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가톨릭신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715297 


인공지능 로봇에 대한 인간의 인격개념 사용 문제 : 신학적 인간학의 인격개념 이해를 중심으로 

= For the Use of Person(persona) Concept of Human Beings toward Artificially Intelligent Robot(Humanoid Robot): Focused on the Theological Anthropology’s Understanding for the Concept of Person(personality)


  • 저자[authors] 김태오(Tae-Oh Ki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가톨릭신학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1No.-[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가톨릭신학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95-129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230
  • 주제어[descriptor] 인격,인격개념,인격체,인공지능,인공지능 로봇(휴머노이드 로봇),Persona,Concept of Personality,Substance of a Person,Artificial Intelligence,AI Robot(Humanoid Robot)

초록[abstracts] 

[2016년 다보스(세계경제 포럼) 리포트에 의하면, 세계는 2010년으로 들어서면서 3차 산업혁명에서 4차 산업혁명으로 넘어가고 있다. 1990년대 중반 들어 정보통신과 신재생 에너지 개발이 활성화되면서 3차 산업혁명이 시작됐는데, 벌써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등 최첨단 기술의 융합시 대라 일컫는 4차 산업혁명이 소개되고 있다. 우리는 이미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인공지능의 파괴력을 이세돌과 알파고(AlphaGo)의 바둑대결에 서 보았다. 이 대결은 앞으로 갈수록 강화되는 인공지능이 인간에게 다가 올 모습 그리고 인간이 미래의 인공지능을 어떻게 맞이할 것인지를 성찰 하게 하였다. 지난 7월 우리나라 한 여성 국회의원이 동료의원 37명과 함께 로봇에 대해 특정 권리는 물론 의무를 가진 전자적 인격체로서의 지위를 부여토록 하여 윤리규범을 준수하도록 하는 ‘로봇기본법’ 제정안을 공동발의했다. 필자는 이 법안에 대한 찬ㆍ반의 접근이 아니라, 로봇에 대한 인격 및 인격체에 대한 용어 사용 및 지위 부여에 있어 크게 염려하였다. 그래서 권리와 의무의 주체의 자격을 가지는 법률적 관점에서의 인격을 넘어 인간의 본질로서의 인격개념을 신학적 인간학 관점에서 재정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로봇이 인격일 수 없음을 논증하였다. 본 논고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는 인격개념의 개념정리로서,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인격개념을 신학적 인간학 관점에서 이해하였다. 결과로써, 인격개념을 세 가지 차원, “개별체로서의 인격”, “가치의 의미로 서의 인격”, “관계로서의 인격”으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둘째는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와 함께 인공지능 로봇에 대한 부적절한 인격 사용 및 인격일 수 없는 사실을 논증하였다. 앞서 정리한 세 가지 차원의 인격개념을 바탕으로 인공로봇이 인격일 수 없음을 세 가지 명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인공지능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에 한정하여 인격문제를 거론했다. 인간 유기체에 기계가 결합되는 사이보그나 사이버 자아는 현재 그 정의가 다양해 다루지 않았다. 하지만 인격의 본질이 정신과 육체가 실체적 결합을 이루는 인격적 몸에 한정된다는 분명한 입장은 어떠한 개체 및 존재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 According to 2016 DAVOS(WEF) REPORT, the world in the beginning of 2010 has been initiated in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rom the 3rd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middle of 1990, the 3rd Industrial Revolution had begun with a developmental activation of information-communication technology and renewable energy technology, howeve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was called Artificial Intelligence(AI) or Convergence age of the most advanced technology, has already been introduced. From the last Baduk(Go) competition of Lee Sedol vs. AlphaGo, we have already experienced a destructive power of the AI, which is the key technology of the 4 th Industrial Revolution. Such experience has enhanced us to reflect on more and more advanced AI which will come closely to human persons and how humans encounter of the future AI. The last July a Congresswoman in Korea co-signed by thirty six other fellow members proposed an amendment of the Robot Basic legislation, which includes granting a particular right to the Robot and also the state of electronic personality observing moral norms. For this matter I had a big concern not by ‘for and against’ approach, but by the use of personality concept and granting personality status toward the AI Robot. Therefore, I tried to rearrange the personality concept from the perspective of theological anthropology, and demonstrate of the fact that the AI robot must not be a human person and personality. This thesis is summarized in two parts. The first part is a summary presentation of the personality concept from the perspective of theological anthropology in the context of times from ancient to contemporary. As a result, I presented three dimensional understanding of personality concept, which are “personality as the individual substance”, “personality as the means of human values”, and “personality as the relation.” Then, the second part is a presentation of a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AI and a demonstration of the fact that the AI must not be a person and personality. Based on three dimensional understanding of personality concept there are three statements for relation of personality concept and the AI robot presented. The work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humanoid robot in the context of the AI. It does not deal with the cyborg and the cyborg self due to various definitions of cyborg world in the present. However, It is a clear statement that the essential nature of personality is only the substantial relation of mind and body, and such a position must be kept in dealing with any individuals and existences.]


목차[Table of content] 들어가는 말  I. 신학적 인간학의 인격개념 이해  1.1. “개별체로서의 인격”  1.2. “가치의 의미로서의 인격”  1.3. “관계로서의 인격”  II. 인공지능 로봇의 인격개념 적용 문제  2.1. 인공지능의 역사  2.2. 인공지능 로봇의 현재와 미래  2.3. 로봇의 인격개념 적용 불가능성 논증  나가는 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2
4668 20 죽음과 죽어감 생전유언, 의료지시서,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입법의 사회적 함의 / 이인영 2008  64715
466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추정적 의사 / 김필수 2012  61049
4666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 존중의 원칙 : 정치적 이념과 철학적 이념 / 최경석 2015  52553
4665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의 입법에 관한 연구 / 이정식 2000  52529
466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고통에 대한 의사의 정당한 태도 / 유호종 2004  45970
4663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원인과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김희경 2014  27884
4662 9 보건의료 의료기기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 도입방안 연구 / 이민정 외 2017  24772
466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세폐지의 타당성 검토 / 김찬섭 2016  23650
4660 9 보건의료 임종간호수행 요양병원간호사의 소진 구조 모형 / 김원순 2017  22481
4659 18 인체실험 일본의 「임상연구법」이 한국의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2018  22125
4658 12 낙태 미국에서의 낙태 규범과 범죄와의 상관관계 분석연구에 대한 고찰 / 이인영 2012  20314
4657 8 환자 의사 관계 독일의 환자사전의사표시법 / 이석배 2010  19862
4656 12 낙태 낙태죄의 현실적응력 : 의사의 면허와 관련하여 / 김혜경 2007  19051
4655 20 죽음과 죽어감 영화 「씨 인사이드(2004. 스페인)」와 「아무르(2012.프랑스, 오스트리아, 독일 합작)」 그리고 「행복한 엠마, 행복한 돼지 그리고 남자(2006.독일)」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안락사 및 존엄사의 역사 및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 전경화 2016  18699
4654 4 보건의료 철학 임상시험 코디네이터로 근무하는 간호사의 근무환경,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김슬기 2018  18473
465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신장 공여자의 공여 후 적응 경험 / 강다해솜 외 2016  18209
4652 9 보건의료 119 구급대 이용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 배현아, 유지영, 어은경, 정구영 2004  16864
4651 14 재생산 기술 미토콘드리아DNA 대체요법의 법적 고찰 -세칭 “세 부모 아이” 체외수정시술의 규제현황과 향후 임상적용의 규제방향- / 이민규 외 2017  16712
4650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요인 / 박성준 2019  16003
4649 22 동물복지 대체 시험법을 활용한 줄기세포 화장품의 자극성 평가 / 오한슬 외 2016  15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