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병원경영전공 병원경영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95815 


외래환자의 의료기관 내원경로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s of Outpatients' Admissive Channels on Their Satisfaction with the Medical Services


저자구자영
발행사항서울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7
형태사항vi, 51p. ; 26 cm
일반주기명지도교수: 김태현
학위논문사항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병원경영전공 병원경영전공 2017. 8
DDC362.1
발행국서울
언어한국어
출판년2017
주제어내원경로,환자 만족도,추천 의향,재이용 의향,outpatients' admissive channels,patients' satisfaction,intention of re-using the hospital,recommending it to others
소장기관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211046)
초록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outpatients' admissive channels to small and medium hospitals on their satisfaction with the medical services, their intention to recommend the hospital to others and reuse its servic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andomly sampled 10% of the outpatients who had been admitted to 'M' hospital in Seoul for the period from October, 2016 to March, 2017; 432 outpatien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18 statistical program for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ajority of the subjects were new patients and in their 40's, while being guided by an off-line advertisement. Those recommended by their relatives were mostly in their 20's, 60's or 70's. Those who were living in the vicinity of the hospital were mostly women, new patients and Gangseo-gu residents. 
  Secondly, in view of the departments of the hospital, most of the subjects who had been recommended by relatives were admitted to such departments as family medicine, maternity and subfertility, while most of the subjects who lived in the vicinity of the hospital were admitted to internal medicine, urology, pediatrics and surgery. 
  Thirdly, the channel whereby the subjects paid most (164,307 Won) was recommendation by the relatives, followed by that of other hospitals (159,284 Won), on/off-line advertisements (147,531 Won), and the geographic vicinity (135,767 Won) in their order. 
  Four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admissive channels on satisfaction with the medical services, intention of re-using the hospital and recommending the hospital to others, it was found that those who had been recommended by relatives scored highest (0.929), followed by those who had been recommended by other hospitals (0.884). It was also found that recommendation by relatives or other hospitals were significantly effective in view of intention of re-using the hospital and recommending the hospital to others. Hence, it is required of the small and medium hospitals to cooperate with other primary hospitals in their vicinities and make use of their vicinity networks. Furthermore, they are obliged to survey their patients' needs and thereby, improve their comprehensive medical services with enhanced marketing. 
  Lately, as the competition among hospitals has been fierce, many hospitals have been reinforcing their advertisement in an effort to highlight their differentiation from other medical institutions. However, this study could not confirm that on/off-line advertisements would have effects on patients' satisfaction, intention of re-using the hospital and recommending it to others. Nevertheless, many hospitals still invest much in advertisements and P. R., but we have yet to verify their effects on patients' satisfaction or their intention of re-using the hospital or recommending it to others.
초록본 연구는 중소 병원 외래환자의 내원경로가 고객 만족도, 추천 의향 및 재이용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서울시에 소재한 M병원의 2016년 10월부터 2017년 3월까지 내원한 외래 환자 중 10%를 무작위로 추출한 후 병원 마케팅 설문에 응한 환자 총 4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SPSS 18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교차분석, 선형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첫째, 내원경로별 환자 특성으로는 온, 오프라인 광고에서는 신환과 40대가 가장 많았다. 지인 추천의 경우 20대와 60대, 70대가 많았다. 인근 지역에서 방문한 경우는 여성이, 신환이면서, 강서구에 거주할 때 가장 많았다.  
  둘째, 내원경로의 진료과적 특성으로는 가정의학과, 산부인과, 난임은 지인 추천으로 방문한 사람이 가장 많았고, 내과, 비뇨기과, 소아과, 외과에서는 인근 지역이 가장 많았다. 
  셋째,  가장 많은 진료비를 지출하는 경로는 지인 추천으로 164,307원이었고 다음은 타 병원 추천 159,284원, 온, 오프라인 광고 147,531원, 인근 지역이 135,767원 순으로 지출하였다.   
  넷째, 내원경로가 만족도, 재이용 의향, 추천 의향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지인의 소개나 추천으로 방문한 지인 추천(0.929)과 타 병원의 권유나 추천으로 방문한 타 병원 추천(0.884)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이용 의향과 추천 의향에도 지인 추천과 타 병원 추천은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핵심으로 만족도나 추천 의향, 재이용 의향 등에 지인 추천과 타 병원 추천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소 병원에서도 주변 일차 병원들과 진료 협력을 맺는 등 주변 병원의 네트워크를 잘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환자 하나하나가 만족할 수 있도록 환자들의 요구 사항을 조사하여 그에 맞추어 병원의 종합적인 질 향상 및 마케팅 노력이 필요하다.  
 최근 병원들은 경쟁구도 등으로 타 의료기관과의 차별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광고를 강화하고 있지만 본 연구에선 온, 오프라인 광고를 통해 방문한 환자의 만족도, 재이용 의향, 추천 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병원들이 광고나 홍보에 비용을 쓰고 노력을 하고 있는데 실제로 그 효과가 환자의 만족도나, 추천 의향, 재이용 의향 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는지 정기적으로 확인해야 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288 9 보건의료 의약품의 안전정보 제공을 위한 국가의 역할 / 김재선 2013  65
4287 8 환자 의사 관계 우리나라 의료기기 부작용에 따른 피해구제시스템 도입방안 연구 / 최철호 2017  65
4286 2 생명윤리 임신한 여성의 결정과 자율성 : 생명윤리, 여성의 경험에 귀 기울이라 / 하정옥 2010  65
428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 ‘소피아’와 함께하는 시대 / 김도식 2018  65
4284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의료기관 사회적 책임활동 측정 도구개발 및 타당화 / 조경원 외 2018  65
428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의 출현으로 인한 법적 논란에 관한 영역별 쟁점의 고찰 / 김종호 2018  65
4282 18 인체실험 한의표준임상정보화의 과제와 전망 / 윤영흠 2018  65
4281 9 보건의료 의료정보 프로그램에서의 방송 허용범위에 관한 법적 고찰 / 정순형 2019  65
4280 15 유전학 게놈 정보의 기능분석 동향 / 신희섭 1996  66
4279 9 보건의료 바이오헬스산업과 의약품 접근권 -바이오의약품 자료보호에 대한 최근 논의 / 박대웅, 이주하 2016  66
4278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태도가 의료기관 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 종합병원의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 한수연 2009  66
427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의 동의의 법적 유효성과 설명의 내용 : 일본에서의 논의와 우리나라에서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 송영민 2012  66
4276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의료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자동 정밀 진단 시스템의 현재와 미래 2017  66
4275 2 생명윤리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인간대상연구 현황, 과제 관리 기준과 생명윤리에 관한 고찰 / 유은주 2017  66
4274 5 과학 기술 사회 스마트폰 환경에서 공인인증서 사용 시 소유 및 생체인증 연동 방법 / 김선종 2015  66
4273 18 인체실험 국내 비임상시험기관에 대한 외국 규제기관 수검 사례 / 정은주 2013  66
4272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무능력자를 대신하는 의료결정을 개선할 방안은 없는가? / 김상구 2017  66
4271 14 재생산 기술 모자 건강보호를 위한 난임부부 지원사업 개선방안 2015  66
4270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의 통합적 사례 연구 / 신성호 2017  66
4269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 정보 보호를 강화하는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 프로세스 / 김현준 2017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