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자연과학연구논문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03724 

국내 임상시험의 지역간 불균형 현황 및 발전 방안 모색 =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Clinical Trials in Korea and Strategy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저자최지혜 ( Ji Hye Choe ), 조수현 ( Soo Hyun Cho ), 최윤식 ( Yun Sik Choi )
학술지명자연과학연구논문집
권호사항Vol.13No.1[2015]

발행처대구가톨릭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자료유형학술저널

수록면177-182
언어Korean
발행년도2015
주제어Clinical Trials, Balanced Development, Unequal Distribution
초록약 50년 전에 의사들은 청진기, 체온계, 혈압계와 기초 의약품 등을 이용하여 환자들을 치료하였으나 생명공학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각종 첨단 의료기기의 도입, 표적 치료제의 개발 등으로 보건의료 산업에서 눈부신 질적 성강을 이끌어 냈다. 예를 들어, 만성골수성백혈병 (chronic myeloid leukemia)은 치료가 매우 어려웠으나 2001년 글리벡이 허가된 이후 전체 투여 환자 중 약 89%가 진단 후 5년간 생존하는 놀라운 결과를 보였다. 경제적 관점에서 볼 때 신약 개발 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2014년 기준으로 관절염 등에 사용하는 휴미라 (Humira)는 전 세계적으로 14조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였다. 신약의 영업이익이 매출의 30~50%를 차지하고, 특허 출원 후 20년간 독점권이 주어지므로 신약개발은 황금알을 낳는 산업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신약의 개발은 현대 국민보건의 질적 향상에 필수적임과 동시에 고부가가치를 창출하여 국가 경제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전 세계적으로 미래 전략산업의 핵심 분야로 적극 육성하고 있다. 이에 발맞춰 우리나라도 국가적으로 많은 지원과 제도 개선을 통해 신약개발을 적극 독려하고 있다. 그 결과 국내의 대표적인 임상시험센터들은 이미 선진국 수준의 임상시험 수행이 가능할 만큼 성장하였으므로 앞으로는 국가 균형발전과 국내 임상시험의 전반적인 수준 향상을 위해 지방 임상시험센터에도 보다 적극적인 지원과 투자가 필요하다.
초록South Korea has become to be the prime locations for the clinical trials. However, the number of clinical study sites was highest in Seoul contributing to 55.8% of all sites nationally at 2012, which suggests that clinical trials are conducted in concentrated regions and sites. Here, we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linical trials in Korea and tried to find out the solution to achieve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Seoul and local regions. Recent data indicates that the top 5 hospitals participated in the 37.1 and 35.7 percent of total clinical trials in Korea in 2011 and 2012, respectively. In addition, 49.7 percent of clinical trial sites are concentrated in Seoul and Gyounggi-do area. To find out the solution to achieve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Seoul and local regions we gathered specific information by surveys and it revealed that local clinical trial centers are needed to set up infrastructure and professional manpower enough to fulfill clinical trials satisfying global standards. To achieve this goal institution and the country has to invest sources in clinical trial center to match the future needs and balanced developmen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588 5 과학 기술 사회 신체증강 기술과 덕 윤리 / 김광연 2018  77
587 5 과학 기술 사회 치의학분야 3D 프린팅 기술이 적용된 의료기기의 인·허가전략과 과제/신은미, 양승민 2018  77
58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 완화의료의 인지도 제고를 위한 PR전략 탐색 /김병희 외 2018  77
585 9 보건의료 제네릭 의약품 가격이 점유율에 미치는 효과분석 / 신주영, 최상은 2008  77
58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 / 심세화 2017  77
583 20 죽음과 죽어감 비교법미국의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규범과 의료인의 면책규정이 주는 시사점 / 이인영 2008  77
582 9 보건의료 병원 헬스케어 서비스 혁신: ICT 조직기능 연관성(ICT Relatedness)에 기반한 상호작용과 지식공유 / 김찬영 2015  77
581 14 재생산 기술 불임관련 기술 사용시 여성이 자신의 임신, 출산에 대해 가지는 통제권에 관한 연구 / 조영미 1994  77
580 9 보건의료 의료 소비자의 의학적 지식 유무와 의료서비스만족도 관계 / 최형석, 김규형 2018  76
579 12 낙태 온라인 기반 낙태 이슈 변화 분석 / 김찬우 2018  76
578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복음적 이해와 목회상담적 돌봄방안 / 양병모 2018  76
577 9 보건의료 프랑스의 공법상 의료피해구제제도에 관한 연구 / 황정현 2018  76
576 13 인구 한국의 초저출산과 국민연금 기금의 사회적 투자 / 조원희 외 2018  76
575 20 죽음과 죽어감 비뇨의학전문의로서 연명의료결정법의 이해 / 허정식 2018  76
574 23 연구윤리 새로운 의료시술의 도입과 임상적용 시의 윤리적 절차 / 강명신 외 2013  76
573 9 보건의료 일반병원직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 요구도에 관한 융합 연구 / 권춘혜 2017  76
572 2 생명윤리 미국에서의 생명정치(Bio-Politique), 1890년대-1930년대 / 김호연 2018  76
571 1 윤리학 강제입원의 위법과 손해배상책임 / 신권철 2017  76
570 9 보건의료 한국의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에서 제네릭 시장독점제도의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정용익 2014  76
569 2 생명윤리 독일 장기와 조직의 기증, 적출 및 이식에 관한 법 개정에 대한 일고찰 / 이현아, 김명희 2017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