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法學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316373 

특집 : 의료 제 문제의 공법적 해석 = A Public Law Review of Medical Issues


저자이한주 ( Lee Han Joo )
학술지명法學硏究
권호사항Vol.23No.1[2015]

발행처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자료유형학술저널

수록면69-95
언어Korean
발행년도2015
주제어배아연구의 자유,인간의 존엄과 가치와 생명권,개인의료정보보호,연명치료중단,자기결정권,Embryo stem-cell research,the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Informed consent
초록생명과학기술의 발달과 함께 오늘날 의료영역에서 과거에는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여러 문제들이 나타나게 되면서 사회적으로 많은 논란이 되었다. 예를 들어 배아연구, 연명치료중단, 개인의료정보 보호 및 이용 등의 문제는 다양한 주장이 제기되어 왔지만 쉽게 해결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구체적인 개별영역에 대한 (법적) 해결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 최고규범성·생활보장성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 헌법적 해석을 통한 문제의 해결을 위한 단초를 제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해 본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의료적 문제들 중에서 1) 배아 연구의 자유와 제한 및 그 한계, 2) 개인의료정보를 둘러싼 의료기관별 기본권 효력의 문제, 3) 연명치료중단과 자기결정권에 대해서 간단히 공법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첫째, 배아 등의 연구와 관련해서 연구의 자유의 제한 근거로서 제시되었던 인간의 존엄성과 생명권에 대한 분리 가능성 및 생명권의 단계적 보호가능성을 제시함으로서 배아에 대한 보호 또는 이용에 대한 합리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둘째, 개인(의료)정보에 대해 현행 개인정보보호법을 통해 포괄적으로 규율하고 있는데, 개인정보는 공공부문 또는 민간부문에서의 보호 또는 이용에 따라 다른 효력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셋째, 연명치료중단은 헌법상 자기결정권으로 보장받을 수 있는 있는 권리로 이해되고 있는데, 판례에서 연명치료중단의 의미를 엄격하게 해석함으로서 사실상 ‘자기결정’을 할 수 없는 상태에서 권리를 행사하도록 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그러므로 자기결정권이 아닌 인격권을 통해서 환자가 명예롭게 죽음을 맞이할 수 있는 권리가 인정되는 것이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공법적 영역에서의 접근을 통하여 기존의 개별법 체계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현실적인 문제들에 대해서 보호의 가능성 및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초록There are many controversial issues being raised in today``s medical area. Tthis paper deals with 1)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2) personal health information protection, 3) the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Research Professor, Ewha Institute for Biomedical Law & Ethics.   1) It is difficult to draw a definite conclusion because there is a gap between ``research of biotechnology`` and ``ethical and religious`` sense of values. Therefore I suggested outline to solve an argument through legal discussion. Of course, all the problems related to this field can``t be solved out completely. But I believe that the purpose of legal discussion can be achieved if I suggest impartial devices or plans. 2) Comparing with general personal information,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as sensitive information is likely to be more dangerous situation, because privacy is disclosed by violating information. It is more necessary to protect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than general personal information consequently. We must consider aspects of not only protection but also use of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because it could be used in common good as scientific research or statistics analysis. 3) Many people maintain that the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can be justified only by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estimate the patient``s will, when patient didn``t write Advance Directives. In this opinion patient``s will can be estimated with patients``s previous statement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528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 윤리에 대한 종교적 대응 태도 연구 : 안락사를 중심으로 / 최형창 2004  1633
4527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 역할의 활성화 방안 탐색 연구 / 엄영란 2003  1630
452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법 제27조 제3항 환자 ‘유인’ 금지의 적용범위 / 이석배 2011  1623
4525 15 유전학 형사절차상 유전자정보의 획득 및 이용에 관한 연구 / 이정념 2009  1584
4524 20 죽음과 죽어감 적극적 안락사와 관련한 법적 논쟁 2007  1567
4523 20 죽음과 죽어감 Safety and Efficacy of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s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Single Institute Experience / 박권오, 임형근, 홍지연, 송헌호 2014  1560
4522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법상 임의비급여의 개선방안 연구 / 이인영 2016  1557
4521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 최은숙 2015  1552
4520 2 생명윤리 비트겐슈타인의 확실한 것들과 인간 존엄 및 인간 생명 존중 / 최경석 2014  1552
451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매매의 도덕성 논쟁과 장기보상제도 / 정창록 2013  1549
4518 12 낙태 이슬람세계의 낙태문화에 대한 이해 - MENA 지역을 중심으로 / 김종도 2018  1542
4517 1 윤리학 아동학대 관련 법제의 한계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김경수 2018  1535
4516 18 인체실험 건국대학교 의과대학에서의 임상연구를 위한 기반 조성에 관하여 / 배진우 2003  1535
4515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생명공학에 대한 윤리적 고찰 / 박은진 2007  1532
4514 14 재생산 기술 생식세포 및 배아 대상 유전자 치료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김한나 외 2015  1531
4513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에서 유래한 물질의 소유 및 이용에 관한 민사상의 제문제 / 소재선 2011  1505
4512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사회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연명의료계획서 적용에 관한 윤리신학적 고찰 / 홍준표 2018  1502
4511 4 보건의료 철학 정신건강복지법 발효에 따른 정신전문간호사의 역할규명을 위한 직무분석 / 조분선 2018  1501
4510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이식(LDLT) 기증자의 경험 / 정선주 2011  1498
4509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법적 정당성과 미국 각 주의 원격의료제도의헌법적 근거에 관한 연구 / 최용전 2019  14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