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6251255 

제대혈관리법안의 검토와 문제점
= The Problems and Examinations over the Umbilical Cord Blood Management Law

 


  • 저자명

    송영민(Song Young-Min)

  • 학술지명

    법학연구

  • 권호사항

    Vol.29 No.- [2008]

  • 발행처

    한국법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473-497(25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8년

  • KDC

    360

  • 등재정보

    KCI등재

  • KCI 피인용횟수

    2

  • 주제어

    조혈모세포 ,골수 ,말초혈 ,제대혈 ,장기이식법 ,제대혈관리법안 ,입법작업 ,Hematopoietic Stem Cells ,Bone Marrow ,Peripheral Blood,Umbilical Cord Blood ,Internal Organ Transplant Law ,Umbilical Cord Blood Management Law ,Legislation

  •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주)누리미디어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Abstract)
    • 법은 이미 발생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능을 갖고 있지만, 또한 장차 발생할 문제를 예측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기능도 갖고 있어야 한다. 물론 현재와 같은 생명의료기술의 발달상황에서는 이러한 예측자체가 쉽지는 않을 것이다. 그렇다고 하여 법의 예측기능을 포기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법은 의료현장에서 생기는 의료문제를 항상 모니터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인체파생물질의 의학적 연구와 치료를 위한 이용에 대해서도 분류하고 유형화하여 체계화하는 작업이 이러한 측면에서 필요한 것이다. 그러므로 조혈모세포를 생산하는 물질을 기준으로 골수ㆍ제대혈ㆍ말초혈을 통합관리하는 조혈모세포이식법과 같은 통합의 형태가 보다 유용할 것이다. 즉 장기이식법에서의 골수에 해당하는 부분과 현재 법적 공백상태에 있는 제대혈 및 말초혈을 묶어, 하나의 새로운 조혈모세포이식법의 형태로 입법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형태야 말로 현행 장기이식법의 기형적인 형태를 바로 잡을 수 있고, 제대혈과 말초혈의 의학적 이용의 근거규정을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조혈모세포의 의학적 연구는 최근의 새로운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어 이러한 부분에 대한 입법작업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688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김계숙 2018  172
2687 4 보건의료 철학 의대생의 미흡한 의사소통역량에 피드백을 적용한 재교육 /이태선 2018  172
2686 17 신경과학 뇌신경윤리위원회의 설치에 관한 제언 / 이인영 2018  172
2685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영성, 존엄사에 대한 태도와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태도의 관계 / 박미선 2018  172
2684 4 보건의료 철학 한국에서의 의사 자율규제 현황과 발전방안 / 김휘원, 김정아 2016  172
2683 8 환자 의사 관계 오스트리아 환자사전의사표시법(PatVG) / 이석배 2007  173
2682 8 환자 의사 관계 선택진료제를 위반한 의료행위의 민사책임에 관한 고찰/백경희 외 2014  173
268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오픈소스 현황과 시사점 / 이은옥 2016  173
2680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와 체세포 역분화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 iPS)의 의학적 효용성 / 박세필 2009  173
2679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자동차 시대 개인정보 보호의 공법적 과제 2016  173
2678 9 보건의료 의료정보의 활용과 개인정보의 보호 / 김재선 2016  173
2677 14 재생산 기술 윤리적ㆍ불교적 입장에서 살펴 본 잉여냉동배아의 이용 / 곽만연 2005  173
2676 5 과학 기술 사회 비정형 헬스케어 데이터 표준화 / 신수용 2018  173
2675 19 장기 조직 이식 대학생들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연구 / 정희윤 2015  173
2674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공학분야의 연구데이터 공유 사례에 관한 연구 / 박미영 외 2018  173
2673 9 보건의료 한국 의료패널 조사자료를 이용한 1인 가구의 신체활동, 스트레스 및 삶의 질에 관한 종단분석 / 이정민 2018  173
267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와 의사조력자살 간 경계에 관한 규범적 고찰 / 엄주희 외 2018  173
2671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자 임종 돌봄 봉사의 실제 / 송지환 2017  173
267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형사책임 / 이창민 2018  173
2669 19 장기 조직 이식 Thrombomodulin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 복제돼지 생산/이해선 외 2018  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