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法學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28613 

임상시험의 정당화 요건과 형법적 통제 = The Justification Requirements and the Criminal Control of the Clinical Trial


저자김현조(Kim, Hyun Jo)
학술지명法學硏究
권호사항Vol.18No.4[2015]

발행처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자료유형학술저널

수록면141-168
언어Korean
발행년도2015
주제어임상시험,사전동의,의학적 적법절차,연구목적 임상시험,치료목적 임상시험,Clinical Trial,Informed Consent,Medical Due Process,Clinical Trial for Academic Research,Clinical Trial for Medical Treatment
초록본 논문에서는 우선 임상시험의 개념을 정립하고 그 시행목적에 따른 분류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분류의 목적은 각 임상시험별 정당화 요건을 달리 파악함으로써 피험자 보호에 보다 충실하고자 하는데 있다. 즉, 연구목적 임상시험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충분한 사전 설명과 자발적, 명시적 동의로도 정당화될 수 있는 반면, 치료목적 임상시험은 피험자가 구체적인 질환을 가진 환자이므로 생명이 위험에 처할 수도 있기 때문에 기존의 정당화 요건 외에 이익형량의 관점에서 보다 신중하게 검토하여야 한다.

  그리고 임상시험이 정당화되기 위한 가장 핵심적 요소인 피험자의 동의에 대하여 객관적·규범적 제한을 인정함으로써 피험자의 무분별한 동의로 인하여 초래될 생명과 신체에 대한 침해를 방지할 법이론적인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즉 법익의 주체라고 하더라도 생명의 침해에 대한 동의는 할 수 없으며, 사망의 위험을 수반하는 신체의 침해에 대한 동의 역시 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피험자의 동의에는 ‘인간 존엄성의 불가침성’ 또는 ‘선량한 풍속위반’과 같은 법의 일반원칙에 위배되는 동의는 할 수 없는 실체적·규범적 제한과 일정한 방식에 따를 것을 요구하는 절차적·규범적 제한이 있을 수 있다.

초록In this paper,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oncept and to classify the type of the clinical trial above all. Becaus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justification requirements for each of the clinical trial. It will be able to stick to the protection of the subject of clinical trials by these studies. The Clinical trial for academic research can be justified by sufficient explanation of the investigator and informed consent of the subject. However the clinical trial of medical treatment is also needed to compare the benefits and risks of the subject in addition to justifying requirements justified of the clinical trials for academic research. The subject of this clinical trial is a patient. Thus through the clinical trial his life and body could be put at risk.

  Therefore the subject of clinical trials can not agree about the infringement of his life. And he also can not agree about the invasion of the body that may cause the risk of death. And the consent of the subjects has the substantive and procedural limitations. The subject can not consent to infringe the general principles of law such as human dignity and good morals. And when the subject tried to consent on the clinical trial, he should follow the way set out in the law.

목차<국문초록>

I. 서론

Ⅱ. 임상시험의 개념, 분류

Ⅲ. 임상시험의 정당화 요건

Ⅳ. 임상시험에 있어서 동의의 형법적 통제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4168 5 과학 기술 사회 남성돌봄자 증가와 젠더질서의 역동 : 일본남성의 노인돌봄을 둘러싼 담론과 정책의 변화를 중심으로 / 지은숙 2017  71
4167 1 윤리학 GDPR 환경에서 국내 개인정보보호 관련 인증제도 및 표준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 최보미 외 2018  71
4166 19 장기 조직 이식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인공장기 모델 / 이상훈 2018  71
4165 20 죽음과 죽어감 대학생들의 죽음 교육 전과 후의 웰다잉 인식과 결정에 관한 연구 / 송현동 외 2018  71
4164 13 인구 일·가족양립을 통한 저출산 대응방안 마련 연구 / 장진희 외 2017  71
4163 9 보건의료 임상시험코디네이터 실습 교재 개발 / 은진수 2018  71
4162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환자 관계성 측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 박진영 외 2014  71
4161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의식, 환자안전관리활동과 간호업무성과와의 관계 / 민순 외 2016  71
4160 9 보건의료 비식별화 방식을 적용한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연구 : 보건의료정보를 중심으로 / 김은수 2018  71
4159 15 유전학 클라우드 기반의 유전체 분석 방법 / 문지혜 외 2017  71
4158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바이오헬스 규제 / 유명희 외 2017  71
415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표시에 대한 고찰 / 정진명 2019  71
4156 9 보건의료 문케어, 의료비 부담 낮출 수 있을까 / 홍석철 2019  71
4155 19 장기 조직 이식 Mental Health Among Living Kidney Donors: A Prospective Comparison With Matched Controls From the General Population 2015  72
4154 9 보건의료 공공분야에서의 빅데이터(Big Data) 활용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황대욱 2012  72
415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의 법률적 쟁점 및 향후과제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정유진 2017  72
415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계획승인 허가규정 연구 : 항암제 관련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 김민영 2011  72
4151 4 보건의료 철학 장애인 건강권 보호를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 : 장애인 건강 주치의를 중심으로 / 임종한 2017  72
4150 5 과학 기술 사회 정보화시대의 지능형로봇 연구동향 / 백문홍 외 2008  72
4149 9 보건의료 알츠하이머병에서 임상약물시험의 최신 동향 / 강희영 외 2015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