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박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 간호 간호학 2016. 8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170834 

유방암 장기 생존자의 삶 = The Life of Breast Cancer Survivors in Long Term Survival Period


http://www.riss.kr/link?id=T14170834



저자                         

백민자                                       

  • 형태사항

    71 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 최경숙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 간호 간호학 2016. 8

  •                                

  • 발행국

    서울

  •                                

  • 언어

    한국어

  •                                 

  • 출판년                                
  • 2016

  • 주제어

    유방암. 장기 생존자, 일상생활 기술지


  • 초록 (Abstract)

    • 한국 유방암은 폐경 전 여성 유방암 환자의 비율이 서구에 비해서 높으며 5년 생존율이 증가함에 따라 비교적 젊은 나이에 유방암을 진단받고 오랜 기간 동안 암 생존자로 살아가고 있다. 유...
  • 한국 유방암은 폐경 전 여성 유방암 환자의 비율이 서구에 비해서 높으며 5년 생존율이 증가함에 따라 비교적 젊은 나이에 유방암을 진단받고 오랜 기간 동안 암 생존자로 살아가고 있다. 유방암 치료 종료 후 여러 가지 신체적, 심리적 증상으로 인해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으며 장기 암 생존 시기로 전환해 가는 과정에서 암 생존자는 또 하나의 새로운 적응과 회복이 필요함을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또 다른 불안과 불확실성, 슬픔을 경험하게 된다. 암 생존의 과정은 진단을 시작으로 생존 또는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지속적이고 역동적으로 일어나는 삶의 연속적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유방암 장기 생존자들에게 총체적 관점에서 개별적인 간호 중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의학적 관점의 완치 판정 이면에 존재하는 그들만의 경험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 장기 생존자 각자가 처한 상황적 맥락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 일상생활에서의 자기관리와 대처, 어려움을 그들의 언어로 생생하게 기술하고 그려내어 향후 유방암 장기 생존자의 간호제공 및 유방암 장기 생존자 관리 프로그램의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및 연구 문제 3
    • Ⅱ. 문헌고찰 4
    • 1. 유방암 생존자의 경험 4
    • 1) 유방암 생존자의 생존 단계별 삶의 질 4
    • 2) 유방암 생존자의 질병경험 6
    • 2. 일상생활 기술지(ethnography) 9
    • Ⅲ. 연구 방법 12
    • 1. 연구 설계 12
    • 2. 연구 질문 12
    • 3. 연구 장소 13
    • 4. 연구 참여자 13
    • 5. 자료 수집 15
    • 1) 연구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15
    • 2)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15
    • 6. 자료 분석 17
    • 7. 질 평가를 위한 제고 18
    • Ⅳ. 연구결과 19
    • 1. 유방암 장기 생존자의 삶 19
    • 1) 자기 성찰함 20
    • 2) 심리적 성장을 함 23
    • 3) 암염려 25
    • 4) 가족 안에서 길 찾기 28
    • 5) 삶의 범위를 조정함 31
    • 6) 후유증을 안고 살아감 35
    • Ⅴ. 논 의 40
    • 1. 연구의 40
    • 1) 심리적 중재를 위한 영적간호의 필요성 40
    • 2) 가족지지를 위한 간호중재 42
    • 3) 장기 유방암 생존자 관리를 위한 사회연계망 구축 44
    • 2. 연구의 의의 46
    • 1) 간호실무 46
    • 2) 간호 연구측면 47
    • 3) 간호교육측면 47
    • Ⅵ. 결론 및 제언 48
    • 참고문헌 50
    • 부 록 59
    • 국문초록 66
    • Abstract 69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3
    168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이식연구를 위한 단일법 제정에 대한 검토 / 양지예 2010  294
    167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설득기법의 적용 / 차동필 2011  290
    166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법상 장기기증자 지원 제도에 관한 고찰 / 김현철 2016  290
    16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수혜자와 배우자에 대한 사례연구 / 이혜진 2001  286
    164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의 심장이식 현황 / 박국양 1999  285
    163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조직법 개정의 의의와 법적 쟁점/김현철, 윤이레 2015  284
    162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거부반응과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서의 CAR Treg 세포치료제의 가능성: Treg 세포치료제 임상시험 현황과 CAR T 세포치료제 허가 정보를 바탕으로 / 강고은 외 2017  281
    161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의 인체기증 활성화방안 : 장기, 각막, 인체조직을 중심으로 / 정봉실 2009  281
    160 19 장기 조직 이식 가족간 신장이식에서 이식 전에 존재하는 미세키메라 현상이 이식 장기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 주신영 2010  280
    15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업무에 있어서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도 2007  274
    158 19 장기 조직 이식 종교와 종교성이 뇌사 시 장기기증의사에 미치는 영향/조광덕 2017  273
    157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과 일본의 혈액사업 비교 / 김명희 1999  265
    156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및 이식의 활성화 방안 / 김양이 ,양승훈 2007  265
    155 19 장기 조직 이식 의료용 생체재료 및 응용 : 경조직 대체물질 개발 및 응용 / 이우걸 2015  262
    154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희망자의 뇌사, 장기기증 및 이식에 대한 지식과 태도 / 서영심 2008  262
    153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 / 김상희 2006  261
    152 19 장기 조직 이식 확장범주 신장이식의 국내 현황과 한국형 기준의 필요성 / 양신석 외 2017  261
    151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기증자 신장 분배제도의 현황 / 김미나 외 2017  261
    15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정착 및 활성화 / 주종우 2012  260
    149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신장이식에서 이식 직전 뇌사자의 신기능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 최승혁 2017  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