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폴리머(Polymer)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18128 

Biological Safety Evaluation of Polyketones asBiomaterials

= 생체재료로서 적용을 위한 폴리케톤의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저자

Mi Hee Lee(이미희),Dae-Hyung Lee(이대형),Hyun-Sook Baek(백현숙),Byeong-Ju Kwon(권병주),Min-Ah Koo(구민아),Min Sung Kim(김민성),Gyeung Mi Seon(선경미),Jong-Chul Park(박종철)

학술지명

폴리머(Polymer)

권호사항

Vol.40No.2[2016]

발행처

한국고분자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25-231

언어

English

발행년도

2016

주제어

polyketones,biomaterials,biocompatibility,biological safety

초록

생체재료는 의료기기로서 임상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에 의한 생체적합성 확보가 필수적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폴리케톤 고분자의 생체재료로서 사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폴리케톤 고분자의 용출물로 고분자의 생체적합성을 판단하는 생물학적 안전성 초기실험인 세포독성, 유전독성, 피부자극성, 감작성, 전신독성 시험을 실행하였다. 모든 시험에서 폴리케톤 고분자는 독성을 유발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폴리케톤 고분자가 생체재료로서 생물학적 안전성이 있으며 비분해성 고분자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초록

Biomaterials for clinical applications such as medical and implant devices require evaluation to determine their biocompatibility.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initial biological safety of polyketone (PK) polymers, which have potential use as biomaterials. It presents results from cytotoxicity and genotoxicity assays and tests determining the levels of skin irritation, sensitization, and acute systemic toxicity caused by PK. The PK polymers showed no cytotoxicity, genotoxicity, allergenicity, irritancy, and systemic toxic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K polymers are potentially biological safe and could be used to replace non-degradable polymeric biomaterials.

목차

초록
Abstract
Introduction
Experimental
Results
Discussion and Conclusion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088 20 죽음과 죽어감 뇌사의 법적 측면 / 주호노 2019  139
3087 4 보건의료 철학 한국 의사들의 의학 전문직업성과 소명에 관한 평생교육에 관한 연구 / 최숙희 2012  140
3086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에 관한 윤리 교육 연구 / 정은경 2004  140
3085 9 보건의료 환자중심의 가치실현을 위한 전략요인과 과정에 관한 실증적 연구 - 팀제 도입을 중심으로 / 유붕식, 유병남 2007  140
3084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의 형사책임 ―논의방향의 설정에 관한 몇 가지 발전적 제언 / 안성조 2017  140
308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위기 발생 시 위기 요인 및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공중의 의료기관 신뢰도, 이용의도, 사태 심각성 인식정도에 미치는 영향 / 조윤진 2018  140
3082 4 보건의료 철학 비판적 의료인문학과 거꾸로 의학교육 / 강신익 2018  140
3081 5 과학 기술 사회 국내 의료 3D프린팅 산업의 활성화 전략 연구(산업/기술/시장 분석을 기반으로)/김규영 2017  140
3080 8 환자 의사 관계 안과 의료소송 판결문 분석을 통한 원인파악과 재발방지에 대한 연구 / 류영주 2017  140
3079 2 생명윤리 과학기술, 생명윤리, 생명문화의 연계성 고찰 / 황승희 2012  140
307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상용화에 따른 성경적 관점의 윤리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 이완형 2018  140
3077 2 생명윤리 생명의료인권협약에 비추어 본 ‘모를 권리’ 문제 / 최정호 2018  140
3076 9 보건의료 의학 기사를 중심으로 한 국내 뉴스 Linked Open Data 구축 / 장종선 2016  141
3075 18 인체실험 국내 의학 잡지에 게재된 무작위대조임상시험 논문들의 보고의 질 / 황예원 2008  141
» 9 보건의료 생체재료로서 적용을 위한 폴리케톤의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 이미희 외 2016  141
307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말기 AIDS 환자들에게 자원봉사를 제공할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윤석준 외 2017  141
3072 1 윤리학 실질적 자기결정권 실현수단인 후견계약제도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 박득배 2017  141
3071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설명의무에 관한 연구 / 심소의 2017  141
3070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인공지능 기반 국방 의료정보 빅데이터 분석체계 기술 개발/심우호 2018  141
3069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법·정책적 개선방안 연구 / 박미정 2018  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