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 법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27473 
 아동학대 관련 법제의 한계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he Problems and Ways of Improving  for the Legislation System about Child Abuse

http://www.riss.kr/link?id=T14727473
  • 저자[authors] 김경수

  • 발행사항 부산 :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102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심재무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 법학과  2018.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부산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소장기관[Holding] 경성대학교 도서관 (221002)


초록[abstracts] 
아동 학대는 우리 사회의 심각한 사회 문제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는 그 문제에 대한 심각함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아동학대는 대부분의 사례가 피해 아동의 가정 안에서 일어나는 경우이므로 숨겨진 범죄의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피해 아동은 범죄로부터 자신을 지키기가 어렵고 정신적 그리고 육체적 미성숙 때문에 자신들의 인권을 주장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 문제에 근거한 법률적 관점을 다루고 있으며 법률적 및 제도적 측면의 분류와 고려를 통해 아동의 권리를 향상시킬 수 있는 아동 복지 실현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초록[abstracts] 
Child Abuse is a serious social problem in our society. However, we have not awareness of severity to the problem. That has especially the particularities of hidden crime which occurs in their family. Added to that, they can't defend themselves against crime and claim their human rights due to their mental and physical immaturity.
 Thus, this thesis has the legal perspective based on the problem and suggests improvement direction to realize child welfare which is able to enhance children's rights throughout classification and consideration of aspects of legislative system.

목차[Table of content] 
1 서론 1
 1.1 연구의 목적 1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4
  1.2.1 연구의 범위 4
  1.2.2 연구의 방법 5
2 아동학대의 개념과 실태 6
 2.1 아동의 의의 6
  2.1.1 아동의 법적 정의 6
  2.1.2 요보호아동과 일발아동 8
  2.1.3 아동의 권리 9
 2.2 아동학대의 의의 13
  2.2.1 사전적 정의 13
  2.2.2 법적 정의 13
 2.3 아동학대의 실태 18
  2.3.1 서설 18
  2.3.2 아동학대의 원인 20
  2.3.3 아동학대의 현황 21
  2.3.4 가해자 유형별 현황 28
 2.4 소결 30
3. 아동학대 관련 법률과 그 내용 32
 3.1 아동 및 청소년 보호 법률 32
  3.1.1 아동복지법 32
  3.1.2 청소년보호법 34
 3.2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35
  3.2.1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정 과정 35
  3.2.2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정 의의와 내용 36
 3.3 형법상 아동학대 관련 내용 42
  3.3.1 학대의 죄 42
  3.3.2 유기의 죄 43
  3.3.3 약취, 유인 및 인신매매의 죄 43
  3.3.4 강간과 추행의 죄 44
 3.4 성적학대 관련 법률 46
  3.4.1 아동·청소년 성보호에 관한 법률 46
  3.4.2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47
 3.5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49
 3.6 소결 51
4 아동학대에 관한 외국의 법제 52
 4.1 영국 52
  4.1.1 아동법 52
  4.1.2 아동학대 관련 주요 내용 54
 4.2 일본 56
  4.2.1 아동학대의 방지 등에 관한 법률 56
  4.2.2 아동학대 관련 주요 내용 57
 4.3 미국 60
  4.3.1 아동학대예방법 60
  4.3.2 아동학대 관련 주요 내용 62
 4.4 소결 65
5 아동학대 관련 법제의 한계와 개선방안 68
 5.1 실체법적 한계와 개선방안 68
  5.1.1 가해자의 범위 68
  5.1.2 아동학대의 범위 69
  5.1.3 피해아동의 보호범위 70
  5.1.4 가해자에 대한 처벌 71
 5.2 절차법적 한계와 개선방안 75
  5.2.1 사법경찰과 아동보호전문기관의 공조 및 역할분담 75
  5.2.2 피해아동보호와 친권의 충돌 77
  5.2.3 아동학대범죄에 대한 조건부 기소유예 78
  5.2.4 보호처분의 문제점 79
  5.2.5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의사 반영 80
  5.2.6 피해자변호사제도의 도입 81
  5.2.7 사후 서비스 강화 83
 5.3 정책적 한계와 개선방안 85
  5.3.1. 전문 의료기관의 확충 및 치료 병행 85
  5.3.2 아동보호시설 확장 및 시설점검 강화 86
  5.3.3 원스톱 지원시스템 88
  5.3.4 예산확보 법제화 89
 5.4 소결 90
6 결론 92
참고문헌 95
ABSTRACT 10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528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 윤리에 대한 종교적 대응 태도 연구 : 안락사를 중심으로 / 최형창 2004  1631
4527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 역할의 활성화 방안 탐색 연구 / 엄영란 2003  1630
452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법 제27조 제3항 환자 ‘유인’ 금지의 적용범위 / 이석배 2011  1622
4525 15 유전학 형사절차상 유전자정보의 획득 및 이용에 관한 연구 / 이정념 2009  1584
4524 20 죽음과 죽어감 적극적 안락사와 관련한 법적 논쟁 2007  1563
4523 20 죽음과 죽어감 Safety and Efficacy of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s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Single Institute Experience / 박권오, 임형근, 홍지연, 송헌호 2014  1560
4522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법상 임의비급여의 개선방안 연구 / 이인영 2016  1557
4521 2 생명윤리 비트겐슈타인의 확실한 것들과 인간 존엄 및 인간 생명 존중 / 최경석 2014  1552
4520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 최은숙 2015  1550
451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매매의 도덕성 논쟁과 장기보상제도 / 정창록 2013  1549
4518 12 낙태 이슬람세계의 낙태문화에 대한 이해 - MENA 지역을 중심으로 / 김종도 2018  1542
4517 18 인체실험 건국대학교 의과대학에서의 임상연구를 위한 기반 조성에 관하여 / 배진우 2003  1535
» 1 윤리학 아동학대 관련 법제의 한계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김경수 2018  1532
4515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생명공학에 대한 윤리적 고찰 / 박은진 2007  1532
4514 14 재생산 기술 생식세포 및 배아 대상 유전자 치료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김한나 외 2015  1523
4513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에서 유래한 물질의 소유 및 이용에 관한 민사상의 제문제 / 소재선 2011  1505
4512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사회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연명의료계획서 적용에 관한 윤리신학적 고찰 / 홍준표 2018  1502
4511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법적 정당성과 미국 각 주의 원격의료제도의헌법적 근거에 관한 연구 / 최용전 2019  1497
4510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이식(LDLT) 기증자의 경험 / 정선주 2011  1497
4509 18 인체실험 선진 외국의 동물대체시험법 개발현황과 전망 / 이진구 2016  14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