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比較敎育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982855 
연구윤리제도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미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olicy Formation Process of Research Ethics System: Focusing on the United States

  • 저자[authors] 이송호(Lee, Song-Ho),정일환(Chung, Il-hwa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比較敎育硏究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8No.6[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비교교육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29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70

  • 주제어[descriptor] 연구윤리,인간대상 실험윤리,동물대상 실험 윤리,연구수행 및 보고 연구윤리,미국 연구윤리제도 Research Ethics,Human Subject Research Ethics,Animal Experiment Research Ethics,Research Performance and Reporting Ethics



국문 초록[abstracts] 
2005년 소위 ‘황우석교수 사태’ 이후에 국내의 연구윤리에 대한 본격적인 점검․실태파악과 이에 대비하는 정책을 추진하면서 기관 및 연구자의 윤리의식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연구윤리에 대한 정부의 개입수준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에 여전히 이견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보다 앞서 대학연구윤리제도를 확립하고 발전시킨 미국의 연구윤리에 대한 정부개입의 형성과정을 분석하고, 한국의 연구윤리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미국의 연구윤리제도의 형성과정과 법령들을 분석한 결과, 첫째, 학계에서 연구윤리원칙이나 가이드라인이 먼저 제시된 이후에 연방정부의 입법 및 규제 정책이 수립되었다. 둘째, 연구윤리에 대한 책임은 연방정부와 연구기관이 공유하되, 1차적 책임은 연구기관이 지고 연방정부는 2차적 최종 책임을 지고 있다. 셋째, 연방정부는 비윤리적 연구에 대한 최소한의 엄격한 규제를 가하고 있다. 넷째, 비윤리적 연구의 책임을 개인 차원에서 구조적 차원으로 확대해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Korea is striving to establish a research ethics system, but there is still a disagreement as to the level of government involvement in research ethic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formation process of research ethics system in the United States and sought to derive implications for Korea’s research ethics policy. The analysis of the present status of the research ethics policy and laws of the United States showed that ⅰ) the establishment of regulatory system is done only after the principles of the research ethics or the guideline are presented first in the academic fields; ⅱ) the responsibility for research ethics is to be shared by the federal government and the research institute, and the primary responsibility for research is given to the research institute and the secondary responsibility to the government; ⅲ) the government has imposed a minimum extent of strong regulation on unethical research; and ⅳ)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responsibility of unethical research from the individual level to the structural level.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 론 Ⅱ. 연구윤리에 대한 정부의 인식과 개입배경 Ⅲ. 미국 연구윤리제도의 형성 과정 Ⅳ. 논의 및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윤리·법·사회 문제 해결방안 / 이수빈

발행년 2019 

  • 조회 수 4155

19 장기 조직 이식 잠재 뇌사자에서 성공적 장기 기증과 기증 동의와 관련된 인자/이은우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4118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동의와 자율성의 법적ㆍ윤리적 고찰 / 이한주

발행년 2014 

  • 조회 수 3972

18 인체실험 Editorial: The 2013 special issue on stem cell biology / Dangsheng Li

발행년 2013 

  • 조회 수 395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후견주의와 환자의 자기결정권 - 의사의 설명의무를 중심으로 - / 이석배

발행년 2007 

  • 조회 수 3835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배아 복제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진교훈

발행년 2009 

  • 조회 수 3803

20 죽음과 죽어감 보호의무자에 의한 정신질환자 강제입원·치료제도의 위헌성 -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관련 판례의 응용을 중심으로 / 정태호

발행년 2016 

  • 조회 수 3776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 금지(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갈등 / 김현아

발행년 2011 

  • 조회 수 3767

15 유전학 생명공학 시대의 유전자 조작 기술과 인간중심주의 비판 / 김광연

발행년 2016 

  • 조회 수 3759

12 낙태 ‘미혼모’의 인권제고를 위한 법제개선방안 비교법적 연구 / 신옥주

발행년 2016 

  • 조회 수 3704

8 환자 의사 관계 생명윤리에서 생명권과 자기결정권 / 이석배

발행년 2007 

  • 조회 수 3694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 형법(Strafrecht fur Roboter)? / 김영환

발행년 2016 

  • 조회 수 3627

17 신경과학 정신과 병동 간호사가 인식하는 윤리 문제에 대한 사례 분석 : 원칙주의를 중심으로 / 조민정

발행년 2005 

  • 조회 수 3587

9 보건의료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관한 정책적 개선방안

발행년 2017 

  • 조회 수 3578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심초음파실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에 관한 연구 / 박정욱

발행년 2010 

  • 조회 수 3521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의 윤리성에 관한 연구 / 박인숙

발행년 2001 

  • 조회 수 3435

19 장기 조직 이식 특수부서 간호사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과 태도/오영란

발행년 2018 

  • 조회 수 332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윤리적 문제 : 의사조력자살을 중심으로 / 이종원

발행년 2007 

  • 조회 수 3253

17 신경과학 BCI 기술의 생명윤리 쟁점에 관한 연구 / 윤석란

발행년 2015 

  • 조회 수 317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결정에 있어 사회복지사가 고려해야 할 윤리적 원칙들에 대한 연구 / 한민수

발행년 2003 

  • 조회 수 3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