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울산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375902 


일차의료를 방문한 환자에서 수면질이 제 2형 당뇨병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기타서명The effect of sleep quality on the development of type 2 diabetes in primary care patients
저자이정아
발행사항울산 :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4
형태사항iv, 41p. : 삽화, 표 ; 30 cm
일반주기명부록 수록,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지도교수: 김영식,참고문헌 : p. 36-38
학위논문사항학위논문(박사)-- 울산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2014. 2
발행국울산
언어한국어
출판년2014
주제어수면,수면질,당뇨병,위험요인
소장기관울산대학교 도서관 (248009)
초록연구 배경 : 수면은 건강 증진에 중요한 부분이며, 수면 장애는 신체 및 정신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수면 장애는 사망률을 증가시키고 주요한 질환들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스웨덴, 미국 등에서는 코호트 연구에서 수면 장애가 있으면 당뇨병 발생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며, 일본 남성을 대상으로 한 코호트 연구에서도 수면 유도 장애 및 수면 유지 장애의 빈도가 높을수록 당뇨병 발생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단면연구로 짧은 수면시간과 제2형 당뇨병의 관련성을 살펴 본 연구는 있으나 코호트로 진행된 연구는 없었다. 또한 대다수의 이전 연구들은 수면 시간과 당뇨병의 관련성을 평가한 연구들이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피츠버그 수면질 지수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로 주관적 수면질을 체계적으로 평가한 척도와 당뇨병 발생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 2009년 4월부터 2011년 6월까지 전국 22개 병원 가정의학과에 내원한 자들을 대상으로 코호트의 기본 데이터를 구축하였고, 부부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1,040명이 코호트에 등록하였으며, 코호트 구축 당시 당뇨병으로 진단받지 않은 대상자들 중 2013년 8월까지 추적관찰을 1회 이상 진행한 사람들 563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자기 기입식 설문 및 문진으로 연구 대상자의 특징을 조사하였으며, 수면질은 피츠버그 수면질 지수로 평가하였으며, 절단점은 5점으로 분석하였다. 당뇨병의 발생은 의무기록 검토로 질병발생 유무의 기록과 추적 관찰에서 가장 가까운 시점에 측정한 공복혈당을 기록하여, 의무기록 상으로 추적 관찰 시에 당뇨병의 발생이 확인되는 경우, 혈당 강하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 또는 측정한 공복혈당이 126mg/dL 이상인 경우를 당뇨병이 발생하였다고 보았다. 당뇨병 발생의 상대 위험도 산출을 위해서 콕스 비례위험모형(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사용하였으며 모든 통계분석은 SPSS ver. 21.0을 사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성 검정의 유의수준은 0.05 미만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57.0세로 60세 이상이 41.6%였으며, 평균 체질량지수는 24.1kg/m2으로 체질량지수가 25kg/m2 이상인 경우가 34.1%였다. 총 추적관찰기간은 1,401인년(person-years)였으며 추적기간의 중앙값은 2.5년이었다. 수면질에 따른 당뇨병의 발생 위험을 분석하였을 때, 수면질이 낮은 경우에 당뇨병의 발생 위험이 증가하였다. 이는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 소득 수준, 당뇨병의 가족력을 보정한 후에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RR 2.80, 95% CI 1.12-7.03).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RR 1.15, 95% CI 1.00-1.31), 당뇨병의 가족력이 있을 때 (RR 2.55, 95% CI 1.10-5.96) 당뇨병의 발생 위험이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결론 : 낮은 수면질은 당뇨병 발생의 위험 요인으로서, 이는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소득수준 및 당뇨병의 가족력에 독립적으로 당뇨병 발생을 증가시킬 수 있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로 수면질 향상을 통해 인슐린 저항성 및 당뇨병의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는지 등의 평가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목차요약 i

그림목차 iv

서론 1

연구 방법 4

1. 연구 대상 4

2. 연구 자료의 수집 6

3. 연구 자료의 분석 9



연구 결과 12

1. 연구 대상의 기본 특성
    12

2. 당뇨병의 발생률 14

3. 각 요인에 따른 당뇨병 발생률 및 상대 위험도 15

4. 수면질 및 수면 시간에 따른 당뇨병 발생률 및 위험도 17

5. 다변량 분석에서의 수면에 따른 당뇨병 발생 위험도 21



고찰 24

1. 연구 방법에 대한 고찰 24

2. 연구 결과에 대한 고찰 27



결론 35



참고문헌 36

부록 39



영문요약 4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648 5 과학 기술 사회 프랑스 출산장려를 위한 가족정책의 젠더적 함의 / 김민정 2018  104
364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이 지식을 가질 수 있는가? : 폐쇄 버전의 쉬운 지식 문제에 대한 한 가지 해결책과 그 해결책이 함축하는 것 / 오희철 2018  104
3646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 인체조직 유통 및 기증의 현황과 세법측면에서의 개선점 : 부가가치세를 중심으로 / 최경아 2012  104
3645 18 인체실험 옥타비아 버틀러의 『킨드레드』에 나타나는 흑인 여성의 몸 : 데이나와 앨리스를 중심으로 / 강명신 2018  104
3644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 규제정책의 정책변동과 정책네트워크 역동성 분석 / 김인자 외 2017  104
3643 20 죽음과 죽어감 성적 소수자 지향성과 자살 위험성 간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 고찰 / 김형지 외 2018  104
3642 9 보건의료 중국의 의료기기 유통에 관한 정책 및 법제 고찰 / 김정진 2017  104
3641 13 인구 다양한 가족구성원 건강 지원체계 마련 연구 / 송이은 외 2018  104
3640 9 보건의료 의약품 복용 과정과 정보 검색 경험 분석 / 김현주 외 2018  104
3639 9 보건의료 우리나라의 일차의료 중심 만성질환관리 방안 / 조비룡 2018  104
3638 9 보건의료 웰니스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과 의료 질 관리 / 조영복 외 2014  104
3637 19 장기 조직 이식 안구기증에 대한 지식이 안구기증 태도와 실천의지에 미치는 영향 / 박민혜 외 2017  104
3636 19 장기 조직 이식 일개 지역 종합병원 직원들의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분석/장윤하 2018  104
3635 15 유전학 유전정보 이용을 둘러싼 사회적 쟁점 연구 / 이영희 2003  105
3634 1 윤리학 [법률상식] 사이버권리 침해 분쟁사례와 대응방법 / 김민주 2017  105
3633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의 형사법적 검토 / 안성준 2010  105
3632 9 보건의료 증강현실을 이용한 응급환자 의료서비스 향상 모델 설계/정윤수 외 2017  105
3631 9 보건의료 국내 희귀의약품의 현황 및 과제 : 희귀질환에 대한 의약품 공급을 중심으로 / 김희은 2008  105
3630 9 보건의료 중국 노인 의료보장체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2017  105
362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결정에서 의학적 무의미함에 대한 연구 2015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