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가톨릭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 행정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671318 
심폐소생술 금지(DNR) 결정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Determinants of DNR Decisions

• 저자 : 조충희
• 형태사항 : viii, 83p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김관보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가톨릭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 행정학과 의료 및 보건행정 전공 2018.2
• 발행국 : 경기도
• 출판년 : 2018
• 주제어 : 심폐소생술금지, DNR 인식도, DNR결정 영향요인, DNR 법제도적 요인, 연명의료결정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 및 보호자가 심폐소생술 금지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인식도 조사를 통해 향후 객관적인 심폐소생술 금지에 관한 지침서를 마련하고, 심폐소생술금지에 대한 제도화로 환자의 권리와 존엄을 확대함으로써 심폐소생술금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 도출과 함께 관련 정책 및 제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연구모형은 독립변수인 의사요인, 보호자 요인, 법제도적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들과 종속변수인 DNR 결정 인식도로 설계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네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C대학교 부속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전공의, 임상 교수 및 동병원의 일반 병동 및 중환자실에 입원해 있는 환자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140부를 배포하여 전수인 140부(회수율 100%)를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검증결과 법․ 제도적 요인만이 DNR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의사 요인, 환자 보호자의 인식, 사회·문화적 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전체 평균값 분석 결과 종속변수의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나 응답자들의 DNR 결정에 대한 인식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의사와 환자·보호자 집단 간 평균값 비교 분석 결과 종속변수인 DNR 결정에 대한 인식도는 환자·보호자 집단이 높게 나타났으며, 독립변수인 법·제도적 요인과 사회·문화적 요인의 인식도는 의사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DNR 경험 여부에 따른 평균값 비교 분석 결과 종속변수인 DNR 결정의 평균값 차이가 높게 나타났으며, DNR 경험이 있는 집단의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종속변수 DNR 결정 인식도에는 법·제도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어, DNR 결정에 관한 명확한 법규와 제도적 절차의 마련이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주요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근거가 명확하고 표준화된 DNR 관련 교육이 의사의 정규 교육과정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현실 상황에 적합한 DNR 관련 법·제도의 개정 및 수립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법제도적 차원에서 환자·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DNR 관련 정보제공 및 교육의 시행과 지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DNR에 관한 객관적이면서도 윤리적인 지침이 필요하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의 대상의 표본수를 늘리고 보호자와 의사 뿐 아니라 환자 및 간호사 등 다양한 군들을 포함한 후속연구가 진행된다면 보다 더 DNR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목차

제3절 심폐소생술 금지(DNR)에 대한 인식과 태도 및 결정요인 12
1. 심폐소생술 금지(DNR)에 대한 인식 및 태도 12
2. 심폐소생술 금지(DNR)의 결정 요인들 13
1) 의사 요인 14
2) 보호자 요인 15
3) 법·제도적 요인 16
4) 사회·문화적 요인 17
5) DNR 결정 인식도 19
3. 선행연구의 시사점 21
제3장 연구모형과 연구설계 22
제1절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22
1. 연구모형 22
2. 가설 설정 23
제2절 조사설계 24
1. 연구모형 개념변수에 대한 조작적 정의 및 측정 24
1) 심폐소생술금지(DNR) 결정에 대한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의사요인 24
2) 심폐소생술금지(DNR) 결정에 대한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자의 보호자 요 인 25
3) 심폐소생술금지(DNR) 결정에 대한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법제도적 요인 25
4) 심폐소생술금지(DNR) 결정에 대한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 인 25
5) 심폐소생술금지(DNR) 결정에 대한 인식도 26
2. 연구 설문 대상 26
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26
제4장 가설검증 및 논의 28
제1절 인구통계학적 특성 29
1. 의사집단 응답자 특성 29
2. 환자의 보호자집단 응답자 특성 30
제2절 기술통계 및 집단 간 평균차이 분석 32
1. 기술통계 분석 32
1) 의사 요인 32
2) 환자의 보호자 요인 33
3) 법·제도적 요인 34
4) 사회·문화적 요인 35
5) DNR(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인식도 35
2. 집단 간 평균차이 분석 36
1) 의사, 환자의 보호자 집단 간 평균비교 36
2) DNR(심폐소생술금지) 경험 여부에 따른 집단 간 평균비교 38
제3절 측정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토 42
제4절 가설 검증: 회귀분석 결과 43
제5장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45
제1절 연구의 요약 43
제2절 정책적 시사점 46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49
참 고 문 헌 50
<<부록 1: 설문지>> 56
<<부록 2: 관련 법률>> 66
ABSTRACT 8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1
732 20 죽음과 죽어감 생전유언, 의료지시서,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입법의 사회적 함의 / 이인영 2008  64667
73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추정적 의사 / 김필수 2012  60976
730 20 죽음과 죽어감 영화 「씨 인사이드(2004. 스페인)」와 「아무르(2012.프랑스, 오스트리아, 독일 합작)」 그리고 「행복한 엠마, 행복한 돼지 그리고 남자(2006.독일)」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안락사 및 존엄사의 역사 및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 전경화 2016  18684
729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요인 / 박성준 2019  15995
728 20 죽음과 죽어감 마약성 진통제 사용과 부신기능부전 / 정지훈, 최윤선, 김정은, 김이연 2014  14316
727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생명연장치료 중단에 관한 법 윤리적 고찰 : 법원의 존엄사 판결에 대한 비판적 성찰 / 김학태 2009  11059
72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윤리적 고찰 : 인간은 죽음을 선택할 권리가 있는가? / 박은숙 2011  7583
72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기준과 절차 : 대법원 2009. 5. 21. 선고 2009다17417 판결이 가지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 이석배 2009  7164
724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에 있어서 존엄사의 법제화와 향후과제 / 주호노 2013  6645
723 20 죽음과 죽어감 신생아의 안락사에 관한 연구 / 주호노 2008  6082
722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좋은 죽음의 문제 / 김미혜 2019  5693
72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임봉자 2008  5255
720 20 죽음과 죽어감 보호의무자에 의한 정신질환자 강제입원·치료제도의 위헌성 -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관련 판례의 응용을 중심으로 / 정태호 2016  3773
719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배아 복제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진교훈 2009  3695
718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 금지(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갈등 / 김현아 2011  3670
71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윤리적 문제 : 의사조력자살을 중심으로 / 이종원 2007  3187
71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결정에 있어 사회복지사가 고려해야 할 윤리적 원칙들에 대한 연구 / 한민수 2003  3037
715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거부할 권리 / 허대석 2008  2856
714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헌법적 연구 : 적극적 안락사를 중심으로 / 최다혜 2015  2672
713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 아동청소년문학에 나타난 죽음개념의 변화 / 김경란 2015  2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