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199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669074 

대학생들의 임종진료에 대한 태도 - 안락사를 중심으로 


  • 저자명

    최윤선 ,신종민 ,이영미 ,이태호 ,홍명호 ,김준석 ,염창환 ,Choi, Youn-Seon ,Shin, Jong-Min,Lee, Young-Mee ,Lee, Tai-Ho ,Hong, Myung-Ho ,Kim, Jun-Suk ,Yeom, Chang-Hwan

  • 학술지명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권호사항

    Vol.2 No.1 [1999]

  • 발행처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 발행처 URL

    http://www.hospicecare.co.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6-22(7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1999년

  • 주제어

    Hospice ,Euthanasia ,Fear

  • 제공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Abstract)
    • 목적 : 현대는 의료의 결정단계에 있어서 환자들의 보다 적극적인 참여요구와 자신의 삶에 관한 모든 것을 조절하고 결정한다는 개인의 권리에 대한 주장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말기 질환에 대해서는 다양한 윤리 문제들이 사회적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임종진료에 대한 대학생들의 태도와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을 분석함으로서 말기환자 관리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7년 6월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찬반여부,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도, 임종에 대한 견해 등을 대학생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337명(74.9%)이 설문에 응했다. 결과 : 수동적 안락사를 찬성한 대학생은 213명(63.2%)이 찬성하였다. 종교가 없는 대학생에서 안락사 찬성률이 높았다(70.5% 대 56.9%, P<0.05). 호스피스를 정확히 이해하고 있었던 대학생은 48명(14.2%)에 불과했다. 호스피스를 알게된 경로로는 텔레비전 43%, 책 33.5%, 종교단체 12% 등의 순이었다. 임종장소로는 76.5%가 집을 선호했고, 임종시 배우자가 같이 있어주기를 원했으며(51.6%), 미지의 세계에 대한 두려움이 가장 컸다(41.5%). 결론 : 안락사에 관해서는 약 2/3가 찬성하였으며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도는 낮았다. 죽음을 앞둔 말기환자가 남은 여생동안 인간으로서의 존엄성과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하면서 삶의 마지막 수간을 평안하게 맞이하도록 도와주는 호스피스에 대한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홍보와 호스피스병원과 병상확보 등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628 9 보건의료 The risks of risk aversion in drug regulation 2013  6004
4627 10 성/젠더 #미투(MeToo)운동을 통해 본 법과 현실의 괴리/ 이미경 2018  5903
4626 14 재생산 기술 인간 복제의 생명윤리학적 고찰 / 신혜정 2002  5392
462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임봉자 2008  5260
4624 19 장기 조직 이식 간호대학생의 생존 시와 뇌사 시 장기기증 의도에 관한 구조모형/김은아외 2015  5055
4623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의료영역에서 여성인권존중의 필요성 / 신옥주 2017  4975
4622 12 낙태 임신중절의 핵심쟁점과 윤리적 논쟁들에 관한 연구 / 문수례 2007  4916
4621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에 대한 윤리적 고찰 / 한민정 2008  4763
4620 12 낙태 사례연구 : 영국,미국,독일,프랑스의 낙태 규제 입법과 판례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이희훈 2014  4749
4619 1 윤리학 테일러의 생명중심주의 사상의 환경윤리교육적 함의 / 이제용 2014  4640
4618 18 인체실험 The Silent Majority: Who Speaks at IRB Meetings? 2012  4577
4617 9 보건의료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의 허가심사제도에 관한 고찰 / 송태은 2009  4449
4616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의사에 반하는 연명의료 중단ㆍ유지와 손해배상 / 이재경 2018  4433
4615 2 생명윤리 의료영역에서 인간의 존엄, 생명, 생명권의 관계 / 이석배, 김필수 2012  4417
4614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가 전통지식보호에 미치는 영향과 그 대응책 -한의약에 관한 전통지식을 중심으로-/고광국 2013  4351
4613 18 인체실험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가치관과 윤리적 갈등문제에 관한 연구 / 안은숙 1994  4340
4612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의 도덕적 의사결정에 대한 연구 / 심옥주 2002  4299
4611 15 유전학 유전자 검사와 치료에 대한 윤리적 문제 고찰 / 박태정 2006  4294
4610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윤리·법·사회 문제 해결방안 / 이수빈 2019  4240
4609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판정과 장기이식의 윤리적 문제 / 이종원 2012  4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