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한성대학교 대학원 : 행정학과 정책학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382240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국공립병원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actors of Selecting National and Public Hospitals of Medical Service Users


저자길미령
발행사항서울 :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7
형태사항x, 211 p. : 삽화, 도표 ; 26 cm.
일반주기명부록: 설문지 1. 전국 국공립병원 현황, 2. 한국의료패널 설문지,참고문헌: p. 175-184,서지적 각주 수록
학위논문사항학위논문(박사)-- 한성대학교 대학원 : 행정학과 정책학전공 2017. 2
KDC517.6
발행국서울
언어한국어
출판년2017
주제어의료서비스,국공립병원,공공의료,Andersen모형,의료이용
소장기관한성대학교 도서관 (211061)
초록우리나라는 사회보험 형태의 의료체계로 대부분의 국민은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방식으로 의료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구조이다. 그 결과 의료이용의 형평성은 어느 정도 보장되고 있으나, 의료기관이 수도권에 집중되는 쏠림 현상이 심화되면서 의료기관 유형별, 지역별 의료이용의 차이가 증가하고 있으며, 필수 안전망인 응급서비스 조차도 격차가 존재하고 있다. 또한 의료의 대부분을 민간이 차지하고 있는 의료 현실에서 저소득 취약계층을 위한 의료지원, 메르스와 같은 감염병 예방 대응 등에 취약성의 한계를 가진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최소 안전망인 국공립병원의 공공성 역할은 그 중요성이 더해간다. 
  이에 본 연구의 질문은 의료서비스에 있어 국공립병원의 기본 설립 목적인 의료의 공공성은 충족되고 있는가이다. 이러한 물음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의료이용 및 국공립병원 선택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국공립병원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은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자료원은 한국의료패널 2008년부터 2013년까지 6년 동안의 자료 데이터 중 의료서비스를 이용한 건수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대상은 18세 이상자로 제한하였다. 최종 분석에 사용한 의료이용 건수는 응급 8,100건, 입원 14,365건, 외래 1,198,099건 이었다. 
  연구방법은 Andersen의 행동모형 이론에 적용하여 욕구요인, 가능성 요인, 개인적 요인으로 변수를 정하고, 국공립병원을 이용한 집단과 민간병원을 이용한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카이스퀘어 검증, t-검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국공립병원 선택요인에 관한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서비스 이용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공립병원 이용 비율은 응급서비스 9.68%, 입원서비스 5.23%, 외래서비스 5.57%로 매우 낮은 것으로 확인이 되었으며, 응급의료는 입원이나 외래서비스에 비해 국공립병원을 약 2배 정도 더 이용하였다.  
  둘째, 욕구요인인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와 장애가 있는 경우, 응급, 입원, 외래 모두 국공립병원 선택에 유의성이 확인되었으며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도 입원, 외래에서는 일관성 있게 유의미한 변수로 확인이 되었다. 그러나 응급서비스 이용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영향력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응급한 상황에서는 Anderson모형을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셋째, 가능성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경제활동 유무, 국민기초수급 여부, 등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변수가 국공립병원 선택에 유의미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즉, 건강보험 대상자에 비해 의료급여 대상자와 국가유공자, 병원유형에서 종합병원, 요양병원 이용자, 사고보다 질병으로 내원하는 경우, 진료비가 저렴하여 병원을 선택한 경우 국공립병원 선택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소득이 높을수록, 병원이나 의원 이용자, 교통수단에서 개인 차량이용자, 택시나 도보 이용자, 병원이 가까워서 선택한 경우, 민간보험 가입자, 진료비 수납금액이 많을수록, 교통시간이 길어질수록 국공립병원 선택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개인적 요인에서는 여성에 비해 남성인 경우, 배우자가 없는 경우에 비해 배우자가 있는 경우 국공립병원 선택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통제변수인 지역요인은 국공립병원 수가 많을수록 의료이용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립병원에 비해 국공립병원을 가장 높게 이용한 지역은 충남이었고 그와 반대로 울산은 가장 적게 선택하였다. 국공립병원 선택에 거주 지역 변수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공공의료 접근성이 취약한 계층을 위하여 지역 간 균형적인 공공의료기관 공급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연도별 변수를 검증한 결과, 우리나라 전체 의료서비스 이용률은 점점 증가하는 반면, 국공립병원 의료이용은 2008년에 비해 해가 갈수록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기존 Andersen의 행동모형 연구에서는 욕구요인이 가장 대표적이고 직접적인 요인이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욕구요인에 비해 가능성 요인이 국공립병원 선택에 일관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제적․지역적 요인이 국공립병원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사회경제적 약자들인 노인, 저소득층, 국가 유공자 및 의료급여자, 만성질환자, 장애가 있는 환자들은 사립병원보다는 국공립병원을 더 선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국공립병원은 설립 목적대로 공공성이 충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저소득 취약계층의 적정한 의료이용 관리를 위해 국공립의료의 일차의료 강화와 지역별 차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바람직한 정책방안의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목차I. 서  론 1 
 1.1 연구의 목적 1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5 
 
II. 이론적&제도적 고찰 7 
 2.1 의료서비스에 대한 고찰 7 
  2.1.1 의료서비스의 개념 7 
  2.1.2 의료서비스의 특징 8 
  2.1.3 의료서비스의 유형 16 
  2.1.4 의료기관 현황 33 
  2.1.5 의료전달체계 38 
 
 2.2 공공의료기관에 대한 제도적 고찰 40 
  2.2.1 공공의료의 필요성 42 
  2.2.2 국공립병원의 역사 46 
  2.2.3 국공립병원의 특성 54 
  2.2.4 국공립병원 현황 56 
 
 2.3. 의료서비스 선택요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61 
  2.3.1 의료서비스 이용 결정요인에 관한 선행연구 61 
  2.3.2 병원선택 동기에 대한 선행연구 66 
  2.3.3 앤더슨(Andersen)의 결정 모형 71 
 
Ⅲ. 연구모형 및 분석방법 75 
 3.1 연구모형 75 
 
 3.2 연구가설 설정 77 
  3.2.1 욕구요인과 국공립병원 선택요인의 관계 77 
  3.2.2 가능성 요인과 국공립병원 선택요인의 관계 78 
  3.2.3 개인적 요인과 국공립병원 선택요인의 관계 79 
 
 3.3 조사방법 80 
  3.3.1 자료원 80 
  3.3.2 변수의 측정 81 
 
IV. 분석결과  86 
 4.1 기술적 통계  86 
  4.1.1 응급서비스 이용 특성 86 
  4.1.2 입원서비스 이용 특성 94 
  4.1.3 외래서비스 이용 특성 103 
  4.1.4 소결 110 
  
 4.2 차이분석 115 
  4.2.1 응급서비스 115 
  4.2.2 입원서비스 123 
  4.2.3 외래서비스 132 
  4.2.4 소결 139 
 
 4.3 로지스틱 회귀분석  149 
  4.3.1 응급서비스 이용자의 국공립병원 선택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149 
  4.3.2 입원서비스 이용자의 국공립병원 선택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152 
  4.3.3 외래서비스 이용자의 국공립병원 선택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156 
  4.3.4 소결 161 
 
V. 결  론 166 
 
 5.1 요약 166 
 5.2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70 
 5.3 연구의 한계 173 
 
참고문헌 175 
    부록1 전국 국공립병원 현황 185 
    부록2한국의료패널 설문지 186 
 
ABSTRACT 20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668 20 죽음과 죽어감 생전유언, 의료지시서,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입법의 사회적 함의 / 이인영 2008  64752
466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추정적 의사 / 김필수 2012  61118
4666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 존중의 원칙 : 정치적 이념과 철학적 이념 / 최경석 2015  52561
4665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의 입법에 관한 연구 / 이정식 2000  52550
466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고통에 대한 의사의 정당한 태도 / 유호종 2004  46022
4663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원인과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김희경 2014  27929
4662 9 보건의료 의료기기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 도입방안 연구 / 이민정 외 2017  24785
466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세폐지의 타당성 검토 / 김찬섭 2016  23663
4660 9 보건의료 임종간호수행 요양병원간호사의 소진 구조 모형 / 김원순 2017  22495
4659 18 인체실험 일본의 「임상연구법」이 한국의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2018  22160
4658 12 낙태 미국에서의 낙태 규범과 범죄와의 상관관계 분석연구에 대한 고찰 / 이인영 2012  20336
4657 8 환자 의사 관계 독일의 환자사전의사표시법 / 이석배 2010  19874
4656 12 낙태 낙태죄의 현실적응력 : 의사의 면허와 관련하여 / 김혜경 2007  19060
4655 20 죽음과 죽어감 영화 「씨 인사이드(2004. 스페인)」와 「아무르(2012.프랑스, 오스트리아, 독일 합작)」 그리고 「행복한 엠마, 행복한 돼지 그리고 남자(2006.독일)」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안락사 및 존엄사의 역사 및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 전경화 2016  18717
4654 4 보건의료 철학 임상시험 코디네이터로 근무하는 간호사의 근무환경,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김슬기 2018  18489
465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신장 공여자의 공여 후 적응 경험 / 강다해솜 외 2016  18231
4652 9 보건의료 119 구급대 이용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 배현아, 유지영, 어은경, 정구영 2004  16896
4651 14 재생산 기술 미토콘드리아DNA 대체요법의 법적 고찰 -세칭 “세 부모 아이” 체외수정시술의 규제현황과 향후 임상적용의 규제방향- / 이민규 외 2017  16748
4650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요인 / 박성준 2019  16016
4649 22 동물복지 대체 시험법을 활용한 줄기세포 화장품의 자극성 평가 / 오한슬 외 2016  15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