전체 변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31.4%의 설명력을 보여 말기 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대한 돌봄 경험의 주효과가 입증되었다. 돌봄 경험의 하위변인에서는 경제적 부담의 영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신체적 부담, 생활패턴변화, 가족의 협조부족, 자아존중감 등의 순으로 말기 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말기 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환자 및 가족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이 통제된 상태에서 결속형 사회적 자본, 가교형 사회적 자본, 결속형 사회적 자본 및 가교형 사회적 자본,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각각, 22.2%, 4.3%, 22.9%, 21.7%의 설명력을 보여 말기 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대한 결속형 사회적 자본, 가교형 사회적 자본, 사회적 자본의 주효과가 입증되었다. 셋째, 돌봄 경험이 말기 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본의 상호작용변수가 유의미하게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신체적 부담과 사회적 자본의 상호작용변수가 유의미하게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리고 가족의 협조부족과 가교형 사회적 자본의 상호작용변수가 유의미하게 조절효과로 가능함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말기 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 차원의 실천적, 정책적 개입 방안을 다음과 같이 모색하였다. 첫째, 말기 암환자 가족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방안으로 가족모임(family meeting)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제시하였다. 둘째, 말기 암환자 가족의 신체적 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한 돌봄 지원방안으로 지역사회 멘토링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제시하였다. 셋째, 말기 암환자 가족의 협조부족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도적 방안으로 지역사회 단위의 호스피스 데이케어 확대 실시를 제시하였다. 넷째, 말기 암환자 가족과 지역사회 네트워크와의 연계를 위해 자원봉사자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말기 암환자 가족이 통합적인 돌봄 지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정부보조기관인 지역보건의료기관을 facilitator로 적극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3
4668 9 보건의료 남북한 보건의료 인력 분야에서의 교류협력을 위한 제언 / 전우택 2018  28
4667 9 보건의료 의료정보 광고에 관한 대학생의 주관성 인식/이제영 2017  30
4666 9 보건의료 의료서비스대상자의 통합사례관리 방안 연구 : 지방자치단체 총괄 방식의 '행정관리 모델' 중심으로 / 황미경 2010  31
4665 9 보건의료 의료영역에서의 사회통합을 위한 법의 역할 / 이경권 2013  31
4664 19 장기 조직 이식 일반 신뢰와 정부신뢰가 뇌사 후 장기기증에 미치는 영향 / 이수인 2018  32
4663 9 보건의료 계층적 다중 속성을 이용한 헬스케어 환자의 프라이버시 보호 기법 / 신승수 2015  33
4662 9 보건의료 의료계획의 수립과 쟁점 / 이규식 2018  34
4661 9 보건의료 일차의료를 위한 연수교육 강화방안 / 이혜연 2015  34
4660 9 보건의료 What Makes Health Care Special? An Argument for Health Care Insurance / Horne, L. Chad 2017  34
4659 15 유전학 Disabled by Design: Justifying and Limiting Parental Authority to Choose Future Children with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 Stramondo, Joseph 2017  34
4658 9 보건의료 의료분쟁조정절차의 개시요건에 관한 연구 / 고형석 2018  34
4657 9 보건의료 정부의 통합형 만성질환 관리 사업에 대한 제언 / 김종웅 2018  34
4656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의 날을 보내며 / 이동우 2018  34
4655 9 보건의료 심사체계 개편 방향성 / 윤석준 2018  34
4654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데이터 허브 구축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향 / 이규철 2018  34
4653 9 보건의료 의료기술평가 기반으로서의 데이터 연계 / 박종연 2018  34
4652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된 의료분쟁조정법 하위법령에 대한 고찰 / 김필수 2017  35
4651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 및 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경험 및 선호도 / 박재원 2013  35
4650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연구 : 성년후견제도를 중심으로 / 최창익 2015  35
4649 5 과학 기술 사회 [제402회 과학기술정책포럼] 미래사회 변화를 선도할 핵심기술 / 이세민 2016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