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40017788 

제대혈 조혈모세포의 체외확장에 냉동보존이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ryopreservation on ex vivo Expansion Potential of Umbilical Cord Blood Progenitor Cells

 


  • 저자명

    최재혁 ,강희정 ,김용길 ,오현아 ,이구 ,배성화 ,이재련 ,이경희 ,현명수 ,류헌모

  • 학술지명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 권호사항

    Vol.7 No.1 [2002]

  • 발행처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55-62(8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2년

  • KDC

    510.000

  • 주제어

    Umbilical cord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Cryopreservation ,ex vivo expansion

  • 초록 (Abstract)
    • 연구배경: 제대혈 조혈모세포이식술은 많은 장점이 있지만 채혈할 수 있는 제대혈액의 양에 제한이 있어 아직 성인에서는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냉동보존된 제대혈 조혈모세포를 해동한 후 체외확장을 통한 세포수의 증가가 필요하다. 이에 저자는 냉동보존 전후의 제대혈액의 단핵세포수, 세포생존율 및 세포 집락 형성능을 비교하여 제대혈 조혈모세포의 세포생존율과 체외확장에 냉동보존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정상 산모에서 질식분만 후 제대에서 20 mL의 제대혈액을 채집하여 단핵세포를 분리하고 냉동보전 전후에 제대혈 단핵세포의 세포생존율을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냉동보존을 하지 않은 상태의 제대혈 단핵세포와 7일간 또는 28일간 냉동보존을 한 후 해동한 제대혈 단핵세포를 각각 성장인자가 첨가된 배지에서 2×10^(6)/mL개의 단핵세포를 섞은 뒤 35 mm Petri dish 에서 37℃, 100% 습윤, 5% CO₂ 조건의 배양기에서 14일간 배양한 후 세포 집락수와 모양을 관찰하고 냉동보존 전후의 세포 집락 형성능을 비교하였다.
      결과: 6예의 산모에서 제대혈액을 채집하여 측정한 제대혈 단핵세포 수는 냉동보존 하기 전이 2.92±1.08×10^(6)/mL개였고 7일간 냉동보존 한 경우와 28일간 냉동보존을 한 경우는 각각 1.15±0.36×10^(6)/mL개와 1.42±0.42×10^(6)/mL개였다. 제대혈 단핵세포의 세포생존율은 냉동보존을 하지 않은 경우가 92±2.88%였고 7일간 냉동보존한 경우와 28일간 냉동보존을 한 경우는 각각 61±3.84%와 66±3.87%로 냉동보존이 세포생존율은 감소시키지만 냉동보존의 기간에 따른 세포생존율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P=0.064). 제대혈 단핵세포의 집락수와 세포 집락 형성능은 냉동보존을 하지 않고 배양한 경우 총 집락수는 101.5±23.74였고 그중 CFU-GM 28.8±2.04 (29.5±5.80%), CFU-GEMM 21.5±5.79 (21.0±1.45%), BFU-E 24.8±5.00 (24.8±5.0%)였으며 CFU-G와 CFU-M을 제외한 집락수에서 CFU-GM, CFU-GEMM, BFU- E가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39.0±4.57%, 28.2±3.59%, 32.9±1.47%였고, 28일간 냉동보존을 한 후 해동하여 배양한 경우에는 총 집락수는 52.5±12.13이었으며 이 중 CFU-GM 14.6±2.73, CFU-GEMM 13.7±1.21, BFU-E 23.5±5.01이었으며 CFU-G와 CFU-M을 제외한 집락수에서 CFU-GM, CFU-GEMM, BFU-E가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28.2±2.13%, 26.7±3.00%, 45.1±3.55%로 냉동보존을 한 경우 집락수는 감소하였지만 세포 집락 형성능의 감소는 없었다.
      결론: 냉동보존 자체가 제대혈 조혈모세포의 세포생존율은 감소시키지만 세포 집락 형성능에는 영향을 거의 주지 않으므로 냉동보존 후 제대혈 조혈모세포의 체외확장을 통해 성인에서도 성공적으로 제대혈 조혈모세포이식술을 시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08 16 환경 생체모방의 근본원리에 비춰본 4차 산업혁명 시대 생태문학의 의의/임도한 2018  582
607 9 보건의료 모바일 헬스케어에 대한 일반인과 의료인의 인식 차이 연구 / 안세은 2019  582
606 12 낙태 헌법재판소의 낙태결정(2010헌바402)에 대한 헌법적 검토 / 정철 2013  583
605 19 장기 조직 이식 설문조사를 통한 생체 신장 공여자의 기증 후 건강상태와 건강증진 생활방식 / 남민경, 이두인, 권오정 2014  583
604 9 보건의료 로봇수술을 담당하는 간호사의 직무 인식 / 김혜원 2017  583
603 14 재생산 기술 ‘세 부모 아이’ 대 ‘세 사람 아이’/하대청,차승현,김근,이연호,백수진,김명희 2015  584
602 14 재생산 기술 난임부부 지원제도 개선 방안 /이서영 2013  585
601 8 환자 의사 관계 형법상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이얼 2013  585
600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공여자의 수술 전 이식간 용적과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영상학적 검사의 유용성 / 주만기 2007  585
599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에서 결의론의 재조명 : 앨버트 존슨의 온건한 결의론을 중심으로 / 김시형 2013  586
598 17 신경과학 뇌과학 시대와 인지사회학 / 차영화 2016  586
597 20 죽음과 죽어감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죽음 인지에 관한 탐색 연구/강형구, 윤성민 2015  587
596 13 인구 프랑스의 저출산 문제 해소 요인 / 이문숙 2016  588
595 9 보건의료 2016년 보험소비자 설문조사 / 보험연구원 2016  588
594 14 재생산 기술 원저 : 한국의 보조생식술을 시행 받은 불임환자들의 상담실태에 대한 조사 / 김라현 외 7인 2011  589
593 20 죽음과 죽어감 법조계, 의료계, 종교계의 안락사에 대한 인식수준의 차이 및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 김수정 2007  589
592 15 유전학 소비자 직접의뢰(Direct-to-Consumer, DTC) 유전자검사 서비스의 현황과 정책 방향/ 황서현, 김경철 2018  589
591 9 보건의료 국제보건규칙(2005)상의 전염병 통제 보건조치와 인권의 보호 / 박진아 2012  590
590 8 환자 의사 관계 의과대학생의 실습할 권리와 환자의 개인 보호 / 김현주, 허정식 2013  591
589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의 지역간 불균형 현황 및 발전 방안 모색 / 최지혜 외 2015  5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