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호스피스 간호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678144 
간호사가 인식하는 완화의료도우미의 업무중요도 및 수행도

= The Nurses’ Perceived Task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Palliative Care Aides

  • 저자[authors] 정미란
  • 발행사항 부산 :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67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김은하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호스피스 간호전공 2018.2
  • 발행국(발행지)[Country] 부산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완화의료도우미,업무,수행도,중요도
  • 소장기관[Holding] 부산가톨릭대학교 중앙도서관 (221037)
  • UCI식별코드 I804:21037-200000012602

초록[abstract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investigation research to examine the presently palliative care aide-implementing hospice hospital nurses’ perceived task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palliative care aides. Data collection were made from December 1 to 7, 2017 through 122 nurses who work in the hospice ward in hospital-level medical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Busan, Gyeongnam, Gyeongbuk, Jeonnam, and Chungnam region that run the hospice palliative care aide system. The tools regarding the task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developed in 62 questions based on the nursing service categories of Korean Nurses Association and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guidelines for nursing caregiver fostering, duty listed in the job description of the hospice/palliative care aides from Korea Hospice Palliative Care Medical Association. Data analysis was made using SPSS WIN 23.0 conducting a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t-test.       The summaries of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All 122 subjects were females with the average age of 34.6, out of whom the 20s marked the most with 43.4%. Their marital status as unmarried marked 50.8%, 43.4% non-religious, 26.1% Catholics, 18.9% Christians, and 10.7% Buddhists. 54.9% had an undergraduate degree as their final education marking the majority portion, and hospital nurse career under 5 years marked the most with 44.3%. 59.0% had a working career between 1 and 5 years in the hospice ward, 27.9% under 1 year, and from the job position, general duty nurse marked the most with 79.5%. As for the thoughts on the palliative care aide system, 77.0% answered ‘very necessary’ and 23.0% answered ‘helpful to have one’. As for the question regarding the utilization of the palliative care aide, the majority of 87.7% answered ‘very helpful for the nursing performance and therefore is absolutely necessary’; as for their outputs, 61.5% answered ‘relatively good’. As for the question regarding the appropriateness in task performance request, 71.3% answered ‘relatively well done’, and in the question regarding the reasons for the nurse in delegating their work, 59.8% answered ‘shortage of time and workforce’, and 34.5% answered ‘overburdening task’.      2. The total average of the task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palliative care aides perceived by the nurses were respectively 4.23 and 4.10 points out of 5. The sub-factors of the task importance, nursing support, physical activity support, daily life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each marked 4.45, 4.41, 4.17, and 4.07 points. The sub-factors of the task performance, nursing support, physical activity support, daily life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each marked 4.29, 4.25, 4.17, and 3.70 with the nursing performance marking the highest point.      3. The task importance by the sub-factors of the palliative care aides perceived by the nurses are as follows: In the physical activity support field, body position change assisting and bedsore prevention and treatment assisting marked the highest, with medicine storage marking the lowest. In the daily life support field, washing hands to prevent infection marked the highest while receiving and making phone calls marked the lowest. In the emotional field, patient’s death preparation assisting marked the highest, while praying together marked the lowest. In the nursing support field, the points regarding the inhalation medication aid and reporting when an abnormality occurs as well as oral medication check and reporting when an abnormality occurs marked the highest, while death room surroundings clean-up marked the lowest. 62 questions from the total of 4 fields, tasks of the highest importance were washing hands to prevent infection and hygienic secretion disposal, and tasks of the lowest importance were the interview (guardian visit) assisting and receiving/making phone calls.      4. The task performance by the sub-factors of the palliative care aides perceived by the nurses are as follows: In the physical activity support field, diaper and body position changing were high, and finger and toenail cutting were the lowest. In the daily life support, raising bed handrail and washing hands to prevent infection was high in the order. In the emotional support field, keeping the patient's company was the highest, and praying together was the lowest. In the nursing support field, assisting with patients’ consumption and excretion record, and reporting when an abnormal symptom is seen were high in the order, with the lowest performance being keeping company with dying patient and his/her guardian, as well as terminal care assisting. The tasks with the highest performance in the 62 questions from the total of 4 fields were bed handrail raising and diaper changing, with the lowest performance being praying together and cutting finger/toenail.      5. The task importance and performance by the sub-factors of the palliative care aides perceived by the nurs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fields; physical activity support (t=6.100, p<.001), daily life support (t=-1.725, p<.087), emotional support (t=12.378, p<.001), and nursing support (t=2.819, p<.001)   Through the above-stated results, the task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palliative care aide perceived by the hospice nurses were investigated. This research is considered to be utilized as the directing and educating baseline data for the palliative care aides, as well as assisting with the provision of the alternatives for the settlement of the palliative care aides henceforth.

초록[abstracts] 
연구는 현재 완화의료도우미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호스피스병원의 간호사가 인식하는 완화의료도우미의 업무중요도와 수행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서울, 부산, 경남, 경북, 전남, 충남지역에 소재한 호스피스 완화의료도우미 제도를 시행하는 병원급 의료기관의 호스피스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122명을 대상으로 2017년 12월1일부터 2017년 12월7일까지 이루어졌다. 업무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한 도구는 대한간호협회와 보건복지부의 간병업무 항목과 요양보호사 양성지침, 한국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의 호스피스‧완화의료도우미 직무에서 기술한 업무를 토대로 각각 62문항을 개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aired t-test 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 122명 모두 여성이었으며, 평균 34.6세이었고 20대가 41.8%로 가장 많았다. 결혼형태는 미혼이 50.8%로 가장 많았고, 종교는 없음이 43.4%로 가장 많았으며, 천주교 26.1%, 기독교 18.9%, 불교 10.7% 순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은 학사가 54.9%로 가장 많았고, 병원간호사의 경력은 5년 미만이 44.3%로 가장 많았다. 호스피스 병동 근무경력은 1년∼5년 미만이 59.0%, 1년 미만은 27.9% 순이었고,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79.5%로 가장 많았다. 완화의료도우미제도에 관한 생각은 ‘매우 필요하다’가 77.0%, ‘있으면 좋은 제도라고 생각한다’는 23.0%로 나타났다. 완화의료도우미활용에 관한 문항은 ‘간호수행에 많은 도움이 되며, 반드시 필요하다’가 87.7%로 가장 많았고, 완화의료도우미의 역할은 ‘비교적 잘함’이 61.5%로 가장 많았다. 업무수행 의뢰시의 적절함에 관한 문항은 ‘비교적 잘 이루어짐’이 71.3%로 나타났으며, 간호사가 업무를 위임하는 이유에 관한 항목은 ‘시간과 인력부족’이 59.8%, ‘업무 과중’은 34.5% 순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가 완화의료도우미의 업무중요도 및 수행도의 전체평균은 5점 만점에 각각 4.23점과 4.10점이었다. 업무중요도의 하위영역별로 간병지원이 4.45점, 신체활동지원은 4.41점, 일상생활지원이 4.17점, 정서지원은 4.07점 순이었다. 업무수행도는 하위영역별로 간병지원이 4.29점으로 가장 높았고, 일상생활지원은 4.25점, 신체활동지원이 4.17점, 정서지원은 3.70점 순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가 인식하는 완화의료도우미의 하위영역별 업무중요도는 다음과 같다. 신체활동지원 영역에서는 체위변경 돕기, 욕창예방과 관리 돕기가 가장 높았고, 약 보관하기는 가장 낮았다. 일상생활지원 영역에서는 감염예방을 위한 손 씻기가 가장 높았고, 전화 받고 걸어주기가 가장 낮았다. 정서지원 영역에서는 환자의 죽음준비 돕기가 가장 높았고, 함께 기도하기가 가장 낮았다. 간병지원 영역에서는 흡입약 투약 보조 및 이상시 보고와 경구약 투약여부 확인 및 이상시 보고의 점수가 높았고, 임종실 환경정리하기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총 4가지 영역의 62문항 중 중요도가 가장 높은 업무는 감염예방을 위한 손 씻기와 위생적으로 분비물 처리하기이었고, 가장 낮은 업무는 면회(보호자방문) 돕기와 전화 받고 걸어주기로 나타났다. 4. 대상자가 인식하는 완화의료도우미의 하위영역별 업무수행도는 다음과 같다. 신체활동지원 영역에서는 기저귀 교환, 체위변경 돕기가 높았고, 손발톱 깎기가 가장 낮았다. 일상생활지원 영역에서는 침대난간 올리기, 감염예방을 위한 손 씻기 순으로 높았다. 정서지원 영역에서는 말벗되기가 가장 높았고 함께 기도하기가 가장 낮았다. 간병지원 영역에서는 섭취량과 배설량 기록돕기, 이상증상 발견 시 보고 순으로 높았으며, 가장 낮은 업무는 임종환자 및 보호자와 함께 있어주기와 임종간호 돕기였다. 총 4가지 영역의 62문항 중 수행도가 가장 높은 업무는 침대난간 올리기와 기저귀 교환이었고, 가장 낮은 업무는 함께 기도하기와 손발톱 깎기로 나타났다. 5. 대상자가 인식하는 완화의료도우미의 업무중요도와 수행도의 하위영역별 차이는 신체활동지원(t=6.100, p<.001), 일상생활지원(t=-1.725, p<.087), 정서지원(t=12.378, p<.001)과 간병지원(t=2.819, p<.001) 으로 일상생활지원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전체 업무중요도와 수행도(t=4.424, p<.001)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호스피스 간호사가 인식하는 완화의료도우미의 업무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해 알 수가 있었다. 본 연구는 완화의료도우미의 지속적인 교육 및 지도·감독의 방향을 설정하는 지침의 근거가 될 것이며, 향후 완화의료도우미제도의 정착을 위한 대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표 목차                ⅵ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용어의 정의        4
Ⅱ. 문헌고찰        6
  1. 호스피스 완화의료에서의 돌봄 제공자 6
  2. 호스피스 완화의료도우미               10
 
Ⅲ. 연구방법 14
  1. 연구 설계 14
  2. 연구 대상 14
  3. 연구 도구 14
  4. 자료수집 방법 16
  5. 자료분석 방법 16
  6. 윤리적 고려 17
  7. 연구의 제한점 17
Ⅳ. 연구결과 18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완화의료도우미 활용관련 특성        18
  2. 대상자가 인식하는 완화의료도우미의 업무중요도 및 수행도         21
  3. 대상자가 인식하는 완화의료도우미의 하위영역별 업무중요도 22
  4. 대상자가 인식하는 완화의료도우미의 하위영역별 업무수행도 26
  5. 대상자가 인식하는 완화의료도우미의 업무중요도와 수행도의
      하위영역별 차이                                                                        30
  6. 대상자가 인식하는 완화의료도우미의 업무중요도와 수행도의
      업무활동별 차이                                                                        31
Ⅴ. 논의                 36
Ⅵ. 결론 및 제언 43
Ⅶ. 참고문헌         46
   
   부록                              
  1. 연구 설명문 및 참여설명서 53
  2. 연구 대상자 동의서        54
  3. 설문지                           55
   영문초록(Abstract) 63
   감사의 글                 6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1
4668 20 죽음과 죽어감 생전유언, 의료지시서,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입법의 사회적 함의 / 이인영 2008  64671
466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추정적 의사 / 김필수 2012  60978
4666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 존중의 원칙 : 정치적 이념과 철학적 이념 / 최경석 2015  52536
4665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의 입법에 관한 연구 / 이정식 2000  52512
466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고통에 대한 의사의 정당한 태도 / 유호종 2004  45945
4663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원인과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김희경 2014  27859
4662 9 보건의료 의료기기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 도입방안 연구 / 이민정 외 2017  24757
466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세폐지의 타당성 검토 / 김찬섭 2016  23633
4660 9 보건의료 임종간호수행 요양병원간호사의 소진 구조 모형 / 김원순 2017  22468
4659 18 인체실험 일본의 「임상연구법」이 한국의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2018  22100
4658 12 낙태 미국에서의 낙태 규범과 범죄와의 상관관계 분석연구에 대한 고찰 / 이인영 2012  20295
4657 8 환자 의사 관계 독일의 환자사전의사표시법 / 이석배 2010  19852
4656 12 낙태 낙태죄의 현실적응력 : 의사의 면허와 관련하여 / 김혜경 2007  19040
4655 20 죽음과 죽어감 영화 「씨 인사이드(2004. 스페인)」와 「아무르(2012.프랑스, 오스트리아, 독일 합작)」 그리고 「행복한 엠마, 행복한 돼지 그리고 남자(2006.독일)」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안락사 및 존엄사의 역사 및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 전경화 2016  18684
4654 4 보건의료 철학 임상시험 코디네이터로 근무하는 간호사의 근무환경,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김슬기 2018  18457
465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신장 공여자의 공여 후 적응 경험 / 강다해솜 외 2016  18184
4652 9 보건의료 119 구급대 이용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 배현아, 유지영, 어은경, 정구영 2004  16844
4651 14 재생산 기술 미토콘드리아DNA 대체요법의 법적 고찰 -세칭 “세 부모 아이” 체외수정시술의 규제현황과 향후 임상적용의 규제방향- / 이민규 외 2017  16685
4650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요인 / 박성준 2019  15995
4649 22 동물복지 대체 시험법을 활용한 줄기세포 화장품의 자극성 평가 / 오한슬 외 2016  15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