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翰林日本學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034351 

남성돌봄자 증가와 젠더질서의 역동 : 일본남성의 노인돌봄을 둘러싼 담론과 정책의 변화를 중심으로


= Increase of Male Caregivers and Changes of Gender Norms : Focused on Changes of Discourses and Policies about Male Elderly-Caregivers in Japan


  • 저자[authors] : 지은숙 ( Eun-sook Jee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 翰林日本學

  • 권호사항[Volume/Issue] : Vol.31No.-[2017]

  • 발행처[publisher]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 139-172

  • 언어[language] :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 2017

  • 주제어[descriptor] : 노인돌봄, 남성돌봄자, 개호보험제도, 고령자학대, 일과 돌봄의 양립, elderly care, male caregiver, Lont Term Care Insurance, elderly abuse, work care balance, 介護, 男性介護者, 介護保險制度, 高齡者虐待, 介護離職


초록[abstracts]

[이 연구는 1990년대 이후 일본에서 노인돌봄을 하는 남성 가족돌봄자가 비약적으로 증가한 현상에 주목해 이를 젠더질서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노인돌봄과 관련한 문헌자료와 남성돌봄자들의 자조활동에 대한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정책, 담론, 그리고 당사자의 활동 등을 종합적으로 개괄하면서 남성돌봄을 둘러싼 전체적인 흐름을 짚어 본다.  주요하게 다음 사항에 중점을 두고 접근한다. 첫째는 노인을 돌보는 남성이 증가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는 일이다. 이것은 장기불황과 급속한 고령화가 겹치면서 저성장사회로 진입한 일본사회가 남성들의 삶에 초래한 변화를 살펴보는 작업과 궤를 같이 한다. 둘째는 남성돌봄을 둘러싼 담론과 정책을 시계열적으로 가늠해 보는 것이다. 1990년대 이후를 크게 ① 1990년대 중반~ 2005년 ② 2006년~ 2015년 ③ 2016년 이후로 구분한 후 각 시기의 남성돌봄을 둘러싼 특징적인 양상을 살펴볼 것이다. 시기 구분은 연구자가 검토한 가족돌봄의 주요 정책과 이에 대한 선행연구를 기준으로 삼았다. 셋째는 남성돌봄자의 증가가 강한 성별분업과 남성생계부양자를 중심으로 한 가부장적 젠더질서에 어떤 변화를 초래하고 있는지 그 함의를 검토해 보는 것이다. 이것은 특히 남성돌봄자 모임이 지니는 정치적 가능성을 따져보고, 남성돌봄자의 증가가 젠더평등에 새로운 지평을 여는 계기가 될 수 있을지 가늠해 보려는 작업이다.

This article aims at examining the phenomenon that male family caregivers who take care of the elderly have been remarkably increasing in Japan. Based on references related to elderly caregiving and field surveys on support group activities of male caregivers, I will look into overall progress of male caregiving while exploring relevant policies, discourses and their works comprehensively.  I’ll focus on following three matters. First, I’ll search for circumstances explaining why male elderly caregivers are increasing. It comes along with surveys on changes of their lives caused by Japanese society which is entering low-growth era because of long-term depression and ageing of population. Second, I’ll estimate discourses and policies about male caregivers in time serial manner. That is, after dividing recent years since 1990s into three phases: ① mid 1990s-2005, ② 2006-2015 ③ after 2016, I’ll look into distinctive aspects of male caregiving in each phase. Third, I’ll find out changes in strict gender division of labor and patriarchal gender norms ruled by male breadwinner, caused by the increase of male caregivers. This work is intended to examine whether increase of male caregivers can be an opportunity to open a new chapter of gender equality and what kind of political possibilities their support groups hav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89 5 과학 기술 사회 헬스케어 클라우드 동향과 정밀의료 병원정보시스템(P-HIS) 개발 사업 / 최종수 외 2018  259
28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 창작물의 저작권자는 누구인가? / 이상미 2016  258
287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과 공학윤리/김유신, 성경수 2004  257
286 5 과학 기술 사회 사전주의의 원칙은 비과학적인가? : 위험 분석과의 논쟁을 통해 본 사전주의 원칙의 ‘합리성’ / 하대청 2010  256
28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에 대한 전자인 제도 도입의 필요성과 실현방안에 관한 고찰 / 김진우 2019  256
284 5 과학 기술 사회 프랑스 보건·생명과학 연구 제도 혁신의 산물 / 성경모 2015  255
28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이후의 삶: 노동하지 않아도 행복한가? / 현남숙 2016  252
282 5 과학 기술 사회 [편집장 칼럼] 브레인 2016 3대 키워드 : AI(인공지능), 뇌파, 감정 관리/장래혁 2016  250
28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핀테크 / 김원걸 2016  250
280 5 과학 기술 사회 현행 성폭력범죄 대책의 문제점과 보완방향 / 김태명 2018  250
279 5 과학 기술 사회 유럽연합에서의 생명공학 발명의 법적 보호/강준모 2013  249
278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AI시대의 법적 과제와 전망/김승래 2018  244
277 5 과학 기술 사회 스파이크 존즈의 〈그녀〉에서의 인공지능과 몸, 감정, 윤리적 주체의 문제/ 박선화 2018  243
27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에 관한 비판적 스케치 / 이재현 2016  242
275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공학특허에 있어서 인권 문제 / 박성호 2008  241
274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과 교감하는 감성로봇 관련 기술 및 개발 동향 / 김평수 2016  238
273 5 과학 기술 사회 도덕적 인공 지능에 관한 비판적 고찰/추병완 2017  238
272 5 과학 기술 사회 IoT 중심의 사회복지시설 정보화 현안과 정책 과제 / 이연희 외 2016  238
27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추론방식을 활용한 법적 논증 / 유승익 2016  237
270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 기반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인공지능 / 홍광진 2015  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