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法學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316373 

특집 : 의료 제 문제의 공법적 해석 = A Public Law Review of Medical Issues


저자이한주 ( Lee Han Joo )
학술지명法學硏究
권호사항Vol.23No.1[2015]

발행처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자료유형학술저널

수록면69-95
언어Korean
발행년도2015
주제어배아연구의 자유,인간의 존엄과 가치와 생명권,개인의료정보보호,연명치료중단,자기결정권,Embryo stem-cell research,the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Informed consent
초록생명과학기술의 발달과 함께 오늘날 의료영역에서 과거에는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여러 문제들이 나타나게 되면서 사회적으로 많은 논란이 되었다. 예를 들어 배아연구, 연명치료중단, 개인의료정보 보호 및 이용 등의 문제는 다양한 주장이 제기되어 왔지만 쉽게 해결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구체적인 개별영역에 대한 (법적) 해결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 최고규범성·생활보장성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 헌법적 해석을 통한 문제의 해결을 위한 단초를 제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해 본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의료적 문제들 중에서 1) 배아 연구의 자유와 제한 및 그 한계, 2) 개인의료정보를 둘러싼 의료기관별 기본권 효력의 문제, 3) 연명치료중단과 자기결정권에 대해서 간단히 공법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첫째, 배아 등의 연구와 관련해서 연구의 자유의 제한 근거로서 제시되었던 인간의 존엄성과 생명권에 대한 분리 가능성 및 생명권의 단계적 보호가능성을 제시함으로서 배아에 대한 보호 또는 이용에 대한 합리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둘째, 개인(의료)정보에 대해 현행 개인정보보호법을 통해 포괄적으로 규율하고 있는데, 개인정보는 공공부문 또는 민간부문에서의 보호 또는 이용에 따라 다른 효력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셋째, 연명치료중단은 헌법상 자기결정권으로 보장받을 수 있는 있는 권리로 이해되고 있는데, 판례에서 연명치료중단의 의미를 엄격하게 해석함으로서 사실상 ‘자기결정’을 할 수 없는 상태에서 권리를 행사하도록 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그러므로 자기결정권이 아닌 인격권을 통해서 환자가 명예롭게 죽음을 맞이할 수 있는 권리가 인정되는 것이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공법적 영역에서의 접근을 통하여 기존의 개별법 체계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현실적인 문제들에 대해서 보호의 가능성 및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초록There are many controversial issues being raised in today``s medical area. Tthis paper deals with 1)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2) personal health information protection, 3) the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Research Professor, Ewha Institute for Biomedical Law & Ethics.   1) It is difficult to draw a definite conclusion because there is a gap between ``research of biotechnology`` and ``ethical and religious`` sense of values. Therefore I suggested outline to solve an argument through legal discussion. Of course, all the problems related to this field can``t be solved out completely. But I believe that the purpose of legal discussion can be achieved if I suggest impartial devices or plans. 2) Comparing with general personal information,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as sensitive information is likely to be more dangerous situation, because privacy is disclosed by violating information. It is more necessary to protect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than general personal information consequently. We must consider aspects of not only protection but also use of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because it could be used in common good as scientific research or statistics analysis. 3) Many people maintain that the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can be justified only by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estimate the patient``s will, when patient didn``t write Advance Directives. In this opinion patient``s will can be estimated with patients``s previous statement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48 2 생명윤리 인간생명의 보호가 법정책의 기반이어야 / 정재우 2018  50
» 9 보건의료 특집 : 의료 제 문제의 공법적 해석 = A Public Law Review of Medical Issues / 이한주 2015  50
146 9 보건의료 의료행위의 규범적 통제 방식에 대한 소고(小考) - 독일의 의료보험체계에 비추어 본 임의비급여 통제의 정당성 / 김나경 2009  50
145 19 장기 조직 이식 웹기반 조혈모세포이식 정보제공 프로그램 개발/정문주,김동희 2013  50
144 9 보건의료 의약품 특허의 강제실시청구에 관한 심사기준 고찰 -인간기능이론을 중심으로 / 민창식 2012  50
143 19 장기 조직 이식 Preliminary Marked Increase in the National Organ Donation Rate in Israel Following Implementation of a New Organ Transplantation Law / Lavee, J. 2013  50
142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의 연구자 인식조사 / 김태연 2016  50
141 9 보건의료 병원 내 의료인 안전 향상을 위한 개념적 틀과 정책적 대응 / 강희정 2019  49
140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 개선 방안 / 김세민 2017  49
139 14 재생산 기술 착상전진단술에 대한 생명형법적 고찰 / 신동일 2006  49
138 9 보건의료 노인의료 발전을 위한 간병비 급여화 방안 / 이윤환 2017  49
137 1 윤리학 통합 개인정보보호법안의 입법체계 검토 / 황태정 2009  49
136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의사표시에 대한 민사적 제문제 / 윤부찬 2009  49
135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 관한 법규범력 확보와 그 한계 / 황만성 2011  49
134 19 장기 조직 이식 Living kidney donation: outcomes, ethics, and uncertainty 2015  49
133 4 보건의료 철학 Direct vs. Indirect Moral Enhancement 2015  49
132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침해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사용 의도 분석 / 김택영 외 2018  48
131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규제와 자녀의 복리 원칙 - I. Glenn Cohen의 논의를 중심으로 - / 권재문 2017  48
130 1 윤리학 의료광고 사전심의제도에 대한 윤리적 고찰 / 김준혁 2018  48
129 2 생명윤리 주류 언론의 황우석 사태 보도에서 주변화된 여성주의 생명윤리 / 김명혜 2006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