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863055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이 여가태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for Well-Dying on Leisure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http://www.riss.kr/link?id=T13863055

저자  : 최은주

형태사항 :  vii, 93 p.: 삽도; 26 cm.

일반주기 :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곽한병
                참고문헌 : p.72-85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레저스포츠학과 2015. 8

발행국  : 서울

언어 : 한국어

출판년 : 2015

주제어 :  웰다잉(Well-dying), 죽음준비교육, 여가태도, 삶의 질




[ 초록 ]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이 노인의 여가태도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 하였다. 첫째, 죽음준비교육이 노인의 여가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죽음준비교육이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것이다.
연구 문제의 결과를 얻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에 소재한 네 곳의 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죽음준비교육에 참여한 100명과 비참여자 150명, 모두 250명을 선정하였다.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선행 연구된 죽음준비교육 내용을 참고하여 재구성하고 주2회, 회기 당 90분씩, 8회기에 걸쳐서 본 연구자의 교육으로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Beard와 Ragheb(1982)가 개발한 여가태도척도(LAS)를 사용하였고, 삶의 질 척도는 최성재(1986)에 의해 개발된 ‘노인생활만족도 척도‘를 신상식(2010)이 재구성하고 임송자(2012)가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평균, 표준편차 등의 통계량,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에 따라 여가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여가태도에 대해 성별, 교육수준, 소득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가태도의 하위 요인별로 살펴보면 인지적 영역에서는 여자보다 남자가 높게 나타나고, 정의적 영역에서는 남자보다 여자가 여가태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인지적 영역에서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행동적 영역에서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여가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 대한 차이를 검증한 결과 삶의 만족에 대해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삶의 만족도의 하위 요인별로 살펴보면 과거차원만족도에서는 성별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는데 남자보다 여자가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현재차원만족도에 대해서는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는데 연령이 많을수록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미래차원만족도에 대해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전체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남자보다 여자가 삶의 만족도가 높았고 연령이 많을수록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죽음준비교육 참여 여부에 따라 여가태도에 대해 차이를 검증한 결과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교육에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여가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여가태도의 하위영역으로 살펴보면 인지적 영역, 행동적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죽음준비교육에 참여 여부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 대한 차이를 검증한 결과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교육에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의 하위 영역으로 살펴보면 과거차원만족도와 미래차원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여가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과거차원만족도, 현재차원만족도, 미래차원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하위요인 영역으로 살펴보면 과거차원만족도에 대한 여가태도의 영향력을 보면 인지적 영역, 행동적 영역에서 유의하였고,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차원의 만족도에 대한 여가태도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인지적 영역과 행동적 영역에서 유의하였고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차원의 만족도에 대한 여가태도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는 인지적 영역, 정서적 영역, 행동적 영역에서 유의하였고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서 죽음준비교육이 여가태도와 삶의 질의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남은 삶의 대부분이 여가시간인 노인을 대상으로 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치료적 접근의 여가교육으로 삶의 연장선에서 죽음을 긍정적으로 이해하고 과거의 부정적인 감정을 해소시켜 남은 인생을 설계함에 있어 여가의 가치와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여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제안할 수 있다.



[목차]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2절 연구의 목적 3

  • 제3절 연구의 가설 4

  • 제4절 용어의 정의 5

  • 제5절 연구의 제한점 6

  • 제2장 이론적 배경 7

  • 제1절 웰다잉(Well-dying) 7

  • 제2절 죽음준비교육 19

  • 제3절 여가태도 33

  • 제4절 삶의 질 36

  • 제5절 죽음준비교육과 여가태도 및 삶의 질과의 관계 39

  • 제3장 연구 방법 41

  • 제1절 연구대상 41

  • 제2절 조사도구 43

  • 제3절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 44

  • 제4절 자료처리방법 50

  • 제4장 결과 51

  • 제1절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태도의 차이 51

  • 제2절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도의 차이 55

  • 제3절 죽음준비 교육여부에 따른 여가태도의 차이 59

  • 제4절 죽음준비 교육여부에 따른 삶의 만족도의 차이 60

  • 제5절 여가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61

  • 제5장 논의 63

  • 제6장 결론 및 제언 68

  • 제1절 결론 68

  • 제2절 제언 71

  • 참고문헌 72

  • 부 록 86

  • Abstract 9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1
    212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 여성의 호스피스 자원봉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강선미 2016  755
    »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이 여가태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최은주 2015  1006
    210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 프로그램과 노인의 삶의질, 죽음불안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연구 / 정운경 2015  1466
    209 20 죽음과 죽어감 국가별 사전의료의향서 서식 분석 및 사전의료의향서 표준 서식 제안/이은영 외 2011  1232
    208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형 사전의료의향서의 구성 요건: 의료인을 중심으로 2012  183
    207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대학병원의 연명치료 선택 및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현황 2011  737
    206 20 죽음과 죽어감 생물학적 죽음에서 인간적 죽음으로 / 권수현 2015  535
    205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연령에 따른 삶의 질 가치와 사전의사결정(Advance Directives)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 / 김정선 2012  318
    204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관련 요인과 죽음준비의 관계 : 예비노인과 베이비부머의 비교 / 정순둘, 김수현, 구미정 2014  336
    20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기준과 절차 : 대법원 2009. 5. 21. 선고 2009다17417 판결이 가지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 이석배 2009  7167
    20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있어서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연구 / 이석배, 이원상 2010  163
    20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의 정당성 근거와 조건 / 유호종 2002  208
    200 20 죽음과 죽어감 치료중단 지침을 둘러싼 우리 사회의 논란에 대한 법적, 윤리적 검토 / 유호종 2002  123
    199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의 기준과 사상과 양심의 자유 / 유호종 2007  160
    198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사결정의 속성-생전유언을 중심으로 / 김신미 2010  162
    197 20 죽음과 죽어감 생전유언, 의료지시서,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입법의 사회적 함의 / 이인영 2008  64685
    19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환자 돌봄에 관한 연구 : 환자의 통증과 고통을 중심으로 / 박상현 2015  473
    195 20 죽음과 죽어감 Euthanasia : 좋은 죽음에 관한 기독교 생명윤리학적 연구 / 허반석 2015  530
    194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 / 김원정 2015  257
    193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현재와 미래 / 홍태석 2014  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