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동국대학교 : 생사문화학과 2017. 8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75031 

불교의 생명윤리에서 본 연명의료중단결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etermina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observed on Buddhist bioethics


  • 저자

    장준호(법상정사)

  • 형태사항

    ⅴ, 97장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이종림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동국대학교 : 생사문화학과 2017. 8

  • DDC

    393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주제어

    불교생사관윤리관연명의료중단결정


  • 초록 (Abstract)
    • 현대 사회에서 불치의 병으로 시달리는 환자들의 고통, 죽음에 문턱에 서 있는 말기환자들의 고통, 이런 환자를 케어 하고 있는 가족들의 정신적, 육체적, 경제적 부담은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의 심각한 문제이다. 불교계에서는 생명 존중의 입장을 굳게 지키고 있으며, 이를 기초나 근본으로 하여 연명의료중단결정 허용에 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업과 연기의 측면에서 자기결정에 의한 죽음 인정의 가능성도 있다는 것과 재가불자의 설문을 통하여 어쩌면 영원한 대립이 되는 양자를 통합시킬 가능성도 있다. 본 연구는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이 2016년 2월 3일에 제정됨에 따라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불교인들을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연명의료에 대한 지식수준을 파악하여 연명의료에 대한 불교계의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K도내 재가불자들의 연명의료에 대한 인식 조사를 2016년 10월 ∼ 2017년 1월까지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은 K도내 재가불자들 157명으로 임의표본추출조사로 설문지 면담조사를 실시 한 결과 연명의료에 대한 인식 조사로는 ‘연명의료(76.4%)’, ‘사전연명의료의향서(58.5%)’, ‘대리인 지정은 배우자(43.9%)’ 등 대부분이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특수연명의료’ 내용 중 ‘심폐소생술(82.2%)’, ‘신장혈액투석(72%)’, ‘인공호흡기 착용(78.4%)’, ‘고단위 항생제투여(54.1%)’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도 대부분의 재가불자들이 알고 있다는 통계가 나왔다. 재가불자들의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생각으로는 반대가 찬성보다 많았으며, 말기 상황일 경우 계속 의료에 대한 질문에는 대부분 ‘아니오(36.9%)’라고 응답하였으며,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교육은 대부분 받기를 ‘원한다(52.2%)’로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K도에 거주하는 재가불자들은 대부분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통계 자료를 보아도 재가불자들의 연명의료중단에 대해 지지하는 여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불교계는 연명의료중단을 수용할 수 없는 입장이며, 연명의료중단 허용 가능하다는 입장을 전제로 전향적으로 연명의료중단에 관해 논의해야 할 것이다. 연명의료중단 허용에 관한 논의에 있어서 자기결정권과 생명존중의 양립의 관점 그리고 불살생계의 의미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환자와 더불어 주변의 있는 의사, 가족들의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며, 원칙 속에 흐르는 생명의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구체적인 조건 제시가 필요하다. 이러한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조건은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하는 과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고 필요한 것이며, 불교적인 관점을 바탕으로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어: 불교, 생사관, 윤리관, 연명의료중단결정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64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허용론에 대한 고찰 2006  107
264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도덕성 논쟁 1998  323
264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존엄사)에 관한 헌법이론적 논의 : 독일의 논의를 중심으로 2010  246
2645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허용 여부에 관한 법철학적 연구/김학태 2008  94
2644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유형별 규범해석과 사회적 인식도 2008  275
2643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과 자기결정권, 그리고 의사의 진료의무 2008  378
2642 20 죽음과 죽어감 일본에서 존엄사 법제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주호노 2010  203
2641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하게 죽을 권리에 관한 연구 2010  111
2640 20 죽음과 죽어감 불교의 생사관에서 본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연구 2017  59
2639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연명의료중단결정에 관한 형사법적 연구 : 연명의료결정법을 중심으로/조경혜 2017  169
263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2017  284
» 20 죽음과 죽어감 불교의 생명윤리에서 본 연명의료중단결정에 관한 연구 2017  245
263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결정에서 의학적 무의미함에 대한 연구 2015  107
2635 20 죽음과 죽어감 종교유무에 따른 한국인의 ‘연명의료’ 결정과 태도에 관한 융합연구 2017  63
263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 맞춤형 모바일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 설계 및 구현 2016  104
2633 9 보건의료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전달기법에 대한 소비자 인식조사 2014  64
2632 5 과학 기술 사회 만성질환자 자가관리를 위한 국제표준 프로토콜 기반 다중 에이전트 모바일 헬스 어플리케이션 개발 2016  114
2631 5 과학 기술 사회 모바일 환경에서의 병원정보시스템 설계 및 구현 2011  81
2630 20 죽음과 죽어감 농촌노인의 자살시도경험 / 정명희 2017  198
2629 9 보건의료 노인 건강증진을 위한 창의적 움직임 콘텐츠 개발과 U-헬스케어 모델 연구 2017  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