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탐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349773 

현대 생명의료 윤리학에서의 신체 문제 = Une étude de la problématique du corps dans l'éthique biomédicale : à travers la confrontation avec la phénoménologie



저자

윤성우(Seong-Woo, YUN)

학술지명

철학탐구

권호사항

Vol.23No.-[2008]

발행처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7-11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105

주제어

신체,자율성,자기 신체,노력,지각,의지,건강,corps,corps-sujet,autonomie,effort,perception,volonte,sante

초록

이 글의 목적은 현대 중요한 철학적 담론들 중에 하나로서 자리잡은 ‘생명의료 윤리학’(biomedical ethics)에서 신체 문제를 어떻게 이해하고 다루고 있는지를 밝혀내되, 현상학과의 비판적 대면을 통해서 수행하는 것이다.

  현미경과 실험 공간속으로 환원된 신체의 일부는 실상 세계 속에서 노력하거나 지각하거나 의지하는 그런 신체가 더 이상 아니다. 나는 나의 DNA와 그 어떤 체험적 관계를 맺지 못한다. 나의 두개골 안에 있는 뇌(腦) 역시 나와 그런 관계에 놓여 있지 못하다. “나의” 두뇌라는 말에서 “나의”는 “나의”손과 같은 의미를 지니는 것은 아닌 것이다. 반면 나의 손, 발, 심지어는 엉덩이와는 모종의 체험적 관계를 가지며, 나의 세계-내-존재 방식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끼친다. 어떻게 보면 생명 의료적 상황에서 문제가 되는 아픈 몸이나 병든 신체는 노력의 체험, 자각활동 그리고 의지활동에서의 주체로서의 신체에게 일종의 장애나 결여가 생긴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아픈 몸은 내 욕망, 내 지각, 내 의도를 세계 속에서 즉각적으로 실현시키는 “직접적 행위자”이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의사가 이때 의학적으로 개입하게 되어 이 직접성이나 신체의 주체성을 회복시켜 주는 것을 도와야 한다. 따라서 생명의료 윤리학은 이 주체적 신체의 진정한 복원에 앞서 아픈 몸이 비윤리적인 실험적 조작이나 의료적 처치의 대상으로 전락되지 못하도록 감시하고 비판하는 임무를 담당한다. 결국 생명연구 및 의학적 상황에서의 신체 담론은 먼저 -의식하든 그렇지 않든 간에- 생명의료 윤리학의 신체 담론에 의한 1차적인 비판을 거쳐야 하며, 최종적으로는 현상학적 신체의 복원을 종착점으로 가져야만 할 것이다. 다시 말해 인간 신체에 대해 이론적으로나 실천적으로 가능한 실험 및 연구는 생명의료 윤리학적 비판을 간과해서는 안되며 현상학적 신체의 파괴나 해체로 귀결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몸 말
3. 나오는 말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808 9 보건의료 중동호흡기증후군 2015년 사태와 관련된 의료법령의 분석과 입법론 - 「의료법」 및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쟁점 조항을 중심으로 -/김천수 2015  262
2807 19 장기 조직 이식 의료용 생체재료 및 응용 : 경조직 대체물질 개발 및 응용 / 이우걸 2015  262
2806 15 유전학 유전정보 기증으로 발생 가능한 피해의 유형과 확률 / 유호종, 이일학, 최성경, 정창록, 이승희, 김소윤 2014  262
2805 9 보건의료 위험의 지구화, 지구화의 위험 - 한국의 '광우병' 논쟁 연구 / 하대청 2012  262
2804 5 과학 기술 사회 사회여론 수렴방법으로서의 시민 합의회의 : 이종이식 문제를 중심으로 / 모효정, 권복규 2009  262
2803 9 보건의료 서울시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건강관리와 의료이용 실태 / 손창우 2018  261
2802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기증자 신장 분배제도의 현황 / 김미나 외 2017  261
2801 19 장기 조직 이식 확장범주 신장이식의 국내 현황과 한국형 기준의 필요성 / 양신석 외 2017  261
2800 9 보건의료 응급의료센터 감염예방을 위한 시설기준 개선에 대한 연구 / 김중기 2016  261
279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 창작물의 저작권자는 누구인가? / 이상미 2016  261
2798 15 유전학 유전성 내분비 질환의 분자유전학적 진단 / 최진호 외 2010  261
2797 2 생명윤리 중학교 도덕과에서의 생명윤리교육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전원주 2008  261
2796 9 보건의료 보건의료법체계를 고려한 장애아동 지원 정책 -장애아동 「발달재활서비스」사업을 중심으로- / 김소연, 배현아 2013  261
2795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관점에서 본 연명의료에서의 환자의 자기결정권 / 고윤석 2013  261
2794 12 낙태 임산부의 산전 기형아 검사에 관한 지식과 정보 요구 및 낙태에 대한 태도 / 전명희 외 2018  260
2793 10 성/젠더 프랑스 동성결혼법 - 모두를 위한 ‘어떤’ 결혼인가? / 채형복 2018  260
2792 9 보건의료 4차 산업혁명에서의 공공빅데이터를 활용한 보건의료 정책 연구 : 노인 인구 치매예측 모델 개발을 중심으로 / 김희철 2018  260
2791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직업변화 / 김미혜 2016  260
2790 18 인체실험 줄기세포 치료제의 해외시술에 대한 형사적 책임성부 검토 / 류동훈 2015  260
2789 2 생명윤리 게임 이론을 통한 생명윤리법 입법과정 분석 / 현승효 외 2015  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