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32645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 기술의 국외 규제 동향 및 시사점 
= International Regulatory Trends on Genome Editing Research Using Human Embryo and Its Implication

  • 저자[authors] 이수빈(Lee, Subin),김한나(Kim, Hannah)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의료법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6No.2[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의료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71-9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유전자 치료,유전자 편집,CRISPR-Cas9,인간 배아,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Gene therapy,Genome editing,CRISPR-Cas9,Human Embryo,Bioethics and Safety Act
http://www.riss.kr/link?id=A106032645

국문 초록[abstracts]
이 논문의 목적은 인간 배아를 이용한 유전자 편집 기술과 관련된 국제 주요 연구 및 논의와 국외규제 동향을 살펴본 후 그 연구 결과를 고찰해 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 국가 중에서, 독일,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영국, 인도, 일본, 중국, 캐나다, 프랑스에서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 연구와 관련한 명확한 법률 또는 가이드라인이 존재한다. 이들 중 제한된 연구 목적 하에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을 허용하고 있는 국가는 싱가포르, 영국, 인도, 일본, 중국이고, 이들 국가들은 임상 연구 목적의 유전자 편집을 금지한다는 내용을 함께 명시하고 있다. 특히, 싱가포르, 영국, 일본은 유전자가 편집된 배아를 여성의 자궁 내에 이식하는 행위를 금지한다. 한편 독일, 캐나다, 프랑스는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 연구를 금지하고, 미국은 민간 기관의 승인을 통하여 연구를 허용한다. 반면에 우리나라는 아직까지도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서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 연구를 어떠한 방향으로든 명시적으로 규제하고 있지 않는 상황이다.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 기술은 도덕적, 윤리적, 과학적 측면에서 여러 가지 논란이 일고 있지만, 인류의 오래된 문제인 질병 퇴치의 가능성이 기대되는 만큼 인류 전체의 보건 향상을 위하여 기술을 현명하게 활용하고 규제하기 위한 지속적인 논의와 연구가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plores the regulatory trend of genome editing research using human embryo in overseas countries. The research shows that Malaysia, Singapore, the United Kingdom, India, Japan, China, Canada, and France have legislation or guidelines related to genome editing research using human embryo. Among them, Singapore, the United Kingdom, India, Japan, and China which allow genome editing research using human embryo for limited research purposes, also prohibit genome editing for clinical research purposes. In particular, Singapore, the United Kingdom, and Japan prohibit intrauterine implantation of embryos using genome editing techniques. Meanwhile, Germany, Canada, and France ban genome editing research using human embryo. and the United States allows research through the approval of private institutions. On the other hand, South Korea still does not explicitly regulate genome editing research using human embryo in any direction under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Genome editing research using human embryo is controversial in terms of morality, ethics and science, but we expect the possibility of eradicating diseases, a long-standing human problem, and we need ongoing discussions and research to use and regulate them wisely.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I. 서론  II. 유전자 편집 관련 연구‧논의  III. 국가별 인간 배아 대상 유전자 편집 연구의 규제  Ⅳ. 한국에의 시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1
369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메타모포시스 / 김광연 2019  1113
368 15 유전학 유전자편집기술에 관한 미국의 입법동향과 시사점 / 장인호 2019  1034
367 15 유전학 생명과학 공통성 발견 과제 수행에서 대상의 수가 공통성 지식 생성과 뇌 활성에 미치는 영향 / 김용성, 정진수 2019  978
366 15 유전학 유전자편집 작물의 개발 현황 및 농업생명공학기술의 국가 경쟁력 강화/ 이신우 2018  231
365 15 유전학 "과학의 승리"는 어떻게 선언될 수 있는가? 친자 확인을 위한 혈액형 검사가 법원으로 들어갔던 과정 / 김효민 2019  105
364 15 유전학 유전체 편집에 대한 윤리적 판단의 기초 연구 / 최진일 2019  105
363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윤리·법·사회 문제 해결방안 / 이수빈 2019  3913
» 15 유전학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 기술의 국외 규제 동향 및 시사점 / 이수빈, 김한나 2018  726
361 15 유전학 유전자 조작과 생명윤리<세상의 생명을 위하여> / 이향만 2018  352
360 15 유전학 대규모 유전체연구에서의 프라이버시 이슈 / 조은희 2018  106
359 15 유전학 DTC(Direct-to-Consumer) 유전자검사의 정당성 구조와 법정책 / 김나경 2018  315
358 15 유전학 로크의 사유재산권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통한 유전자특허 반대론 / 이재명 2018  207
357 15 유전학 소비자 직접의뢰(Direct-to-Consumer, DTC) 유전자검사 서비스의 현황과 정책 방향/ 황서현, 김경철 2018  587
356 15 유전학 유전체 자료분석을 위한 생존분석방법에 관한 고찰 / 이승연 2018  159
355 15 유전학 기계학습을 통하여 암을 분류하는 유전자 집단 확인 / 임수정 2019  238
354 15 유전학 한국과 프랑스 생명과학교사들이 가지는 사람의 사회적 행동에 대한 유전자 결정론적 인식의 차이/서혜애 외 2018  116
353 15 유전학 GMO 연구 개발 상업화 동향/김태산 2018  201
352 15 유전학 바이오경제 시대에 대응한 생명공학 육성 법제 정비방안 / 윤종민 2018  97
351 15 유전학 뇌전증의 유전적 진단 / 이윤정 안주희 권순학 황수경 2016  200
350 15 유전학 생명의료윤리 교육방법으로서 결의론에 관한 연구/박인숙 2018  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