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749608 
해외 전문 인력을 활용한 한국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의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 구축 방안

                       

  • 저자명

    김형주, 김석현, 김석관, 이정협, 박소현                        

  • 학술지명

    정책연구

  • 권호사항

    Vol.- No.- [2010]                                                          

  • 발행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215(215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0년                                                                      

  • 초록 (Abstract)
    • 혁신 창출의 새로운 돌파구로서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 지식기반 경제에서 혁신 창출을 위한 지식이 중요해지고 새로운 지식의 공급을 위하여 글로벌 네트워크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추세임...
  • 혁신 창출의 새로운 돌파구로서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 지식기반 경제에서 혁신 창출을 위한 지식이 중요해지고 새로운 지식의 공급을 위하여 글로벌 네트워크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추세임 - 특히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의 경우 세계적인 글로벌 분업 구조의 형성으로 연구개발 기능이 확산됨에 따라 각국에서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에 전략적인 연계가 중요해짐 - 한편 최근 국제이주자들이 모국과 거주국간 지식 네트워크의 형성을 촉진하고 이로 인해 모국의 산업발전과 경제성장에 기여하는 두뇌순환(brain circulation) 모델이 이론적 논의와 정책 측면에서 주목을 받고 있음 - 국내에서는 고급인력, 특히 고급과학기술인력의 두뇌유출(brain drain)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으며 이에 유출을 방지하고 귀국을 장려하는 방안에 정책적 관심이 모아지고 있으나, 단순히 귀국을 장려하는 방안에서 벗어나 타이완이나 인도와 같이 해외 인력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두뇌 순환 방안의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음 - 본 보고서에서는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의 구축을 위한 두뇌순환 전략을 국내 거점 구축(In), 해외 거점 구축(Out), 교량 확보(Bridge)의 세 가지 측면에서 파악하고, 이를 한국 바이오 및 제약 분야에 적용하여 그 필요성과 형성 가능성 및 한계를 진단하고 정책점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함 한국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의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의 필요성- 한국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은 협소한 국내 시장과 연구개발 자원의 한계로 선진국과 격차는 계속 유지되고 있으며 중국, 인도 등 신흥국 제약기업들이 세계 시장에서 약진하고 있는데 비해 뒤처지고 있음. 이에 따라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의 구축이 시급한 실정임 ·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의 형성 가능성 및 한계- 해외 선진 시스템의 국내 유치 및 해외 제약회사와의 기술제휴와 투자 유치가 일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시작 단계이며 그 효과는 제한적임- 국내 기업이나 연구기관이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개별적으로 해외에 진출한 시도가 있었으나 아직은 소수이며 해외 거점의 기능 역시 제한적임- 최근 해외에서 바이오 및 제약 분야 전문가 협회들이 자생적으로 형성되고 일부 한인 전문가들이 귀국하여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 구축에 기여하고 있으나 중국이나 인도에 비해 해외 인력풀이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며 귀국한 전문가들도 개별적인 유치에 그침- 기업과 공공부문에서 제한적으로 전개되는 지식 네트워크 구축은 속도와 임계치 형성에서 한계가 분명하므로 공공부문의 선도가 필요함 정책 과제· 정부 주도의 집중적인 국내 거점 구축(In) 전략- 해외 유수의 연구소를 유치- 공공부문의 신약개발지원조직의 구성원을 글로벌 인재에서 선정- 선진국의 벤처자금과 공동으로 바이오벤처 투자하는 펀드의 조성 · 해외 거점 구축(Out) 전략- 연구와 컨설팅 기능의 선진국 거점(outpost) 구축 · 전면적이고 체계적인 교량(Bridge) 확보 전략- 한국의 벤처기업과 선진국의 바이오 및 제약 회사가 공동 투자하는 연구개발 사업- 자생적인 해외 한인 협회와의 체계적인 네트워킹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1
329 9 보건의료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를 활용한 치매에 대한 총체적 이해 / 신현정 2016  63
328 9 보건의료 주요 외국의 희귀의약품과 항암제 별도 기금 제도 고찰 및 시사점 / 정승연 2017  124
327 9 보건의료 상급종합병원과 희귀난치성질환 전문병원의 희귀의약품 사용현황 / 최경숙 2016  98
326 9 보건의료 「희귀질환관리법」상 의료비 지원 사업에 관한 소고 / 최호영 2016  79
325 9 보건의료 필수의약품에 대한 접근 보장과 국영제약사의 역할: 해외 사례가 한국에 주는 시사점 / 김선 2015  165
324 9 보건의료 감염질환 진료시 희귀의약품 사용의 현황과 개선할 점 / 김민정 2015  69
323 9 보건의료 희귀의약품의 공급 중단 실태와 정책과제 / 박실비아 2015  117
322 9 보건의료 한국, 호주, 캐나다, 영국의 항암제 및 희귀의약품의 접근성에 대한 고찰 / 배그린 2014  111
321 9 보건의료 희귀 의약품의 현재 상황과 발전 방향 / 손영배 2013  146
320 9 보건의료 희귀질환 연구와 치료제 개발 동향 / 이신행, 이장익 2013  239
319 9 보건의료 의약품 특허의 강제실시청구에 관한 심사기준 고찰 -인간기능이론을 중심으로 / 민창식 2012  50
318 9 보건의료 희귀의약품 보험약가결정: 문제점과 시사점 / 권혜영 2010  258
317 9 보건의료 국내 희귀의약품의 현황 및 과제 : 희귀질환에 대한 의약품 공급을 중심으로 / 김희은 2008  105
316 9 보건의료 바이오의약품의 허가과정 / 유무영 2006  134
» 9 보건의료 해외 전문 인력을 활용한 한국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의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 구축 방안 / 김형주 2010  53
314 9 보건의료 바이오,제약 특허의 발전과 Patent Troll (특허괴물)에 대한 대응방안 / 김태희 2014  120
313 9 보건의료 바이오 및 제약산업의 글로벌 지식네트워크 구축방안 / 김형주 2010  39
312 9 보건의료 한국 바이오의약 산업과 발전방향 / 김성천 2009  114
311 9 보건의료 한미 FTA 허가-특허연계제도의 바이오의약품 적용여부에 대한 고찰 / 김현철 2012  144
310 9 보건의료 바이오테크 기업의 기술영역 변화와 제약회사와의 전략적 제휴 / 윤우진 2010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