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811226 

시험을 위한 실시의 특허 침해 예외 범위 : 제네릭 의약품의 허가를 위한 실험을 중심으로 검토 = (The) application of experimental use exception for generic drug approval


저자

김학선

발행사항

서울 :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형태사항

81장 : 삽도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남형두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2007.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07

주제어

실험적 실시의 예외,제약 산업,제네릭 의약품,생물학적 동등성 실험,특허 침해,허가를 위한 임상 실험,특허법 제96조,experimental use exception,pharmaceutical industry,generic drug,bioequvalence test,Bolar Exception,Hatch-Waxman Act

소장기관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211046)

초록

현재 국내 신문지상에서 가장 큰 부분을 할애하고 있는 것이 한, 미 FTA관련 기사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 문제는 국제법이나 경제의 영역일 뿐 아니라 다른 여러 분야에서 관심을 가지고 주시하고 있다. 특히 의약품 관련 지식재산권에 관한 내용은 공중 보건권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분야로 많은 논의가 예상된다. FTA관련 협상 내용이 비공개 원칙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내용을 확인해 볼 수는 없지만 제네릭 의약품과 관련된 특허권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또한 물질특허제도가 1987년에 도입된 지 20년이 다 되어가는 요즈음에 오리지널 의약품 제조업자와 만료 직후 바로 출시하려는 제네릭 제조업자들 간의 적절한 조화를 위한 조치가 필요할 것이다. 국내 다국적 제약 기업들 중에서 매출총액이 제네릭 의약품에 큰 영향을 받는 등 근래 제약업계의 큰 화두는 단연 제네릭 의약품이다.이러한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정확한 정의는 존재한다고 할 수 없다. 각국의 제도에 따라서 그 법적 의미가 약간씩 상이하고, 그에 대한 규정도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이에 관련 규정을 살펴보고, 실무적으로 특허 기간 만료 전에 허가를 위해서 생물학적 동등성 실험을 위해서 사용하는 특허 물품을 실험에 이용하는 것이 특허 침해에 해당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특허와 허가를 연계하여 허가 과정에서 특허에 대한 사항을 함께 검토하여서 사후에 특허 침해 가능성을 사전에 방지하고자 하는 입법에 대해서도 살펴보도록 하겠다.국내 규정의 경우 제네릭 의약품은 특허 만료 후 판매허가를 위해서 안정성과 유효성 확인 실험은 오리지널 의약품의 실험 자료와 생물학적 동등성 실험을 통해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주로 특허 만료 전에 실시하는 생동성 실험에 대해서 실무상으로는 미국이나 일본, 독일 등과 별다르지 않게 운영되고 있지만, 정확한 법조문이나 명확한 판례가 존재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 제네릭 의약품과 관련해서 많은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시장 점유율을 지키기 위해 오리지널 의약품 제조업체들에 의해 소송이 남발될 가능성, 오리지널 의약품 제조업체들의 공격적인 제휴를 통해 제네릭 시장을 위축시키려는 시도 등이 있을 수 있기에 사전에 그에 대한 충분한 검토와 조정이 필요할 것이다.본 연구는 국내에 제약 산업의 특징과 특허법과 제네릭 의약품의 허가과정을 검토해 보고, 각국의 입법 태도를 살펴본다. 또한 중요한 판례들을 비교해보면서 국내 의약 산업구조를 고려하여 정책적인 방향을 살펴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288 5 과학 기술 사회 제4차 산업혁명시대 인문사회학적 쟁점과 과제에 관한 연구 / 김진영, 허완규 2018  338
3287 15 유전학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와 인공유전자회로를 이용한 질병의 진단과 치료 / 이대희 외 2018  338
3286 1 윤리학 인간중심주의적 동물윤리의 가능성에 관한 소론 / 소병철 2017  338
3285 5 과학 기술 사회 재활로봇의 기술 동향 / 송원경 2016  338
3284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윤리적 가치관 유형과 인권감수성/김성은 2015  338
3283 2 생명윤리 생명: 과학과 윤리 사이 /박은정 2015  338
3282 1 윤리학 이항녕 선생과 법과 도덕 : 생명윤리법을 중심으로 / 이인영 2013  338
3281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윤리에서 위험과 불확실성 / 서정임 2014  338
3280 8 환자 의사 관계 양방의료행위와 한방의료행위의 의의 및 중첩 양상에 관한 판례의 태도에 대한 고찰 / 백경희, 장연화 2014  338
3279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심사위원회의 임무와 운영 / 김용진 2013  338
3278 4 보건의료 철학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사고에 대한 경험 / 이미준, 강희경 2019  337
3277 18 인체실험 임상연구 : 국내 마취과학 임상연구의 임상윤리위원회 심의여부와 동의서의 실태조사 / 고원욱 외 2007  337
3276 9 보건의료 의약품 리베이트 쌍벌제의 타당성 고찰 : 합헌성에 관한 검토를 중심으로 / 이산해 2014  337
3275 2 생명윤리 고등학교 생명윤리 교육의 연구 / 김현진 2004  337
3274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가 보완대체요법을 선택한 이유 / 김경운 2011  336
3273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지식재산권법학의 미래 / 정진근 2016  336
3272 2 생명윤리 초등학생의 집단따돌림 경험 정도와 생명윤리의식과의 관계 / 문미영 2015  336
3271 1 윤리학 생명존중문화를 고양시키기 위한 기독교 책임윤리 : 한스 요나스와 윌리엄 슈바이커를 중심으로 / 홍동엽 2016  336
3270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윤리교육으로서의 로봇윤리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 / 변순용, 송선영 2014  336
3269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2017  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