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의료기기산업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77678 


한국형 원격의료 도입 및 활성화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저자조한나
발행사항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형태사항112 ; 26 cm
일반주기명지도교수: 이희상
학위논문사항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의료기기산업학과  2017. 8
발행국서울
언어한국어
출판년2017
주제어원격의료,빅데이터,의료정보,정보통신,개인정보보호
소장기관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211040)
초록본 연구에는 한국형 원격의료 도입 및 활성화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 방안이라는 주제를 통해  고령화 사회의 진전과 더불어 급증하는 보건의료 수요에 대하여 보다 정밀한 의료지원에 대하여 정확성 확보와 효율적 운영을 위한 원격의료분야의 의료정보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 하였다. 또한, 추진 중에 있는 원격의료분야에서 ICT 기술융합을 통해 폭발적으로 생성되는 의료정보에 대하여 빅데이터 기반의 의료서비스 활용사례 분석을 통해 아직도 그 접근이 부족한 국내의 원격의료 서비스 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한국형 원격의료정보의 안정적 정착과 효율적인 체계 구축을 위한 전략적 접근 방법을 제시하였다.  ;
 이와 더불어 원격의료와 관련된 개인정보보호 및 데이터 활용을 대한 선진 의료국가와 국내의 법제 및 제도의 차이분석을 통해 국내 원격진료와 데이터 활용에 있어, 법․제도적 문제점들을 고찰하였으며, 더 나아가 원격의료 분야에 다양한 이해관계자간 상이한 목적과 사용 환경 하에 올바른 의료정보의 활용과 효율적 운영을 위해 가장 근간인 원격의료 정보의 효과적인 운용을 선진 의료국가의 사례를 비교 분석함으로서 국내의 빅데이터 원격의료분야의 활용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
 세계의 사회(World Medical Association: WMA)는 원격의료를 “원거리로부터 원격통신체계를 통하여 전달된 임상자료, 기록, 기타 정보를 토대로 질병에 대한 중재, 진단, 치료를 결정하고 추천하는 의료행위”라고 정의하고 있다(WMA, 1999).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원격의료를  첫째, 중환자실 환자들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원격진료 사례, 둘째, 만성질환 환자들의 원격진료관련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례, 셋째, 기타 원격 의료서비스 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사례 세 부류로 구분하여 원격의료와 빅데이터와의 사례에 대해 제시 하였다. 
;
 
사례분석 결과 정확한 환자의 상태 파악을 위해서는 환자의 과거 진료기록 및 병력, 가족력 등의 개인 의료정보 관련 빅데이터를 통해 환자의 상태에 대한 정보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다양한 약에 대한 임상실험 결과 및 부작용과 의료조치에 대한 분석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의료행위를 지원하고, 시공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에 더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만성질환자와 원격진료관련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한국에서도 원격진료와 환자의 다양한 건강정보 데이터를 활용하여 성과를 본 케이스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서울대 간호학과를 중심으로 이뤄졌던 실험에서는 고혈압을 앓고 있는 저소득층 노인들을 대상으로 원격진료를 실시한 사례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만큼 이제는 원격진료가 어느 단계까지 와 있다는 사실이 입증된 것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최근 원격의료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인도에서도 빅데이터를 활용을 통한 원격의료가 이루어지고 있다. 주요 내용은 주요 이동수단인 버스와 3G/4G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환자 빅데이터의 수집 및 공유하고, 이를 통해 사고 발생 시 치료에 정보를 활용하는 분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 도출 되었다. ;
 이러한 여러 가지 본 사례연구 분석결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라이프 케어 서비스는 미래의 건강, 생활을 예측하고 전망하는 ‘예언가’역할 을 할 것이다. 또한 과거의 접근방법보다 훨씬 체계적이고 정확한 방법으로 미래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결과 원시적인 의료 접근 방법에서의 가장 최신 진료 방법인 원격진료와 의료계의 변화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이나 머지않아 해결 될 것으로 전망된다.
목차목차 ;
 
;
제 1 장 서 론 1 ;
 
;
  
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 ;
  
2. 연구방법 및 연구구성 5 ;
 
;
제 2 장 원격의료 시스템 이해와 고찰 7 ;
 
;
  
1. 원격의료 개요 및 체계 7 ;
     
가. 원격의료 개념 및 특징 7 ;
     
나. 원격의료서비스 발전 과정 15 ;
  
2. 주요 국가별 원격의료 발전 배경 및 현황 19 ;
     
가. 미국의 원격의료 발전배경 및 현황 19 ;
     
나. 일본의 원격의료의 발전배경 및 현황 23 ;
     
다. 국내현황 28 ;
  
3. 원격의료 법․제도 관련 이슈 31 ;
 
;
제 3 장 의료정보와 빅데이터 38 ;
 
;
  
1. 빅데이터와 원격의료 38 ;
     
가. 빅데이터 개념 38 ;
     
나. 빅데이터 특성 42 ;
     
다. 빅데이터 핵심기술 46 ;
  
2. 빅데이터와 원격의료 53 ;
     
가. 빅데이터와 원격의료의 연계성 53 ;
     
나. 의료정보 보호와 빅데이터 활용 59 ;
  
3. 주요활용 사례 분석 61 ;
     
가. 중환자실 환자들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원격진료 사례 61 ;
     
나. 만성질환 환자들의 원격진료관련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례 66 ;
     
다. 기타 원격 의료서비스 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사례 73 ;
 
;
제 4 장 종합토의 및 빅데이터 활용 전략 76 ;
 
;
  
1. 종합토의 76 ;
  
2. 원격의료 관점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전략 제안 78 ;
     
가. 만성질환 빅데이터 분석과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 전략 78 ;
     
나. 중환자실의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한 빅데이터 분석과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 전략 83 ;
     
다. 법제 분석을 통한 환자 의료정보 빅데이터 활용 보호 법안 제언 85 ;
 
;
제 5 장 결 론 91 ;
 
;
참고문헌 9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428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피험자의 만족도와 영향요인 / 백승식 2010  116
3427 15 유전학 한국과 프랑스 생명과학교사들이 가지는 사람의 사회적 행동에 대한 유전자 결정론적 인식의 차이/서혜애 외 2018  116
3426 5 과학 기술 사회 바이오정보 활용 서비스 현황 및 GDPR 사례를 통한 바이오정보보호 법제 개선방안 / 정부금 외 2018  116
3425 18 인체실험 인체유래물의 이용과 형사법적 규제 / 최민영 2018  116
3424 8 환자 의사 관계 의과대학생을 위한 환자안전 교육의 국제적 동향 및 국내 현황 / 노혜린 2019  116
3423 24 기타 PubMed를 중심으로 비교한 국내 의학데이터베이스의 실태조사 및 분석 연구 / 김현지, 남서진 2018  116
3422 1 윤리학 인공지능은 법의 제국의 왕자가 될 수 있는가 / 서치원 2018  116
3421 1 윤리학 의료에 있어서의 윤리와 법 / 주호노, 배현아 2009  117
342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및 인체조직 구득에 관한 공적 체계의 확립 / 김현철 2014  117
3419 15 유전학 인체 시료 및 유전자은행의 윤리ㆍ사회적 고찰 / 최은경 2008  117
3418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광고 사전심의제도에 관한 법적 고찰 / 권용진, 임영덕 2011  117
3417 9 보건의료 헬스커뮤니케이션 연구 동향 : 커뮤니케이션 분야와 공중보건·의약학 분야의 비교 / 이선정, 이수범 2016  117
3416 9 보건의료 u-Health 환경을 위한 의료 검사 데이터 통합 전송 및 웹 서비스 구축 / 신현덕 2011  117
3415 1 윤리학 독일개인정보보호법 / 박경신 2016  117
3414 9 보건의료 한국 바이오의약 산업과 발전방향 / 김성천 2009  117
3413 9 보건의료 희귀의약품의 공급 중단 실태와 정책과제 / 박실비아 2015  117
3412 9 보건의료 지역별 특성, 질병과 의료비에 관한 연구 2016  117
3411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이미지 데이터의 비식별화 방안에 관한 연구 2016  117
3410 9 보건의료 외국의 사례를 통한 국내 아동 성범죄자 약물치료의 실효적 운영 방향 / 양현호 2018  117
3409 1 윤리학 건강보험 재정의 현황과 정책과제 / 이은경 2018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