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약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74742 


다기준의사결정(MCDA) 방법론을 이용한 신약개발과제의 평가 및 의사결정 연구


기타서명A study on the evaluation of new drug projects and decision-making methods by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MCDA)
저자이상영
발행사항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형태사항159 p. : 삽화, 표 ; 30 cm
일반주기명지도교수: 이의경,참고문헌 : p. 130-140
학위논문사항학위논문(박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약학과 2017. 8
발행국서울
언어한국어
출판년2017
주제어신약개발,다기준의사결정(MCDA),AHP,가중치분석
소장기관성균관대학교 삼성학술정보관 (241026),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211040)
초록신약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시험관, 동물, 인체를 대상으로 안전성과 유효성을 검증하는 과정을 수행하면서 주요 의사결정 시점마다 향후 진출하고자 하는 시장에서의 가치를 예측하여 자원의 투입을 결정한다. 이처럼 장기간동안 여러 단계를 거치면서 기술적 완성도 또는 재정적 관점으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의사결정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특히 신약개발의 초기단계에는 수집된 자료가 부족하여 주로 직관에 의존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지만 연구 개발이 진행되면서 여러 분야의 자료를 바탕으로 한 분석적 의사결정이 필요하며 직관적 의사결정과 분석적 의사결정의 상호보완을 통해서 의사결정의 오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기준의사결정(MCDA) 방법을 이용하여 신약개발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평가기준을 선정하고 계층화분석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으로 가중치를 산출하는 방법을 통해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분석적 의사결정 과정을 제시함으로써 신약개발 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개발단계별 가중치 차이를 분석하고 평가기준의 가중치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자의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MCDA 방법론을 이용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5R framework를 바탕으로 신약과제의 평가기준을 수립하기 위하여 상위평가기준 5개, 하위평가기준 15개를 선정하여 계층화하였다. 또한 AHP 방법으로 평가기준에 대한 가중치를 산출하여 개발단계 및 평가자의 특성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신약개발과정에 있어서 최초 평가자인 제약기업의 신약개발담당 연구원들을 대상으로 AHP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때 일관성비율(Consistency ratio, CR)이 0.2이하인 응답자로부터 산출된 가중치를 유효한 것으로 하여 개발단계에 따른 가중치의 차이와 평가자의 특성에 대한 요인으로서 담당업무, 업무경력 및 신약개발 경험이 미치는 영향을 Mann-Whitney U, Kruskal-Wallis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유효응답자로부터 산출된 과제선정단계에서 상위평가기준의 가중치는 타겟(0.24), 상업성(0.24), 안전성(0.20), 피험자(0.19), 목표장기(0.12)의 순서이었지만 임상진입 단계에서는 안전성(0.34), 피험자(0.22), 상업성(0.20), 목표장기(0.13), 타겟(0.12) 순으로 나타났고 이중 타겟(p=0.000)과 안전성(p=0.000) 항목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발단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위평가기준의 가중치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자의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Kruskal-Wallis 분석을 한 결과 담당업무, 신약개발 경험 및 업무경력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행 중인 신약과제를 대상으로 MCDA 방법을 이용한 사례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 하위평가기준을 평가하여 점수화(Scoring)한 결과를 AHP 방법으로 산출된 가중치로 보정한 종합가치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실제의 의사결정 결과와 동일함이 후향적으로 입증되어 신약개발 과정의 분석적 의사결정 방법으로서 MCDA 방법론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임상진입과 같은 의사결정 단계에서는 평가기준의 분석적 해석을 바탕으로 보다 체계적인 의사결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제1장 서론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5
 
제2장 이론적 고찰 7
  1. 신약개발 전략 7
  2. 의사결정방식 14
  3. 다기준의사결정(MCDA) 방법론 16
  4. AHP의 이론 및 가중치 산출 22
  5. 선행문헌의 고찰 28
 
제3장 연구방법 35
  1. 신약개발과정의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개요 35
  2. 평가기준의 선정 37
  3. AHP 방법을 이용한 가중치 평가 설문조사 44
  4. 개발단계 및 평가자의 특성에 대한 가중치 분석 47
  5. MCDA를 이용한 사례연구 50
  6. MCDA를 이용한 사례연구 결과 분석 52
  7. 연구윤리 53
 
 
제4장 연구결과 54
  1. AHP 설문지 응답자 분석 54
  2. AHP 방법을 이용한 가중치 산출 결과 56
  3. 평가자의 특성에 대한 가중치 분석 74
  4. MCDA를 이용한 사례연구 101
 
제5장 고찰 및 결론 119
  1. 연구결과에 대한 고찰 120
  2. 연구의 제한점 127
  3. 결론 128
 
참고문헌 130
부록 14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48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과 사전의사결정에 관한 고찰 / 이금미 2007  378
3487 20 죽음과 죽어감 생의 마감에 관한 결정의 법적 측면 : 한국의 경우 / 박준석 2012  378
348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정보의 보호와 관리방안 / 최중명, 오인환, 오창모 2012  378
3485 4 보건의료 철학 우리나라 임상심리학자들의 전문역량, 활동 현황 및 발전방향 / 권정혜 2018  378
3484 15 유전학 영화 가타카(GATTACA)가 현실로! 맞춤형 아기 시대의 도래 / 박보야나 2015  377
3483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를 경험한 지방의료원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신종감염병환자 간호의도 / 오남희 2016  377
348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병동 간호사의 부서이동 태도 / 권예원 2016  377
3481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문화에 대한 소고 / 정화성 2015  377
3480 8 환자 의사 관계 수술환자의 권리보호에 대한 형사법적 쟁점 -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유재근 2015  377
3479 9 보건의료 태아치료를 위한 줄기세포의 활용전망 / 이시원 2017  376
3478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과 자기결정권, 그리고 의사의 진료의무 2008  376
3477 18 인체실험 초기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건강한 피험자의 사례비 평가: 연구자 관점과 피험자 관점 / 조지은 2012  376
3476 12 낙태 장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장애가능성이 있는 태아의 낙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이강선 2011  376
3475 12 낙태 13세 이상 미성년자의 성적 자기결정권 / 이수진 2015  376
3474 18 인체실험 최근 일본의 줄기세포·재생의료에 관한 정책 및 입법 동향/이민규, 류화신 2015  376
3473 20 죽음과 죽어감 DNR에 대한 환자 보호자의 윤리적 인식 및 태도 / 송경옥 2010  376
3472 5 과학 기술 사회 유럽연합과 독일의 개인정보보호법의 비판적 수용을 통한 우리나라의 개인정보보호법의 입법개선을 위한 소고 / 임규철 2018  375
3471 1 윤리학 전문상담교사와 진로진학상담교사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김선영 2018  375
3470 13 인구 저출산에 따른 국가의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정연숙 2006  375
3469 14 재생산 기술 프랑스 비밀출산제도(l`accouchement secret)의 현황/이지은 2015  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