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243596 

의료정보의 2차 이용을 위한 국내 비식별화 대상 정보에 관한 연구


저자김철중,여광수,이필우,인한진,문병주,송경택,유기근,백종일,김순석
학술지명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권호사항Vol.6No.8[2016]

발행처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자료유형학술저널

수록면15-23
언어Korean
발행년도2016
주제어민감개인정보,프라이버시 보호,비식별화,2차 이용,개인의료정보
초록최근 국내와 국외에서 의료정보의 2차 활용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법안이
 
나 지침 등을 보았을 때 의료정보에 특화되어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은 지난 2012년 보건복지부와

행정안전부에서 발표된 ‘국내 의료기관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정도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가이

드라인도 의료정보에서 개인정보보호관련 법률에 저촉되는 것만을 제시하고, 의료정보 2차 활용을 위

해 제거해야할 비식별화 대상 정보를 명확히 정의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의료정보 2

최근 국내와 국외에서 의료정보의 2차 활용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법안이

나 지침 등을 보았을 때 의료정보에 특화되어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은 지난 2012년 보건복지부와

행정안전부에서 발표된 ‘국내 의료기관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정도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가이

드라인도 의료정보에서 개인정보보호관련 법률에 저촉되는 것만을 제시하고, 의료정보 2차 활용을 위

해 제거해야할 비식별화 대상 정보를 명확히 정의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의료정보 2
초록Recently the interest in secondary use of medical information has emerged. But the domestic legislation

or guidelines, such as being able to say that already specialize in healthcare information, can be seen a

'national medical privacy guidelines'. However the guidelines have suggested that only a violation of privacy

laws in the medical information, it does not defined clearly with respect to protected health

information(PHI) for secondary use. In this paper, we learn the HIPAA(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Privacy Rule of the US legislation which provides a non-identifiable screen instructions

for secondary utilization of medical information, domestic guidelines and other country's guidelines.

comparing with the HIPAA, national medical privacy guidelines and the domestic studies, we propose a

new domestic target non-identifying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domestic field and present future research

directio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88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등 이식에 관한 법률」 개정을 위한 입법적 쟁점/김휘원 김현철 2017  45
87 18 인체실험 바이오 정보 보호에 관한 최근 주요이슈 및 법규 개선방안 / 정승일 2016  45
8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의료기기 위험관리를 위한 규범론적 접근 -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규범화 논의를 중심으로 / 김재선 2017  44
8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이명희 2006  44
84 15 유전학 23andMe,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nd the Future of Genetic Testing / Zettler, P.J. 2014  44
83 1 윤리학 The Role of National Ethics Commissions in Finland 2003  44
82 19 장기 조직 이식 A new law for allocation of donor organs in Israel 2010  44
81 9 보건의료 개원가 입장에서 바라본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평가/최주현 2018  43
80 15 유전학 웹 기반의 유전자 서열 분석 및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허진석 2002  43
» 9 보건의료 의료정보의 2차 이용을 위한 국내 비식별화 대상 정보에 관한 연구 / 김철중 외 2016  43
78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형 사전의료의향서 평가 / 김기숙 2016  43
77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시대 개인정보권의 법리적 재검토 / 정하명 2017  43
76 15 유전학 게놈 편집 기술을 통한 Streptomyces coelicolor의 β-agarase 발현조절 유전자 기능 분석 / 심소헌 2018  42
75 1 윤리학 과학 기술 시대의 도덕 교육의 위기와 극복 방안 연구 / 정결 2017  42
74 9 보건의료 Applying a Global Justice Lens to Health Systems Research Ethics: An Initial Exploration 2015  42
73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데이터 허브 구축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향 - 지정 토론문 / 박미정 2018  41
72 9 보건의료 학계 입장에서 바라본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평가/장성인 2018  41
71 9 보건의료 사람의 생명·신체·건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법적 통제/조승현 2016  41
70 13 인구 사회변화와 대안가족 / 김영민 2018  41
69 9 보건의료 간호 인력 확보수준 구성이 병원 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의 병원 특성별 비교 / 윤경일 2017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