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아주대학교 : 보건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244312 

한국 메르스 발생기간 동안 일개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원 근무 간호사의 정신건강상태와 관련 요인 = Nurses’ Mental Health State and Related-Factors at a State-Designated Hospital during the MERS



저자

박지선

발행사항

수원 : 아주대학교, 2016

형태사항

93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은현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아주대학교 : 보건학과  2016. 8

발행국

경기도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주제어

메르스,간호사,정신건강

소장기관

아주대학교 도서관 (241038)

초록

본 연구는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발생 동안 메르스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원에서 근무한 간호사의 정신건강상태에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상관관계 연구이다.
경기도 소재 1개 메르스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원에 근무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비롯한 정신건강상태, 스트레스, 스티그마, 강인성, 사회적 지지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총 187부였고, 자료 분석은 IBM SPSS 19.0을 사용하였다. 
정신건강상태와 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직책, 메르스 관련 병동 근무여부는 두 집단으로 나누어 정신건강상태 평균의 차이를 비교하였고, 연속형 변수인 스트레스, 스티그마, 강인성, 사회적 지지는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메르스 관련 병동 근무자가 비관련 병동 근무자 보다 정신건강상태가 유의하게 낮았고, 일반간호사가 수간호사 보다 정신건강상태가 유의하가 낮았다. 스트레스, 스티그마, 강인성, 사회적 지지와 정신건강상태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스트레스, 스티그마는 정신건강상태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강인성과 사회적 지지는 정신건강상태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최종적으로 정신건강상태 예측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직책을 통제한 후 2단계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스트레스, 스티그마, 강인성, 메르스 관련 병동 근무여부가 정신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정신건강상태 분산의 49.7%(R2=.497)를 설명하였다. 이 중 스티그마는 정신건강상태 하부척도의 모든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와 강인성은 3개 영역, 메르스 관련 병동 근무여부는 1개 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감염병 발생 또는 유사 환경 근무 간호사들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해서는 중재프로그램 개발뿐만 아니라 보건의료전달체계 및 법・제도・환경적 개선이 함께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용어의 정의 
 
Ⅱ. 문헌고찰 
  1. 메르스(MERS)발생과 전파 
  2. 감염병 발생에 대한 의료종사자의 심리적 영향
  3. 간호사의 정신건강 
  4. 간호사의 정신건강 관련요인 
 
Ⅲ.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자 및 표본 
  3. 자료수집방법 및 절차 
  4. 측정도구 
  5.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대상자의 특성 
  2. 주요 연구변수에 대한 기술통계 
  3.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정신건강상태 
  4. 각 연구변수와 정신건강상태와의 관계 
  5. 정신건상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Ⅴ. 논의 
 
Ⅵ. 결론 
 
참고문헌 
 
부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808 9 보건의료 중동호흡기증후군 2015년 사태와 관련된 의료법령의 분석과 입법론 - 「의료법」 및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쟁점 조항을 중심으로 -/김천수 2015  262
2807 19 장기 조직 이식 의료용 생체재료 및 응용 : 경조직 대체물질 개발 및 응용 / 이우걸 2015  262
2806 15 유전학 유전정보 기증으로 발생 가능한 피해의 유형과 확률 / 유호종, 이일학, 최성경, 정창록, 이승희, 김소윤 2014  262
2805 9 보건의료 위험의 지구화, 지구화의 위험 - 한국의 '광우병' 논쟁 연구 / 하대청 2012  262
2804 5 과학 기술 사회 사회여론 수렴방법으로서의 시민 합의회의 : 이종이식 문제를 중심으로 / 모효정, 권복규 2009  262
2803 9 보건의료 서울시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건강관리와 의료이용 실태 / 손창우 2018  261
2802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기증자 신장 분배제도의 현황 / 김미나 외 2017  261
2801 19 장기 조직 이식 확장범주 신장이식의 국내 현황과 한국형 기준의 필요성 / 양신석 외 2017  261
2800 9 보건의료 응급의료센터 감염예방을 위한 시설기준 개선에 대한 연구 / 김중기 2016  261
279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 창작물의 저작권자는 누구인가? / 이상미 2016  261
2798 15 유전학 유전성 내분비 질환의 분자유전학적 진단 / 최진호 외 2010  261
2797 2 생명윤리 중학교 도덕과에서의 생명윤리교육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전원주 2008  261
2796 9 보건의료 보건의료법체계를 고려한 장애아동 지원 정책 -장애아동 「발달재활서비스」사업을 중심으로- / 김소연, 배현아 2013  261
2795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관점에서 본 연명의료에서의 환자의 자기결정권 / 고윤석 2013  261
2794 12 낙태 임산부의 산전 기형아 검사에 관한 지식과 정보 요구 및 낙태에 대한 태도 / 전명희 외 2018  260
2793 10 성/젠더 프랑스 동성결혼법 - 모두를 위한 ‘어떤’ 결혼인가? / 채형복 2018  260
2792 9 보건의료 4차 산업혁명에서의 공공빅데이터를 활용한 보건의료 정책 연구 : 노인 인구 치매예측 모델 개발을 중심으로 / 김희철 2018  260
2791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직업변화 / 김미혜 2016  260
2790 18 인체실험 줄기세포 치료제의 해외시술에 대한 형사적 책임성부 검토 / 류동훈 2015  260
2789 2 생명윤리 게임 이론을 통한 생명윤리법 입법과정 분석 / 현승효 외 2015  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