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859153 
안락사에 관한 헌법적 연구 : 적극적 안락사를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T13859153    

  • 기타서명

    (A) study of constitutional law on euthanasia

  • 저자

    최다혜                                       

  • 형태사항

    viii, 126 p. ; 30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金炯盛
    참고문헌: p. 119-12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법학과 2015. 8

  • DDC

    340 23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5


초록 (Abstract)

  • 안락사는 적극적 안락사를 지칭하는 것으로 환자가 감내할 수 없고 치료와 조절이 불가능한 고통을 없애기 위한 목적으로 환자 본인 이외의 사람이 환자의 명시적인 요청에 따라 환자에게 ...
  • 안락사는 적극적 안락사를 지칭하는 것으로 환자가 감내할 수 없고 치료와 조절이 불가능한 고통을 없애기 위한 목적으로 환자 본인 이외의 사람이 환자의 명시적인 요청에 따라 환자에게 죽음을 초래할 물질을 투여하는 등의 인위적·적극적인 방법으로 사기를 앞당기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본인 이외의 사람이란 환자의 보호·치료 의무가 있는 의사에 의한 경우이다. 본 논문에서는 소위 조력자살의 문제를 포함하고 있는 자의에 의한 안락사의 범주를 다루고 있다. 현재까지 적극적 안락사를 허용하고 있는 나라는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스위스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1
  • 제2절 연구의 목적 4
  • 제2장 안락사의 의의와 논의의 전개 6
  • 제1절 안락사의 개념 및 역사적 개관 6
  • I. 개념 6
  • 1. 안락사의 정의 6
  • 가. 의사윤리지침의 정의 6
  • 나. 문헌상의 정의 7
  • 2. 안락사와 존엄사의 개념 구분 8
  • 가. 존엄사 용어의 등장 9
  • 나. 존엄사: 소극적 안락사와 적극적 안락사를 포괄하는 개념 11
  • II. 안락사의 역사적 개관 13
  • 1. 자살에 대한 인식과 변화 13
  • 가. 고대 그리스와 로마 13
  • 나. 기독교의 영향과 영미법 15
  • 다. 자살의 비범죄화 16
  • 2. 기타 종교권의 안락사에 관한 인식 16
  • 가. 불교 16
  • 나. 힌두교 18
  • 다. 유대교 18
  • 3. 안락사에 대한 현대 철학적 논의 19
  • 제2절 안락사의 유형 21
  • I. 행위자의 시술방식에 따른 대분류 22
  • 1. 소극적 안락사 22
  • 2. 적극적 안락사 22
  • 가. 직접적인 적극적 안락사 23
  • 나. 간접적인 적극적 안락사 24
  • II. 환자의 자발적인 의사를 기준으로 구분하는 경우 24
  • III. 고통의 경감 및 생명단축의 결과를 기준으로 하여 구분하는 경우 25
  • IV. 의사조력자살의 개념 및 적극적 안락사와의 관계 26
  • 1. 의사조력자살의 개념 26
  • 2. 의사조력자살과 적극적 안락사의 관계 26
  • 제3절 소결 27
  • 제3장 적극적 안락사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30
  • 제1절 적극적 안락사를 허용하는 국가 30
  • I. 캐나다 30
  • 1. 입법례 30
  • 2. 주요 판례 30
  • 가. Rodrigues v. British Columbia(1993) 31
  • 나. Carter v. Canada (2015) 32
  • II. 프랑스 33
  • 1. 입법례 34
  • 2. 주요 판례 37
  • 가. 뱅상 람베르 사건(2014) 37
  • III. 네덜란드 39
  • 1. 입법례 39
  • 2. 주요 판례 42
  • 가. 1973년 레우바르덴 지방법원 판결 42
  • 나. 1984년 네덜란드 대법원 판결 43
  • 다. 1994년 네덜란드 대법원 판결 44
  • 제2절 적극적 안락사를 제한적으로 허용하는 국가 45
  • I. 미국 45
  • 1. 입법례 45
  • 2. 주요 판례 49
  • 가. Washington v. Glucksberg(1997) 49
  • 나. Vacco v. Quill(1997) 51
  • II. 일본 53
  • 1. 입법례 53
  • 2. 주요 판례 54
  • 가. 나고야 사건 54
  • 나. 동해대학병원 안락사 사건 56
  • 제3절 적극적 안락사를 불허하는 국가 57
  • I. 독일 57
  • 1. 입법례 59
  • 2. 주요 판례 61
  • 가. 학케탈(Hackethal) 사건(1987) 61
  • 나. 비티히(Wittig) 사건(1984) 62
  • 제4절 시사점 64
  • 제4장 우리나라의 현황 68
  • 제1절 학계에서의 논의 68
  • I. 안락사에 반대하는 논거 68
  • 1. 남용의 위험과 생명경시풍조 68
  • 2. 살인으로서 안락사 69
  • 3. 절대적 생명보호의 원칙 69
  • 4. 환자의 합리적 결정 결여 70
  • 5. 의사의 의료의무 위반 71
  • II. 안락사에 찬성하는 논거 71
  • 1. 죽음에 관한 자기결정권 71
  • 2. 생명권의 상대성 인정 73
  • 3. 안락사 불허: 다수의 가치관 강요 74
  • 4. 경제적 부담 74
  • 5. 의사의 의료의무 위반에 대한 반론 75
  • 제2절 주요판례 76
  • I. 보라매병원 사건 76
  • 1. 사건의 개요 76
  • 2. 판결 요지 76
  • 3. 검토 77
  • II. 김할머니 사건 78
  • 1. 사건의 개요 78
  • 2. 판결 요지 78
  • 3. 검토 80
  • 제3절 안락사에 관한 사회적 인식 및 법제화 현황 80
  • I. 사회적 인식 80
  • II. 법제화 현황 82
  • 제5장 적극적 안락사를 인정하기 위한 방안 84
  • 제1절 헌법적 쟁점 84
  • I. 적극적 안락사와 관련한 기존의 쟁점 84
  • 1. 생명의 처분권 84
  • 2. 상대적 기본권으로서의 생명권 85
  • 3. 죽음에 관한 자기결정권과 국가의 생명권 보호의무 충돌 87
  • II. 생명권과 자기결정권 89
  • 1. 자기결정권 89
  • 가. 자기결정권의 의의 89
  • 나. 죽음에 관한 자기결정권의 헌법적 근거 89
  • 다. 자기결정권에 근거한 적극적 안락사의 정당성 91
  • 2. 생명권 95
  • 가. 생명권의 의의 및 헌법적 근거 95
  • 나. 생명권의 대상으로서 생명의 의미 96
  • 다. 안락사: 생명권의 적극적 실현 98
  • III. 적극적 안락사를 인정하기 위한 다른 논리적 근거 100
  • 1.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 100
  • 가. 국가의 생명권 보호 의무의 근거 100
  • 1) 생명권의 주관적 공권성 100
  • 2) 생명권의 객관적 가치질서성 101
  • 2. 생명권의 적극적 권리와 국가의 생명권 보호의무 101
  • 3. 환자의 최선의 이익 103
  • 4. 소극적 안락사와 적극적 안락사 행위 유형에 대한 구분 모호 106
  • 제2절 적극적 안락사의 요건 및 제도 정립 방안 109
  • I. 적극적 안락사의 요건 109
  • 1. 실체적 요건 109
  • 2. 절차적 요건 110
  • 가. 환자의 명시적인 의사 110
  • 나. 행위지배 110
  • 다. 안락사 시술 방법의 제한 111
  • II. 제도 정립 방안 111
  • 1. 의사조력자살의 비범죄화 111
  • 가. 자살관여 의사의 법적 면책 111
  • 나. 환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절차 마련 112
  • 1) 주치의 및 자문의에 의한 단계적 진단 112
  • 2) 충분한 상담절차 및 대기기간 설정 113
  • 3) 기록·보고 의무 114
  • 2. 안락사 남용 가능성 차단 노력 필요 114
  • 가. 의료보장제도의 확충과 재원마련 114
  • 나. 제3의 기관에 의한 관리와 통제 115
  • 다. 고통완화치료 및 호스피스 제도의 활성화 115
  • 제6장 결론 117
  • 참고문헌 119
  • ABSTRACT 12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2
732 20 죽음과 죽어감 생전유언, 의료지시서,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입법의 사회적 함의 / 이인영 2008  64714
73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추정적 의사 / 김필수 2012  61047
730 20 죽음과 죽어감 영화 「씨 인사이드(2004. 스페인)」와 「아무르(2012.프랑스, 오스트리아, 독일 합작)」 그리고 「행복한 엠마, 행복한 돼지 그리고 남자(2006.독일)」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안락사 및 존엄사의 역사 및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 전경화 2016  18699
729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요인 / 박성준 2019  16003
728 20 죽음과 죽어감 마약성 진통제 사용과 부신기능부전 / 정지훈, 최윤선, 김정은, 김이연 2014  14316
727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생명연장치료 중단에 관한 법 윤리적 고찰 : 법원의 존엄사 판결에 대한 비판적 성찰 / 김학태 2009  11061
72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윤리적 고찰 : 인간은 죽음을 선택할 권리가 있는가? / 박은숙 2011  7774
72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기준과 절차 : 대법원 2009. 5. 21. 선고 2009다17417 판결이 가지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 이석배 2009  7177
724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에 있어서 존엄사의 법제화와 향후과제 / 주호노 2013  6645
723 20 죽음과 죽어감 신생아의 안락사에 관한 연구 / 주호노 2008  6084
722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좋은 죽음의 문제 / 김미혜 2019  5871
72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임봉자 2008  5257
720 20 죽음과 죽어감 보호의무자에 의한 정신질환자 강제입원·치료제도의 위헌성 -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관련 판례의 응용을 중심으로 / 정태호 2016  3775
719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배아 복제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진교훈 2009  3740
718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 금지(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갈등 / 김현아 2011  3711
71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윤리적 문제 : 의사조력자살을 중심으로 / 이종원 2007  3214
71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결정에 있어 사회복지사가 고려해야 할 윤리적 원칙들에 대한 연구 / 한민수 2003  3062
715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거부할 권리 / 허대석 2008  2857
»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헌법적 연구 : 적극적 안락사를 중심으로 / 최다혜 2015  2688
713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 아동청소년문학에 나타난 죽음개념의 변화 / 김경란 2015  2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