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비교사법 Vol.22 No.1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535850 

GMO의 비의도적 유출과 개발기업의 책임 = GMOs’ Unintentional Release and Biotechnology Corporate"s Liability - In re Genetically Modified Rice Litigation


  • 제어번호 : 100535850
  • 저자명 : 김은진(KIM, Eun-Jin)
  • 학술지명 : 比較私法
  • 권호사항 : Vol.22 No.1 [2015]
  • 발행처 : 한국비교사법학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503-526(24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5년
  • KDC : 360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유전자조작벼 소송 ,책임 및 복구 ,유전적 오염 ,경제적 손실 원칙 ,유전자변형생물체와의 공존 ,실질적 동등성 ,환경방출 ,Genetically Modified Rice Litigation ,Liability and Redress ,Genetic Contamination ,Economic Loss Doctrine ,GMO &amp ,Non-GMO Coexistence ,Substantial Equivalence ,Environment Release



초록 (Abstract)

GM작물 재배의 역사가 20년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그 안전성에 관한 논란은 지속되고 있다. 그로 인해 생물다양성협약이 채택될 당시 생물다양성을 위협할 지도 모른다는 우려로 인하여 바이오안전성의정서가 채택,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GM작물 재배로 인해 야기될 위험에 대한 안전관리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고 사후관리에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책임과 복구에 대해서는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하다가 2010년에야 비로소 채택되어 시행예정에 있다. 이 추가의정서는 그 중요도에도 불구하고 핵심적인 내용을 국내법에 위임함으로써 통일적인 책임 및 복구 제도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한계를 가진다.
GM작물 최대 재배국인 미국은 재배 이후 끊임없이 불법적 유출의 논란이 있었으나 실질적 동등성의 원칙에 따라 별도의 규제를 하지 않는 원칙을 고수해 왔다. 그러나 2006년 GM 벼의 비의도적 환경방출로 인한 사건은 그동안의 원칙에 일정 정도 수정을 가할 수밖에 없도록 하였다. 불법적 유출에 따른 개발자의 책임을 명확히 하게 된 것이다.
추가의정서의 채택과 미국에서의 GM벼의 판례는 각국에서 GM작물로 인해 야기될 책임문제에 대한 기준을 법제화하는 데 큰 의의를 지니는 것이다. 왜냐하면 국내법에의 위임으로 인해 야기될지도 모르는 각국 국내법의 상이함으로 인한 마찰의 가능성을 미국의 판례를 통해 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미국이 의정서 상의 당사국이 아니기 때문에 의정서 상의 책임과 의무를 강제하기 힘들었다는 점, 최대 재배국이 인정하는 책임법제가 선례로서 의의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 의해 의정서의 실효성이 한층 더 높아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추가의정서와 미국의 판례에 비추어 GM작물에 대한 적절한 책임법제를 신속히 마련할 필요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Ⅱ. 미국의 GMO벼 사례

    Ⅲ. 환경 방출과 추가의정서 상의 책임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3
    249 15 유전학 유전자교정과 인간유전체 연구의 개념적 구별과 최근동향 / 김형래 2016  36
    248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 연구 관련 국제 특허성 연구(II) / 김한나 2016  37
    247 15 유전학 가축질병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유전자기술의 활용에 관한 법적 쟁점 / 왕승혜 2016  48
    246 15 유전학 생명윤리법상 유전자검사의 허용기준에 관한 법적 논의 / 황만성 2016  99
    245 15 유전학 그룹 구조를 갖는 고차원 유전체 자료 분석을 위한네트워크 기반의 규제화 방법 / 김기풍 외 2016  398
    244 15 유전학 개인별 맞춤 약물유전체 : 생물학적 기능 요소와 개인유전체 변이를 기반으로한 약물학적 접근 / 이수연 2016  209
    243 15 유전학 독일 유전자검사법의 규율 구조 이해 - 의료 목적 유전자검사의 문제를 중심으로 - / 김나경 2016  97
    242 15 유전학 유전정보 국외이전에 따른 국내 헬스케어산업보안 법제의 취약성 고찰 / 이보형 2016  66
    241 15 유전학 뇌전증의 유전적 진단 / 이윤정 안주희 권순학 황수경 2016  200
    240 15 유전학 생명윤리법 상 인체유래물 연구를 위한 심의 · 동의제도의 법적 검토 / 이한주 2015  241
    239 15 유전학 공공 유전체 데이터베이스 확립 과정에 나타난 정보 공유와 사유화 사이의 긴장 / 조은희 2015  998
    238 15 유전학 공공정보의 이차 활용을 위한 법제도에 관한 연구 : 생체 의료정보의 이차 활용을 중심으로/ 박미정 2015  321
    237 15 유전학 생명공학 분야에서의 특허보호 대상에 관한 연구 / 손민 2015  151
    236 15 유전학 인체유래물과 유전정보에 대한 권리 및 분배 기준 / 유호종, 김소윤 2015  201
    » 15 유전학 GMO의 비의도적 유출과 개발기업의 책임 / 김은진 2015  283
    234 15 유전학 위험소통을 통한 신뢰가 위험인식에 미치는 효과 : 유전자조작기술, 나노기술, 체세포복제기술에 대한 전문가그룹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김찬원, 송해룡, 김원제 2015  353
    233 15 유전학 인간 배아 유전체 편집에 관한 윤리적 쟁점/전방욱 2015  273
    232 15 유전학 장애 이해의 해석학적 구조화와 법/김나경 2015  208
    231 15 유전학 Structured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a Research Field: Hormesis in Biology, Toxicology, and Environmental Regulatory Science 2015  115
    230 15 유전학 유전자치료연구에 대한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규제 고찰/박수헌 2015  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