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 전공 2017. 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450651 

재난적의료비 지출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빈곤화의 매개효과분석


  • 기타서명

    The effect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depression of the elderly : mediating effect of impoverishment

  • 저자

    이한기

  • 형태사항

    v, 72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송인한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 전공 2017. 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주제어

    재난적의료비노인 우울빈곤화보건의료제도정신건강의료사회복지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elderly depressionimpoverishmenthealth care policy,mental healthmedical social work



  • 초록 (Abstract)
    • 현재 초고령화 사회를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노인 보건의료비 지출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의료비 증가는 단순히 경제적 위기만이 아닌 노인 가구의 정신건강문제에 심각한 문제를 줄 수 있음을 인식하고, 이와 관련한 영향요인들과 문제경로를 파악하여 이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개입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재난적의료비 지출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빈곤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한다. 한국복지패널 3개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5315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난적의료비 지출 경험은 본 연구의 역치 기준인 10%일 경우 우울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다른 역치 수준들(20%, 30%, 40%)에서도 우울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재난적의료비 지출 경험과 빈곤화와의 관계에서 정적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울과 마찬가지로 빈곤화에서도 기준 역치 10% 뿐만 아니라 모든 역치 수준들에서 빈곤화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노인가구의 재난적의료비 지출이 빈곤화 원인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을 말해준다. 셋째, 재난적의료비 지출과 우울의 관계에서 빈곤화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빈곤화는 재난적의료비와 우울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가졌다. 이러한 결과는 재난적의료비 지출 경험이 즉시 노인 우울감을 높인다기보다 재난적의료비 지출로 노인 가구가 빈곤 이행이 되고, 빈곤층으로의 전락한 노인의 우울을 높일 수 있음을 말해준다. 본 연구의 사회복지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도한 의료비 지출이 노인가구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빈곤층으로 전락하는 위기상황과 이로 인한 우울 증가의 위험을 막기 위해서 현 보건의료제도의 보장성을 더욱 확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빈곤문제와 정신건강 문제를 별개의 문제로 인식해서는 안 되며, 빈곤 노인을 위한 경제적 지원을 확대해야 하는 것뿐만 아니라 빈곤문제와 정신건강의 문제를 하나의 문제로 파악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통합적인 개입 또는 노인 특성에 맞는 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과도한 의료비 지출로 인한 위기상황 발생 시 이를 대처하기 위한 다양한 일선 현장 전문가들의 개입이 필요하다. 특히 현재 종합병원 및 보건의료기관에서 심리․ 사회적 상담과 다양한 자원연계를 통한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및 개입을 시행하고 있는 의료사회복지사의 법적 제도화와 활동수가 신설 및 개편이 필요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588 12 낙태 태아를 위한 기독교 윤리학적 책임과제 / 강요한 2002  407
3587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줄기세포 연구를 중심으로 / 박진성 2010  407
3586 15 유전학 특허법 관점에서 본 주요한 제 3세대 유전자 가위(CRISPR/Cas9) 기술의 비교 및 특허 분쟁 분석 / 김승지 2018  406
3585 2 생명윤리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우리나라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역할의 특수성과 운영 관련 법규정 개정에 대한 제언 : 배아생성의료기관, 인체유래물은행, 배아연구기관 등의 기관생명 윤리위원회를 중심으로 / 김은애 2015  406
3584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과학연구의 규제에 있어 시민참여와 사회적 합의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 이종이식연구를 중심으로 / 모효정 2010  406
3583 15 유전학 후생동물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데이터베이스(Mitome) 구축 및 유용성 검증 / 이용석 2009  405
3582 1 윤리학 생명윤리법학의 의의 / 김현철 2014  405
3581 10 성/젠더 성매매 규제 및 성매매여성의 탈(脫)성매매를 위한 법제도적 지원 방안에 대한 연구 / 최정일 2018  404
3580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사전의사결정태도 / 천호정 2018  404
3579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의 지리학과 생명권력의 정치 / 최병두 2015  404
3578 9 보건의료 결핵예방법의 격리명령의 실행과 한계에 관하여/김장한 2015  404
3577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문제에 대한 기독교 여성윤리적 이해 / 이승리 1997  404
3576 2 생명윤리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영향 요인 / 임미혜, 박창승 2014  404
3575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치매관리 현황과 치매국가책임제 / 곽경필 2018  403
3574 9 보건의료 원격의료 정책현황 비교 분석 연구: 미국, 일본, 한국을 중심으로/김진숙,오수현 2018  403
3573 14 재생산 기술 [논문]재생산권으로서의 낙태에 관한 법여성학적 고찰 / 이선순 2006  403
3572 20 죽음과 죽어감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연명치료 중단 및 안락사에 대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태도 / 김숙남 외 2016  402
3571 15 유전학 유전자치료연구에 대한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규제 고찰/박수헌 2015  401
3570 20 죽음과 죽어감 보편적 호스피스제도와 요양병원의 역할/장윤정 2015  401
3569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생전유언과 대리인 지정 및 관련요인 조사연구 / 박수민 2013  401